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THE EVOLUTION OF RISK MANAGEMENT PRODUCTS
2. IMPACT OF THE INTRODUCTION OF THE RISK MANAGEMENT PRODUCTS
3. SECOND-GENERATION OPTIONS
4. HYBRID SECURITIES
2. IMPACT OF THE INTRODUCTION OF THE RISK MANAGEMENT PRODUCTS
3. SECOND-GENERATION OPTIONS
4. HYBRID SECURITIES
본문내용
bonds)을 개발하였고, Standard Oil사는 1986년에 무이표채권과 유럽형 원유옵션을 결합한 원유연계채권(oil-indexed notes)을 개발하였으며, First Boston사는 1985년에 고정금리채권과 유럽형 통화옵션을 결합한 통화옵션연계채권(indexed currency option note : ICON)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채권을 다른 채권으로 전환할 수 있는 옵션, 예컨데, 1979년에는 변동금리채권을 고정금리채권으로 전환할 수 있는 장기채권으로 전환할 수 있는 만기연장채권(extendable bonds)이 개발되었다.
1986년에는 채권의 원금상환액을 Nikkei 225 지수 또는 S&P 500 지수와 같은 주가지수에 연계시킨 채권이 개발되었다. Salmon Brothers사는 고정금리채권과 S&P 500 지수콜옵션을 결합한 SPIN(S&P 500 index subordinated notes)을 개발하였고, Golden Sachs사는 무이표채권과 S&P 500 지수콜옵션을 결합한 SIGN(stock index growth notes)을 개발하였다.
4. Debt Plus a Package of Options
.Commodity interest-indexed bonds
.Bonds with interest payments determined by equity returns
.Bonds with packages of interest rate options
.Inflation rate interest indexed bonds
C. Hybrids Composed of Equity and Derivatives
주식·파생상품 혼성증권(equity/derivatives hybrids securities)은 주식과 파생상품요소를 서로 결합한 혼성증권을 말한다.
1. Equity Plus Swaps
주식·스왑 혼성증권(equity/swaps hybrid securities)은 주식과 스왑을 결합한 혼성증권을 말한다. 예를 들어, 1982년에 단기금리의 변동에 대응하여 배당률을 주기적으로 조정하는 변동배당우선주(adjustable-rate stocks)가 개발되었는데, 이는 우선주와 금리스왑을 결합한 혼성증권에 속한다. 여기서 금리스왑은 우선주배당률에 연계시켜 금리를 지급하는 대신에 변동금리를 수취하는 금리스왑이다.
2. Equity Plus One Options
주식·파생상품 혼성증권(equity/options hybrid securities)은 주식과 옵션을 결합한 혼성증권을 말한다. 예를 들어, Americus Trusts사는 1983년에 주식의 배당과 자본이득 부분을 서로 분리한 PRIME(Prescribed Right to Income and Maximum Equity)과 SCORE(Special Claim on Residual Equity)를 발행하였고, Arley Merchandise사는 1984년에 주가가 일정수준 이하로 하락할 경우에 더 많은 주식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풋터블주식(puttable stock)을 발행하였다. 풋터블주식 투자자는 주가가 일정수준 이하로 하락할 경우에 주가하락을 주식수의 증가로 보충할 수 있다.
.Option on a commodity
.Option on Managerial Behavior
.Option on the outcome of litigation
D. The Economic Rational for Issuing Hybrids Securities
1. To Provide Investors With a Play
기업이나 금융기관에서 혼성증권을 발행하는 주된 이유는 자금조달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다. 투자자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혼성증권을 직접 개발하는 것보다 완제품 형태의 혼성증권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기업이나 금융기관에서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혼성증권을 발행하여 판매함으로써 자금조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요소증권에 내재된 여러 가지 위험을 혼성증권으로 헤지하게 되면, 자금조달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예컨데, 금리스왑을 이용하여 특정 통화로 자금을 다른 통화로 전환함으로써 자금조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2. To Arbitrage Tax and/or Regulatory
시장간에 세제나 규제상 차이가 존재할 경우에 세금 차이를 이용한 차익거래(tax arbitrage) 또는 규제상 차이를 이용한 차익거래(regulatory arbitrage)를 통해 이익을 얻기 위해 혼성증권을 발행한다. 예컨데, 보통주와 혼성증권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 중에서 세제 또는 규제상 차이로 인해 혼성증권이 더 유리할 수 있다.
3. To Align Interests of Shareholders and Bondholders
혼성증권은 주주와 채권자간의 에이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데, 주주들이 기존의 채권과 우선순위가 같거나 선순위의 채권을 추가로 발행할 경우에는 기존의 채권가격이 하락하게 되는데, 채권자들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풋터블본드(puttable bond)를 이용하면 된다. 기업이 높은 수익을 얻기 우해 고위험 투자안을 선택할 경우에는 주가는 상승하지만 기존의 채권가격이 하락하게 되는데, 채권자들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전환사채를 이용하면 된다.
E. Investor Strategies for using Hybrid
1. Using Hybrids to Enhance Yield
Hybrids는 거래감소비용으로 수익률을 강화할 수 있다. 이것은 세제 차익거래 혹은 규제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Hybrids는 또한 위험변동 혹은 이자율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받아들이는 시장위험에서 투자자 허가에 의해서 수익률을 강화할 수 있다.
