목차
1. 서설
2. 중국 정토교의 흐름
3. 결론
2. 중국 정토교의 흐름
3. 결론
본문내용
다. 高宗, 곧 乾隆帝는 불교를 멀리하여 그 당시부터 불교는 대체로 出家者의 손으로부터 在家 居師의 쪽으로 옮겨지는 경향이었다. 그리하여 그 이후로 불교를 유지하여 온 것은 儒者이며, 이것은 청대의 儒, 佛의 一致, 融合을 의미하는 것이며 청대의 불교를 거사 불교라고 云謂하는 이유이다. 한편 종래의 禪, 淨融合 혹은 台, 淨一致 등의 설을 넘어서 華嚴,念佛의 一體를 唱導한 것은 彭紹升의 卓見이며, 이것은 이미 念佛의 唯一絶對를 인정한 것이며 확고한 거사의 염불에 관한 信念을 솔직히 표현한 것이다.
淸末의 시시로부터 세계 2차대전 직전까지의 30여년 동안을 통하여 中國佛敎는 敎理史的으로나, 敎會史的으로 많은 난관에 봉착하게 되면서 그 衰退의 일로를 면하지 못하게 된다.
唐이후의 중국 淨土敎는 상술한 바와 같이 禪宗, 天台宗등의 興隆에 따라 禪淨合行, 敎淨兼修, 律淨倂修의 정토교이며 純雜 정토교의 신봉자는 보이지 않는다.
3. 결론
흔히 불교의 修行門을 八萬四千이라 하고 그것을 徑載門의 禪宗과 念佛門의 정토종과 灌頂門의 眞言宗과 言說門인 敎宗의 四分으로 크게 나누고 있는데 여기서 정토교의 비중은 상당히 크며 그러한 경론의 註釋家로서 龍樹, 天親, 慧遠등이 등장한다.
정토교에서는 西方極樂淨土에 往生하려 하는 입장과, 이 娑婆世界를 그대로 정토로 變見하려 하는 두 입장으로 나눌 수 있으나, 어느 쪽이든 정토교는 대중불교 중에서 가장 宗敎的이며 實踐的이라는 점이다. 또 정토교는 진실한 자기를 영원한 정토에서 求하고 이룩할 것을 가르치며 自己를 떠나서 정토가 없음을 강조한다.
중국정토교의 독립, 순화라고 하는 방향은 일단 善道에 의해 일단 극에 달하지만, 그 선도의 염불까지도 '三昧'로서의 성격을 잃지 않는다. 善道계통의 특색은 口稱念佛을 성립시킨 것과, 아미타불을 報身으로 본 것과, 극락정토를 報土라고 한 점, 또한 凡夫身의 왕생을 本意로 한 점이다. 그리고 왕생을 稱名의 숫자에 의해 판단하지 않고 신심에서 판단하려 한 것도 특색이다. 念佛에는 觀像, 觀想, 實相, 口稱의 4종이 있는데 他力敎로서의 염불은 口稱念佛 뿐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曇鸞은 難行道와 易行道로 나누고 道綽은 聖道門과 淨土門으로 나누었으며 善道는 正行과 雜行으로 나누었다. 정행에는 禮拜, 讚嘆, 觀察, 讀誦, 稱名의 5종이 있고 칭명을 正業이라 하고 다른 4종을 助業이라고 하였다. 5종의 正行說은 세친의 『淨土論』의 五念門중에서 三門에다가 讀誦과 稱名의 二行을 더한 것이다. 정토교는 소의 경전으로서의 『무량수경』 『관무량수경』 『아미타경』의 3경과 『왕생론』 등의 3경 1론에 바탕하고 있다.
이러한 점들에 비추어 볼 때 중국정토교는 근본적으로는 '念佛三昧'의 실현을 목적으로 전개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宋代 이후의 정토교가 天台나 禪과 용이하게 융합할 수 있었던 이유의 하나도 여기에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鎌田茂雄 『中國佛敎史』 경서원
2.키무라 키요타카 『中國佛敎思想史』 民族社
3.張元圭 『中國佛敎史』 고려원
4.坪井俊映 『淨土敎槪論』 弘法院
淸末의 시시로부터 세계 2차대전 직전까지의 30여년 동안을 통하여 中國佛敎는 敎理史的으로나, 敎會史的으로 많은 난관에 봉착하게 되면서 그 衰退의 일로를 면하지 못하게 된다.
