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테러와의 전쟁선언 틀에서 북·미 외교관계 전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미국의 테러와의 전쟁선언 틀에서 보는 북한 (惡의 축)

3. 북·미 외교관계 전망

4. 결론

본문내용

를 표명한 것은 북미관계 개선에 긍정적 역햐을 할 수 있는 좋은 소식이다. 백남순 북한 외무상이 이달 초 방북한 스웨덴 특별사절단 면담시 12개 반테러 국제협약 중 아직 가입하지 않은 5개 협약에도 가입하겠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북한의 테러협약 가입의사는 국제사회의 반테러 협력 추세에 동참하는 것으로 적극 환영할 만하다.
미국 행정부 일각에서 북한이 이라크 등과 함께 아프간전쟁 이후 제2의 공격목표로 거론되는 상황에서 북한의 이같은 테러협약 가입 확대는 한반도 위기 가능성을 약화시킨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미국은 북한의 움직임에 대해 당장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으나 북한이 반 테러 입장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만큼 테러지원국 해제 문제를 전향적으로 검토해야 할 때가 왔다.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묶어 놓은 상태에서 북미대화가 제대로 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미국은 북한의 핵-미사일-생화학무기 등 대량살상무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북한을 대화 테이블에 끌어내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물론 북한도 확실한 행동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북한이 남북대화 재개를 위해서는 남측의 비상경계 태세가 먼저 해제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 일이다. 테러협약에 추가 가입하겠다면서 테러에 대비한 비상경계령을 계속 문제삼는 것은 모순이다. 북한은 남북대화를 재개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국제사회의 신뢰를 얻고 미국과의 관계개선에도 도움이 되는 길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 참고문헌 및 참고사이트 ◈
- 참고문헌 -
·아시아사회과학연구편, 이장희저, 2001년, "북미관계정상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모색"
·지평서원, 제성호저, 2000년, " 한반도 평화체제의 모색"
·김영사, 리처드하스저, 2002년, " 9.11 테러이후 부시행정부의 한반도 정책 "
- 참고사이트 -
·조선일보 홈페이지 (http://www.chosun.com)
·경향신문 홈페이지 (http://www.khan.co.kr)
·한국일보 홈페이지 (http://www.hankooki.com/hankook.htm)
·한겨레신문 홈페이지 (http://www.hani.co.kr)
·국민일보 홈페이지 (http://www.kukminilbo.co.kr)
·자유토론광장 홈페이지 (http://www.toron.org)
·MBC 100분 토론 (http://imbc.com/tv/culture/toron/index.html)

키워드

미국,   테러,   전쟁선언,   북미,   외교관계,   전망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1.12
  • 저작시기200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18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