2.Using Hybrids to Control Risk
투자자는 헷지를 한 Hybrids 혹은 위험의 다양한 형태인 포트폴리오노출의 수정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양도지수기록은 positive 볼록함이다. 그러므로 그들은 저당대출담보부증권의 negative 볼록함을 차감계산에 사용되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채권을 다른 채권으로 전환할 수 있는 옵션, 예컨데, 1979년에는 변동금리채권을 고정금리채권으로 전환할 수 있는 장기채권으로 전환할 수 있는 만기연장채권(extendable bonds)이 개발되었다.
1986년에는 채권의 원금상환액을 Nikkei 225 지수 또는 S&P 500 지수와 같은 주가지수에 연계시킨 채권이 개발되었다. Salmon Brothers사는 고정금리채권과 S&P 500 지수콜옵션을 결합한 SPIN(S&P 500 index subordinated notes)을 개발하였고, Golden Sachs사는 무이표채권과 S&P 500 지수콜옵션을 결합한 SIGN(stock index growth notes)을 개발하였다.
4. Debt Plus a Package of Options
.Commodity interest-indexed bonds
.Bonds with interest payments determined by equity returns
.Bonds with packages of interest rate options
.Inflation rate interest indexed bonds
C. Hybrids Composed of Equity and Derivatives
주식·파생상품 혼성증권(equity/derivatives hybrids securities)은 주식과 파생상품요소를 서로 결합한 혼성증권을 말한다.
1. Equity Plus Swaps
주식·스왑 혼성증권(equity/swaps hybrid securities)은 주식과 스왑을 결합한 혼성증권을 말한다. 예를 들어, 1982년에 단기금리의 변동에 대응하여 배당률을 주기적으로 조정하는 변동배당우선주(adjustable-rate stocks)가 개발되었는데, 이는 우선주와 금리스왑을 결합한 혼성증권에 속한다. 여기서 금리스왑은 우선주배당률에 연계시켜 금리를 지급하는 대신에 변동금리를 수취하는 금리스왑이다.
2. Equity Plus One Options
주식·파생상품 혼성증권(equity/options hybrid securities)은 주식과 옵션을 결합한 혼성증권을 말한다. 예를 들어, Americus Trusts사는 1983년에 주식의 배당과 자본이득 부분을 서로 분리한 PRIME(Prescribed Right to Income and Maximum Equity)과 SCORE(Special Claim on Residual Equity)를 발행하였고, Arley Merchandise사는 1984년에 주가가 일정수준 이하로 하락할 경우에 더 많은 주식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풋터블주식(puttable stock)을 발행하였다. 풋터블주식 투자자는 주가가 일정수준 이하로 하락할 경우에 주가하락을 주식수의 증가로 보충할 수 있다.
.Option on a commodity
.Option on Managerial Behavior
.Option on the outcome of litigation
D. The Economic Rational for Issuing Hybrids Securities
1. To Provide Investors With a Play
기업이나 금융기관에서 혼성증권을 발행하는 주된 이유는 자금조달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다. 투자자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혼성증권을 직접 개발하는 것보다 완제품 형태의 혼성증권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기업이나 금융기관에서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혼성증권을 발행하여 판매함으로써 자금조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요소증권에 내재된 여러 가지 위험을 혼성증권으로 헤지하게 되면, 자금조달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예컨데, 금리스왑을 이용하여 특정 통화로 자금을 다른 통화로 전환함으로써 자금조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2. To Arbitrage Tax and/or Regulatory
시장간에 세제나 규제상 차이가 존재할 경우에 세금 차이를 이용한 차익거래(tax arbitrage) 또는 규제상 차이를 이용한 차익거래(regulatory arbitrage)를 통해 이익을 얻기 위해 혼성증권을 발행한다. 예컨데, 보통주와 혼성증권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 중에서 세제 또는 규제상 차이로 인해 혼성증권이 더 유리할 수 있다.
3. To Align Interests of Shareholders and Bondholders
혼성증권은 주주와 채권자간의 에이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데, 주주들이 기존의 채권과 우선순위가 같거나 선순위의 채권을 추가로 발행할 경우에는 기존의 채권가격이 하락하게 되는데, 채권자들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풋터블본드(puttable bond)를 이용하면 된다. 기업이 높은 수익을 얻기 우해 고위험 투자안을 선택할 경우에는 주가는 상승하지만 기존의 채권가격이 하락하게 되는데, 채권자들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전환사채를 이용하면 된다.
E. Investor Strategies for using Hybrid
1. Using Hybrids to Enhance Yield
Hybrids는 거래감소비용으로 수익률을 강화할 수 있다. 이것은 세제 차익거래 혹은 규제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Hybrids는 또한 위험변동 혹은 이자율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받아들이는 시장위험에서 투자자 허가에 의해서 수익률을 강화할 수 있다.
2.Using Hybrids to Control Risk
투자자는 헷지를 한 Hybrids 혹은 위험의 다양한 형태인 포트폴리오노출의 수정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양도지수기록은 positive 볼록함이다. 그러므로 그들은 저당대출담보부증권의 negative 볼록함을 차감계산에 사용되어 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