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음악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양음악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음악사의 시대적 분류

Ⅱ. 고대 시대(선사시대로부터 기원 200년경까지)
가. 중국
나. 이집트
다. 헤브라이
라. 그리스
1) 구성(Texture)
2) 이론(Theory)
3) 기보법(Notation)
마. 로마
바. 단선 성가
1) 일반적인 특징
2) 단선성가의 종류
3) 교회선법
(1)정격선법(Authentic modes)
(2)변격선법(Plagal modes)
(3)선법 번호(Mode Number)
(4)마니피깟 (Magnicat)
(5)Requiem (Magnicat)

Ⅱ. 중세 시대(800 - 1400)
가. 세속가곡의 특징
나. 초기의 폴리포니
1) 성부별 창법
○ 오르가눔
다. 아르스 안티콰
○ 음악상의 일반적 특성
○ 형식
라. 아르스 노바
○ 일반적인 음악상의 특성
마. 악기의 사용
바. 그레고리오 성가

Ⅳ 르네상스 시대(1400 - 1600)
가. 15세기
1) 영국과 부르군트 음악의 특성
2) 프랑드르 음악의 특성
나. 16세기
1) 로마 카톨릭 교회의 음악 특성
2) 르네상스의 기악 스타일
3) 음악의 기보법
4) 악보 인쇄
5) 르네상스의 음악양식
6) 무지카 픽타
7) 리듬
8) 음악과 가사
9) 음악 구조

Ⅴ 바로크 시대(1600 - 1750)
가. 음악적 특성
나. 감상곡
1) G선상의 아리아 C장조 4/4
2) 오라토리오 [메시아]

Ⅵ. 고전파 시대(1750-1820)
가. 음악에 있어서의 고전주의
나. 고전주의 음악의 특성
1) 형식
2) 악곡 구조(Texture)
3) 선율의 스타일
4) 화성
5) 즉흥 연주
6) 절대 음악
다. 감상곡
1) 오라토리오 ≪천지 창조≫ (DIE SCHOPFUNG)
2) 베토벤의 교향곡 ≪운명≫ 제5번 (SYMPONY NO.5 `Schicksal` OP.67)

Ⅶ. 낭만파 시대(1820-1900)
가. 음악의 일반적 특성
나. 독특한 음악적 특성
1) 선율
2) 화성
3) 조성
4) 텍스처
5) 다이내믹스
6) 형식
다. 오라토리오 (Oratorio)
라. 음악학의 대두
마. 감상곡
1) 비 창(교향곡 제6번 B단조 작품74)
2) 아름다운 물방앗간 아가씨 D.795)

Ⅷ. 20세기(1900- )
가. 음악에 있어서의 일반적인 여러 경향
1) 낭만주의
2) 인상주의
3) 표현주의
4) 신고전주의
5) 기 타
나. 감상곡
1)「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 Pr lude I`apr s-midi d`un faune

