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적’의 논리
A. ‘목적’이라는 개념의 몇 가지 일반적 특징
B. 교육의 목적
2. ‘교육의 목적’에 대한 해석
3. 교육의 목적으로서의 인간의 발달
A. ‘목적’이라는 개념의 몇 가지 일반적 특징
B. 교육의 목적
2. ‘교육의 목적’에 대한 해석
3. 교육의 목적으로서의 인간의 발달
본문내용
, '힘', '속도', '중력' 등의 개념을 이해해야 하며, 그와 함께 그런 개념으로 성립된 假說을 검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實驗이나 觀察의 방법을 배우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내용과 방법은 모두 공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기껏해야 이러한 사고의 형식을 대강 파악하고 그 지식 중의 한 부분을 통달하는 데 그친다. 이와는 달리 소수의 사람들은 그 내용을 비판하고 수정하며 검증 방법을 정교화 함으로써 그 사고의 형식을 출중하게 발전시키는 데 현저한 공헌을 한다. 그러나 수준의 고하를 막론하고 그러한 사고의 형식 안에 들어가서 그것을 자기 자신의 것으로 內面化 하는 사람들의 눈에는 公的인 世界의 윤곽이, 그 內面化의 수준에 상응하는 만큼 변형된다. 그러한 사고의 형식에 입문되는 과정이 곧 교육이다.
개인의 생활사에서 일어나는 이런 발달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⑴ 아기와 같이 어린 시기는 사물을 인식할 수 있는 의식적인 상태가 아니다. 갓 태어난 新生兒는 기껏해야 미발달된 희구들(wishes)을 갖고 있을 뿐이다.
⑵ 그 아이는 조금 더 자라서 意識이 발달하지만(아마도 처음에는 어머니에 대한 의식일 것이다), 아직 신념 욕구 특수 정서로 분화되어 있지는 않다.
⑶ 그는 성장하면서 그리고 언어를 습득하면서 계획 규칙 목표에 관련된 추리 정보 인과 관계, 그리고 수단-목적의 관계에 대한 이해 등을 획득함으로써 풍부한 意識의 樣式들을 획득한다.
⑷ 더 완전하게 발달된 사람은 여러 종류의 知識을 획득하고, 사물을 경험하는 다양한 방식들에 대한 眼目을 갖고, 眞理 基準들을 존중하며, 저변에 깔려 있는 理由와 原因들을 理解한다. 이런 사람이 바로 교육받은 사람, 인간으로서 완전하게 발달한 사람이고, 이런 사람을 길러내기 위해서는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수업이 필요하다.
⑸ 그렇기 때문에, Hirst는 敎育이 바로 人間의 發達이라고 주장한다.
① 교육은 여러 가지 知識의 形式들을 성취하는 것이다.
② 지식을 성취하는 것은 合理性의 발달에 필요하다.
③ 합리성을 성취하는 것은 種으로서의 人間을 禽獸와 구별해 주는 特性을 성취하는 것과 같다.
④ 교육은 합리성의 성취와 같으므로 교육은 人間의 發達과 같다.
⑤ 합리성은 그 자체로 정당화되므로 교육에 대한 정당화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⑥ 따라서 교육의 목적은 內在的이며 明瞭하다.
이처럼 교육이 인간의 발달과 같다는 관점은 많은 假定들에 의존하고 있다.
⑴ 마음이 타고난 것이 아니라는 것은 유아에 대한 관찰에 토대를 둔 經驗的 命題이다.
⑵ 마음이 인간 존재의 본질적 속성이라는 것(추리 능력, 自意識, 정서적 능력, 욕구하고 욕구를 바꾸는 능력, 말하고 槪念化하는 능력 등과 같은 정신 능력들이 인간의 가장 중요한 특징들이라는 주장)은 論理的 命題이다.
⑶ 마음이 어린 시기에는 徒弟學習과 같이 끈질기고 반복된 가르침을 통해, 그리고 더 성숙한 발달 단계에서는 주로 授業에 의한 計劃的인 入門의 過程을 통해 가장 잘 발달된다는 것은 經驗的 假定이다.
⑷ 經驗을 통한 學習은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槪念的 範疇를 전제하고 있다는 假定은 論理的 命題이다.
따라서 이런 가정들이 합리적이라면, 교육이 인간의 발달이라는 관점도 역시 합리적이다. 한 가지 유의할 점은 '합리성이 맨 처음에 어떻게 나타나는가?' 하는 發生(genesis)의 문제는 '그것이 일단 나타난 뒤에 어떻게 성장하고 분화해 가는가?'하는 발달(development)의 문제와 아주 다르며, 전자에 대한 설명이 충분하지 못하다고 해서 후자에 대한 설명이 자동적으로 폐기되는 것은 아니다.
