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부 환영의 탄생
제 2부 화가들이 사랑한 신과 영웅들
제 3부 영원한 동경
제 2부 화가들이 사랑한 신과 영웅들
제 3부 영원한 동경
본문내용
혹은 보편적 통념을 상징적인 허구의 대상을 통해 드러내는 문학, 예술 작품을 뜻한다. 그러니까 영적이거나 정신적인, 혹은 추상적이거나 지적인 관념들을 구체적이고 물질적인 형상을 통해 드러내는 것이다. 자연히 상징들이 일종의 구성 단위로 사용된다. 이 때 동원된 상징은 구체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으나 이것들은 다 허구이다. 그러니까, 브론치노 그림의 예를 들면, 아프로디테는 미의 상징일 뿐이지 진짜 아프로디테의 조각을 만들 때에는 그 여신이 실재한다고 생각해서 조상을 세워 경배하려 한 것이었으며, 서양 예술가들이 특정한 아프로디테 이야기를 작품화했을 때는 구체적인 신화 이야기를 예술적 주제로 택해 형성화하려 했던 것이다. 그러나 알레고리에서는 아프로디테가 그런 역사적인, 혹은 실제적인 의미를 갖지 않는다. 그것은 그러 사랑이라는 관념의 표현일 뿐이다.
*고대로의 끝없는 회귀
고대에 대한 기억이 후대인들의 현실과 시대상황에 따라 다채로운 색채를 보이지만, 그래도 예술 속에서 되살아난 고대의 모습엔 언제나 일종의 낭만이 배어 있다. 고대를 향한 우리의 시선은 늘 그리움과 동경을 동반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우리에게 고대는 그 전체가 영원한 낭만의 신화이다.
*고대로의 끝없는 회귀
고대에 대한 기억이 후대인들의 현실과 시대상황에 따라 다채로운 색채를 보이지만, 그래도 예술 속에서 되살아난 고대의 모습엔 언제나 일종의 낭만이 배어 있다. 고대를 향한 우리의 시선은 늘 그리움과 동경을 동반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우리에게 고대는 그 전체가 영원한 낭만의 신화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