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청나라의 한인통치책
2) 청조에 대한 한인신사의 대응
3) 통치제도와 황제독재체제
4) 경제정책과 생산력의 증가
< 참고문헌 >
2) 청조에 대한 한인신사의 대응
3) 통치제도와 황제독재체제
4) 경제정책과 생산력의 증가
< 참고문헌 >
본문내용
있다. 淸초의 세법은 明代의 一條鞭法을 그대로 계승하였다. 一條鞭法은 종래의 잡다한 세목을 地稅(전부)와 丁稅(요역)로 양분하여 이를 銀으로 납부한 것이다. 康熙帝는 유례가 없을 정도로 대폭적인 조세감면을 단행하였다. 뿐만 아니라 康熙 50년의 丁冊에 등록된 丁男을 기준으로 이후에 태어난 人丁(盛世滋生丁)은 영원히 정세를 면제하는 특별 賦役免除制度를 실시하였다. 이것이 실시된 동기는 一條鞭法의 세제 하에서 丁稅는 토지를 소유한 人丁만이 그 대상이 되었는데 康熙시대에는 평화가 계속되어 人口가 급증하고 토지소유의 집중화 현상이 나타나면서 대토지 소유자는 교묘히 丁稅를 탈세하고 오히려 토지가 없는 농민이나 빈민이 이를 부담하는 모순이 생기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丁稅의 총액이 고정됨에 따라 丁稅를 地稅에 포함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地主나 富戶는 人丁을 은닉하고 국가는 부족 丁稅의 차액을 이웃이나 친족에 부과하게 되어 세금액수가 부족하게 되는 등 또 다른 사회문제가 되었다. 康熙 55년 운남도어사인 董之遂가 토지를 정확히 조사하고 여기에 丁稅를 합쳐 토지의 다과에 따라 조세를 부과할 것을 상소하였다. 그 후 광동성에서 丁稅를 地稅에 포함시키는 조치를 취하였는데, 이를 계기로 雍正 7년(1729)에 이르러 전국적으로 地丁銀制를 시행하게 되었다. 地丁銀制의 실시로 一條鞭法에서 정세의 지세로 양분되었던 세제가 한걸음 더 발전하여 토지세만으로 단일화된 것이다.
이와 같이 淸代는 地丁銀制의 실시로 조세의 합리화를 꾀하였을 뿐만 아니라 정세를 지세에 통합하였기 때문에 토지가 많으면 많은 지세를 부담하고 가난한 농민은 丁銀의 압박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그 결과로 丁口를 숨기거나 납세를 기피하는 현상도 사라지게 되어 인구의 증가와 호구의 파악이 용이하게 되었고 이로써 乾隆, 가경 연간에 인구의 급격한 증가를 보게 되었다.
<參考文獻>
신채식 저, 동양사개론, 삼영사, 1993, pp. 607∼619.
이춘식 저, 중국사서설, 교보문고, 2000, pp. 405∼426.
송환도웅 외 저, 조성을 역, 중국사개설, 한울아카데미, 1999, pp. 298∼299.
동양사학회 편, (개관) 동양사, 지식산업사, 1990, pp. 251∼261.
전백찬 편, 이진복·김진옥 역, 중국전사(하), 학민사, 1990, pp. 246∼251, 259∼266.
중국사연구실 편, 중국역사, 신서원, 1993, pp. 310∼330.
그리하여 丁稅의 총액이 고정됨에 따라 丁稅를 地稅에 포함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地主나 富戶는 人丁을 은닉하고 국가는 부족 丁稅의 차액을 이웃이나 친족에 부과하게 되어 세금액수가 부족하게 되는 등 또 다른 사회문제가 되었다. 康熙 55년 운남도어사인 董之遂가 토지를 정확히 조사하고 여기에 丁稅를 합쳐 토지의 다과에 따라 조세를 부과할 것을 상소하였다. 그 후 광동성에서 丁稅를 地稅에 포함시키는 조치를 취하였는데, 이를 계기로 雍正 7년(1729)에 이르러 전국적으로 地丁銀制를 시행하게 되었다. 地丁銀制의 실시로 一條鞭法에서 정세의 지세로 양분되었던 세제가 한걸음 더 발전하여 토지세만으로 단일화된 것이다.
이와 같이 淸代는 地丁銀制의 실시로 조세의 합리화를 꾀하였을 뿐만 아니라 정세를 지세에 통합하였기 때문에 토지가 많으면 많은 지세를 부담하고 가난한 농민은 丁銀의 압박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그 결과로 丁口를 숨기거나 납세를 기피하는 현상도 사라지게 되어 인구의 증가와 호구의 파악이 용이하게 되었고 이로써 乾隆, 가경 연간에 인구의 급격한 증가를 보게 되었다.
<參考文獻>
신채식 저, 동양사개론, 삼영사, 1993, pp. 607∼619.
이춘식 저, 중국사서설, 교보문고, 2000, pp. 405∼426.
송환도웅 외 저, 조성을 역, 중국사개설, 한울아카데미, 1999, pp. 298∼299.
동양사학회 편, (개관) 동양사, 지식산업사, 1990, pp. 251∼261.
전백찬 편, 이진복·김진옥 역, 중국전사(하), 학민사, 1990, pp. 246∼251, 259∼266.
중국사연구실 편, 중국역사, 신서원, 1993, pp. 310∼330.
추천자료
(중국사회의 지속과 변화) 명청시대의 수공업 : 실패한 산업혁명인가?
중국의 근대 자본주의(명,청시대 자본주의 맹아론)
춘추전국시대에서 청까지의 중국의 철학사상
(중국현대사)중국(청)의 양무운동과 일본의 메이지유신 비교분석
[중국][중국통치][청나라][군벌통치][연성자치운동][중국통치의 역사][청나라의 중국통치][중...
[중국]중국 역사의 시작과 중국 북위(북위나라)의 통치체제, 중국 요(요나라)의 통치체제, 중...
[중국][명청사회][명청시대]중국 명청사회(명청시대)의 성립, 중국 명청사회(명청시대)의 발...
[중국 청나라][중국][청나라][청대]중국 청대(청나라)의 협의소설, 중국 청대(청나라)의 견책...
중국 청해시에 대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