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커리큘럼에 대한 대조적 접근들
2. `필요` 교육과정
A. `필요`의 개념
B. 교육과정에서의 필요
C. 교육 외적인 필요와 학교
D. `필요`와 동기 부여
3. 인간의 본성에 대한 고려
A. ‘인간 본성’의 개념
B. 인간의 본성에 대한 기술
C. 교육에서의 인간 본성에 대한 고려
4. 교육과정 내용의 선정 원리
2. `필요` 교육과정
A. `필요`의 개념
B. 교육과정에서의 필요
C. 교육 외적인 필요와 학교
D. `필요`와 동기 부여
3. 인간의 본성에 대한 고려
A. ‘인간 본성’의 개념
B. 인간의 본성에 대한 기술
C. 교육에서의 인간 본성에 대한 고려
4. 교육과정 내용의 선정 원리
본문내용
간이 되는가 하는 것은 결국 우리가 내리는 결정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인간의 본성에 관한 연구는 어떤 의의가 있는가?
C. 교육에서의 인간 본성에 대한 고려
⑴ '아동의 본성에 관하여 무엇이 事實인가?' 하는 것으로부터 '우리는 교육과정에 무엇을 포함시켜야 하는가?' 하는 當爲를 도출하려는 것은 논리적 오류, 이른바 자연주의적 오류이다.
⑵ 인간의 본성은 우리가 해야 할 일을 안내할 수는 없지만, 우리가 해서는 안 되는 일에 관해 많은 교훈을 준다. 집단으로서 아동들이 발달하는 패턴과 관련하여, 그들이 어떻게 본성(또는 자연)에 따라 발달하는지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래야 교사들은 학생들이 완수할 수 없는 것을 그들에게 강요하지 않게 된다. 불가능한 것을 강요하면 학생과 교사 모두가 갈등을 겪고 지속적인 손상을 입게 된다. 그것이 교사들에게 兒童 發達과 靑少年의 心理 공부가 중요한 까닭이다.
⑶ 전체 아동 집단의 인간 본성에 관한 고려와 마찬가지로, 個性이나 個人差에 대한 고려도 敎育課程의 문제에서 단지 주변적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
4. 교육과정 내용의 선정 원리
지금까지 우리는 "우리 아이들에게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라는 중요한 커리큘럼의 문제는 아동의 '필요'나 '인간의 본성'이나 '개인차'에 호소하여도 해결될 수 없다는 것을 알아보았다. 그렇다면 교양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의무교육 프로그램에 포함시켜야 할 교육내용을 선정할 때 지켜야 할 원리들은 무엇인가?
⑴ 직접 가르치지 않고는, 혹은 그 일에 종사해 보지 않고는 理解나 習得이 불가능한 것, 또는 그럴 것 같은 것을 선발하라.
① 어려운 것, 쉽지 않은 것(소비자를 위한 數學보다는 代數學)을 가르쳐라.
② 理論的인 것, 非實際的인 것(工學보다는 物理學의 법칙들)을 가르쳐라.
③ 일상적인 생활 사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것들(요리, 대중가요, 상거래)로 시달리지 말라.
⑵ 사회에 그것을 대행할 기관이 없는 것들을 선택하여 가르쳐라.
⑶ 一般化할 수 있는 眞理를 간직하고 있는 것, 생활에 폭넓게 적용되는 것, 그리고 삶의 여러 국면들을 예시하는 것들을 선택하라. 특히 인간의 영원한 사상과 감동과 관심을 간직하고 있는 것들을 선택하라.
⑷ 여러 가지 '知識의 形式들', 즉 논리적으로 독특한 개념적 틀의 구조와 형식을 습득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선택하여 가르쳐라.
참고문헌
1. 곽병선(1995). 교육과정. 서울: 배영사
C. 교육에서의 인간 본성에 대한 고려
⑴ '아동의 본성에 관하여 무엇이 事實인가?' 하는 것으로부터 '우리는 교육과정에 무엇을 포함시켜야 하는가?' 하는 當爲를 도출하려는 것은 논리적 오류, 이른바 자연주의적 오류이다.