본문내용

애처롭고 감상적인 정서를 추상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또 선율의 아름다움과 균형잡힌 형식으로 관현악법적인 교묘한 처리가 이 곡을 매우 인상적으로 보게 한다. 표제음악적인 내용으로 고전 교향곡보다 제법 자유로운 형식인데 2악장이 우아하지만 느리지 않고 빠른 점, 3악장이 전통의 3박자의 무도리듬에 의한 것이 아니고 4박자의 행진곡 같은 리듬이며 4악장도 통례의 급박하고 경쾌한 느낌인 점이 고전시대의 전통을 벗어난 것이다.
2) 아름다운 물방앗간 아가씨 D.795)
작곡자 : 슈베르트(1797-1828)
감 상 : 이 가곡집은 슈베르트의 최초의 가곡집으로 1823년에 작곡되었다. 소박하고 청순한 서정미가 넘쳐흐르는 뮐러(1794-1827)의 시에 붙은 연가곡(Song cycle)으로서 당시 슈베르트의 건강이 좋지 않아서 이중의 몇 곡은 병원에서 작곡되기도 하였다. 이 가곡집을 작곡하게 된 동기는 1823년 봄, 슈베르트는 친구인 란트하르팅거를 방문했다가 그가 돌아오기를 기다리던 중 우연히 한 권의 시집을 펴 보았는데 그것이 바로 뭘러의 시집 "발트호른 부는 사람의 유고(遺稿)에서의 시집"이었다. 슈베르트는 이 시집에 대단히 흥미를 느껴 친구가 돌아오기를 기다리지도 않고 말도 없이 그것을 빌려가지고 돌아 왔다. 그 다음날 란트하르팅거가 슈베르트를 방문하고 이미 그 중 3곡이 작곡이 되어 있었다는 일화가 있다.
Ⅷ 20세기(1900- )
가. 음악에 있어서의 일반적인 여러 경향
20세기 음악에 여러 잡다한 경향이 내재하고 있음은 1900년 이후의 음악이 지금까지의 역사에서는 볼 수 없었던 다양성을 지니고 있다는 증거이다. 그것은 연대순으로 정연하게 나타나는 계열로서는 정리할 수 없고, 오히려 각 경향의 발전이 서로 겹쳐지고, 어느 경향은 다른 경향보다 더 오랫동안 지속되고, 또 어떤 경향은 다른 경향보다 더 뚜렷하게 나타나기도 하여 보다 깊게 침투되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뚜렷한 구별이 있는 것도 아니고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해서 명백한 단일 스타일에 으해 발전을 수행하고 있는 것도 아니다. 그리고 하나로 한정되지 않은 몇 가지의 경향이 작곡가 한 사람의 개인적인 스타일에 동화되어 있다.
1) 낭만주의
급진적인 혁신적 경향이 20세기초의 수십 년 동안에 나타났었으나 전과 다름 없이 낭만주의적 흐름은 20세기의 주류로서 남아 있다. 개인적 주관성, 정서성, 표제적 요소나 대규모의 오케스트라는 새로운 화성, 리듬, 음색, 조성을 사용한 작품 가운데서도 그래도 지속되고 있는 특징이다.
2) 인상주의
19세기적 표현과는 다른 정교성, 치밀성, 형식의 애매성 및 '빛나는 안개'와 같은 분위기를 자아내는 점에서 높은 차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보다 자세하게 그 특색을 분석해 보면, ① 신 선법성, ② 개방 화음(화음의 제3음이 빠진 5도와 8도), ③ 9의 화음과 새로운 구조로 된 화음의 빈번한 사용, ④ 병행법과 그 밖의 불규칙적인 화음 진행, ⑤ 온음음계의 사용, ⑥ 자유로운 리듬과 규칙적인 마디줄의 경시, ⑦ 특히 피아노 음악에 있어서 넓은 간격과 극단적인 음역의 사용 등이다.
3) 표현주의
1910년에서 1930년에 걸쳐 프랑스의 인상주의에 대한 반동으로서 독일의 일부에서 일어난 운동이었다. 이것은 잠재의식의 표현을 추구하려는 것으로서 음악을 주정(主情)적으로 방향지우려는 데서 낭만주의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 스타일은 불협화적인 음향과 무조를 특색으로 하고 있다.
4) 신고전주의
대위법적 수법이나 르네상스, 바로크로부터의 여러 형식(푸가, 파사칼리아, 토카타, 마드리갈)을 현대적인 화성이나 리듬, 조성, 선율, 음색 등을 사용해서 재현시키려고 하고 있다.
5) 기 타
이외에도 실용 음악, 재즈(래그타임, 블루스, 딕시랜드 재즈, 스윙, 부기우기, 밥)와 절대 음악, 민족주의, 즉흥 연주, 우연성 음악, 전자 음악, 부조리성 음악 등 다양하다.
나. 감상곡
1)「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 Pr lude I'apr s-midi d'un faune
드뷔시 〔Debussy, Claude Achille(1862.8.22~1918.3.25) 프랑스〕는 프랑스가 낳은 20세기의 세계적인 음악가인 그는 인상파 음악의 창시자이며 완성자 이다.
프랑스의 시인 말라르메의 상징시에서 만들어진 이 곡은 드뷔시의 위치를 확고부동케 한 명작으로, 1892년 30세 때에 작곡하여 그 이듬해에 초연 되었고, 당시의 파리 사람들은 이 곡에 흥분하여 아낌없는 갈채를 보냈다. 어쩐지 나른한 여름날의 오후. 시칠리아 섬 해변의 숲이 우거진 그늘에서 졸고 있던 목신 포느 (머리와 몸통은 사람이고, 그 아래는 짐승처럼 생겼음)는 꿈처럼 가물가물한 상태에서 나무 사이로 목욕을 하고 있는 요정을 발견한다. 그러나 이것이 현실인지 환상인지 자신도 모른다. 목신은 저편에서 흔들리는 하얀 것에 감정의 불꽃을 태우며, 또한 이전에 숲이나 샘 가에서 보았던 요정을 상기하면서, 달려 나아가 사랑의 여신 비너스를 환상 속에 껴안는다. 일어나는 몽롱한 욕정에 빠지는 관능의 즐거움. 이윽고 환상의 요정은 사라지고, 망연한 권태가 상쾌하게 그의 마음을 감싼다. 목신은 또다시 오후의 고요함과 그윽한 풀 내음 속에 잠들어 버린다.
처음에 주요 주제가 플루트로 연주되고, 이어 오보에와 클라리넷이 이것을 발전시키며, 하프가 가볍게 맞장구를 친다. 여름날에 가벼운 미풍이 나뭇잎을 흔드는 느낌이다. 베일을 쓴 듯한 분위기로 플루트와 첼로가 그것을 연출한다. 멀리 메아리치는 호른의 울림에 하프가 조용히 화답하고 있다. 목신 포느의 꿈길일까? 작은 심벌의 잘게 새기는 타음(打音)이 리드미컬하게 울리며 폼페이의 옛 무곡을 본뜬 정취를 그리는데, 이윽고 얼마 후 제 1주제가 약 음기를 단 현악기에 의해 재현되며 조용히 마친다.
참고 서적
1. 박홍규(1999) 음악교육. 진주교육대학교음악교육과
2. H. M. Miller(1997), 김동선 역. 새서양음악사. 서울. 현대음악출판사
3. 홍세원 역(1999), 서양음악사 , 아트소오스
4. 서우석 역(1999), 서양음악사, 수문당
5. 허방자 역(2000), 서양음악발달사, 삼호출판사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4.01.21
  • 저작시기200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21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