唐이후의 중국 淨土敎는 상술한 바와 같이 禪宗, 天台宗등의 興隆에 따라 禪淨合行, 敎淨兼修, 律淨倂修의 정토교이며 純雜 정토교의 신봉자는 보이지 않는다.
3. 결론
흔히 불교의 修行門을 八萬四千이라 하고 그것을 徑載門의 禪宗과 念佛門의 정토종과 灌頂門의 眞言宗과 言說門인 敎宗의 四分으로 크게 나누고 있는데 여기서 정토교의 비중은 상당히 크며 그러한 경론의 註釋家로서 龍樹, 天親, 慧遠등이 등장한다.
정토교에서는 西方極樂淨土에 往生하려 하는 입장과, 이 娑婆世界를 그대로 정토로 變見하려 하는 두 입장으로 나눌 수 있으나, 어느 쪽이든 정토교는 대중불교 중에서 가장 宗敎的이며 實踐的이라는 점이다. 또 정토교는 진실한 자기를 영원한 정토에서 求하고 이룩할 것을 가르치며 自己를 떠나서 정토가 없음을 강조한다.
중국정토교의 독립, 순화라고 하는 방향은 일단 善道에 의해 일단 극에 달하지만, 그 선도의 염불까지도 '三昧'로서의 성격을 잃지 않는다. 善道계통의 특색은 口稱念佛을 성립시킨 것과, 아미타불을 報身으로 본 것과, 극락정토를 報土라고 한 점, 또한 凡夫身의 왕생을 本意로 한 점이다. 그리고 왕생을 稱名의 숫자에 의해 판단하지 않고 신심에서 판단하려 한 것도 특색이다. 念佛에는 觀像, 觀想, 實相, 口稱의 4종이 있는데 他力敎로서의 염불은 口稱念佛 뿐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曇鸞은 難行道와 易行道로 나누고 道綽은 聖道門과 淨土門으로 나누었으며 善道는 正行과 雜行으로 나누었다. 정행에는 禮拜, 讚嘆, 觀察, 讀誦, 稱名의 5종이 있고 칭명을 正業이라 하고 다른 4종을 助業이라고 하였다. 5종의 正行說은 세친의 『淨土論』의 五念門중에서 三門에다가 讀誦과 稱名의 二行을 더한 것이다. 정토교는 소의 경전으로서의 『무량수경』 『관무량수경』 『아미타경』의 3경과 『왕생론』 등의 3경 1론에 바탕하고 있다.
이러한 점들에 비추어 볼 때 중국정토교는 근본적으로는 '念佛三昧'의 실현을 목적으로 전개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宋代 이후의 정토교가 天台나 禪과 용이하게 융합할 수 있었던 이유의 하나도 여기에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鎌田茂雄 『中國佛敎史』 경서원
2.키무라 키요타카 『中國佛敎思想史』 民族社
3.張元圭 『中國佛敎史』 고려원
4.坪井俊映 『淨土敎槪論』 弘法院
추천자료
성공사례 [쉬리]
GM 대우의 자동차 시장에서의 마케팅 전략과 해외진출에 관하여
속담속에 나타난 우리 언어 문화
설화수 마케팅 성공사례
기업의 해외진출 성공-(주)빠팡 에스쁘아
<하얀가면의 제국> 독후감
문화CEO송승환과 난타
Wal Mart(월마트) 기업분석 - 마케팅, 인사관리, 경영전략 등
프렌차이즈 조사(섬마을 이야기)
해외 LCC(Low Cost Carrier)의 국내 진출에 대한 제주항공의 마케팅 대응 전략
[콩][콩 어원][콩 특징][콩 종류][콩 영양][콩 효과][콩 기능성][콩과 수입 콩 비교]콩의 어...
범한판토스 VS 한진 - 해외물류 현황과 전략 관련 뉴스 (범한판토스 해외물류현황, 범한판토...
이디야커피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