⑵ 인간의 본성은 우리가 해야 할 일을 안내할 수는 없지만, 우리가 해서는 안 되는 일에 관해 많은 교훈을 준다. 집단으로서 아동들이 발달하는 패턴과 관련하여, 그들이 어떻게 본성(또는 자연)에 따라 발달하는지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래야 교사들은 학생들이 완수할 수 없는 것을 그들에게 강요하지 않게 된다. 불가능한 것을 강요하면 학생과 교사 모두가 갈등을 겪고 지속적인 손상을 입게 된다. 그것이 교사들에게 兒童 發達과 靑少年의 心理 공부가 중요한 까닭이다.
⑶ 전체 아동 집단의 인간 본성에 관한 고려와 마찬가지로, 個性이나 個人差에 대한 고려도 敎育課程의 문제에서 단지 주변적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
4. 교육과정 내용의 선정 원리
지금까지 우리는 "우리 아이들에게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라는 중요한 커리큘럼의 문제는 아동의 '필요'나 '인간의 본성'이나 '개인차'에 호소하여도 해결될 수 없다는 것을 알아보았다. 그렇다면 교양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의무교육 프로그램에 포함시켜야 할 교육내용을 선정할 때 지켜야 할 원리들은 무엇인가?
⑴ 직접 가르치지 않고는, 혹은 그 일에 종사해 보지 않고는 理解나 習得이 불가능한 것, 또는 그럴 것 같은 것을 선발하라.
① 어려운 것, 쉽지 않은 것(소비자를 위한 數學보다는 代數學)을 가르쳐라.
② 理論的인 것, 非實際的인 것(工學보다는 物理學의 법칙들)을 가르쳐라.
③ 일상적인 생활 사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것들(요리, 대중가요, 상거래)로 시달리지 말라.
⑵ 사회에 그것을 대행할 기관이 없는 것들을 선택하여 가르쳐라.
⑶ 一般化할 수 있는 眞理를 간직하고 있는 것, 생활에 폭넓게 적용되는 것, 그리고 삶의 여러 국면들을 예시하는 것들을 선택하라. 특히 인간의 영원한 사상과 감동과 관심을 간직하고 있는 것들을 선택하라.
⑷ 여러 가지 '知識의 形式들', 즉 논리적으로 독특한 개념적 틀의 구조와 형식을 습득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선택하여 가르쳐라.
참고문헌
1. 곽병선(1995). 교육과정. 서울: 배영사
추천자료
전통 음악 교육 과정 확대의 필요성
[가상교육][원격교육][가상교육방법]가상교육의 발전 과정, 가상교육의 필요성, 가상교육의 ...
(유아교육기관운영A형)영유아 발달과 바람직한 운영에 초점을 두고 보육기관 평가인증 영역 ...
[통일교육][통일교육 지도원리]통일교육의 목적, 통일교육의 변천 과정, 통일교육의 필요성, ...
[통일교육][통일교육의 내실화 방안]통일교육의 의미, 통일교육의 변천 과정, 통일교육의 필...
[교육상담][교육상담학][학교상담][인성교육]교육상담의 정의, 교육상담의 형태, 교육상담의 ...
[EBS교육방송 방송학습]EBS교육방송 방송학습 의미와 유형, EBS교육방송 방송학습 필요성과 ...
[기업윤리의 교육] 기업윤리교육의 필요성과 내용 및 효과, 기업윤리의 과정
스스로-보육과정-보육의 필요성을 사회적 변화, 경제적 변화, 교육적 인식 변화의 관점
환경교육의 ICT(정보통신기술)활용 필요성, 환경교육의 ICT(정보통신기술)활용과정, 환경교육...
보육과정 - 보육환경 변화에 따른 보육의 필요성을 사회적 변화, 경제적 변화, 교육적 인식 ...
[한국 다문화교육의 배경과 방향] 다문화교육의 가치와 필요성 및 교육모형, 한국(우리나라)...
외국어를 배울 때 그 나라의 문화를 알면 좀 더 쉽게 하나의 언어를 배울 수 있다. 언어교육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