합리성의 발생과 발달간의 이런 차이는 '인간이 되는 것'과 '인간으로서 발달하는 것'의 차이와 같다. 교육은 인간이 아닌 존재를 비로소 인간으로 변화시키는 일이 아니다. 우리가 교육하는 대상은 이미 사람인 존재이며, 교육을 받고 난 뒤에도 여전히 사람일뿐이다. 그렇더라도 후자의 사람은 전자와 다른 사람이다. 즉 교육은 어린아이가 거의 발달되지 않은 상태로 소유하고 있던 합리적 능력을 더 완전한 것으로 획득함으로써 더 완전한 인간이 되도록 돕는 일인 것이다. 그렇다면, 학부모들이 자식을 학교에 맡기면서 항용 하는 말, 즉 '이 아이를 선생님께서 부디 사람으로 만들어 주십시오.' 하는 부탁도 위의 구분에 비추어서 '정신적인 의미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정 순목, 교육이란 무엇인가. 서울, 정익사, 1980.
2. 정 호표, 교육학개론. 서울: 교육과학사, 1993
개인의 생활사에서 일어나는 이런 발달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⑴ 아기와 같이 어린 시기는 사물을 인식할 수 있는 의식적인 상태가 아니다. 갓 태어난 新生兒는 기껏해야 미발달된 희구들(wishes)을 갖고 있을 뿐이다.
⑵ 그 아이는 조금 더 자라서 意識이 발달하지만(아마도 처음에는 어머니에 대한 의식일 것이다), 아직 신념 욕구 특수 정서로 분화되어 있지는 않다.
⑶ 그는 성장하면서 그리고 언어를 습득하면서 계획 규칙 목표에 관련된 추리 정보 인과 관계, 그리고 수단-목적의 관계에 대한 이해 등을 획득함으로써 풍부한 意識의 樣式들을 획득한다.
⑷ 더 완전하게 발달된 사람은 여러 종류의 知識을 획득하고, 사물을 경험하는 다양한 방식들에 대한 眼目을 갖고, 眞理 基準들을 존중하며, 저변에 깔려 있는 理由와 原因들을 理解한다. 이런 사람이 바로 교육받은 사람, 인간으로서 완전하게 발달한 사람이고, 이런 사람을 길러내기 위해서는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수업이 필요하다.
⑸ 그렇기 때문에, Hirst는 敎育이 바로 人間의 發達이라고 주장한다.
① 교육은 여러 가지 知識의 形式들을 성취하는 것이다.
② 지식을 성취하는 것은 合理性의 발달에 필요하다.
③ 합리성을 성취하는 것은 種으로서의 人間을 禽獸와 구별해 주는 特性을 성취하는 것과 같다.
④ 교육은 합리성의 성취와 같으므로 교육은 人間의 發達과 같다.
⑤ 합리성은 그 자체로 정당화되므로 교육에 대한 정당화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⑥ 따라서 교육의 목적은 內在的이며 明瞭하다.
이처럼 교육이 인간의 발달과 같다는 관점은 많은 假定들에 의존하고 있다.
⑴ 마음이 타고난 것이 아니라는 것은 유아에 대한 관찰에 토대를 둔 經驗的 命題이다.
⑵ 마음이 인간 존재의 본질적 속성이라는 것(추리 능력, 自意識, 정서적 능력, 욕구하고 욕구를 바꾸는 능력, 말하고 槪念化하는 능력 등과 같은 정신 능력들이 인간의 가장 중요한 특징들이라는 주장)은 論理的 命題이다.
⑶ 마음이 어린 시기에는 徒弟學習과 같이 끈질기고 반복된 가르침을 통해, 그리고 더 성숙한 발달 단계에서는 주로 授業에 의한 計劃的인 入門의 過程을 통해 가장 잘 발달된다는 것은 經驗的 假定이다.
⑷ 經驗을 통한 學習은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槪念的 範疇를 전제하고 있다는 假定은 論理的 命題이다.
따라서 이런 가정들이 합리적이라면, 교육이 인간의 발달이라는 관점도 역시 합리적이다. 한 가지 유의할 점은 '합리성이 맨 처음에 어떻게 나타나는가?' 하는 發生(genesis)의 문제는 '그것이 일단 나타난 뒤에 어떻게 성장하고 분화해 가는가?'하는 발달(development)의 문제와 아주 다르며, 전자에 대한 설명이 충분하지 못하다고 해서 후자에 대한 설명이 자동적으로 폐기되는 것은 아니다.
합리성의 발생과 발달간의 이런 차이는 '인간이 되는 것'과 '인간으로서 발달하는 것'의 차이와 같다. 교육은 인간이 아닌 존재를 비로소 인간으로 변화시키는 일이 아니다. 우리가 교육하는 대상은 이미 사람인 존재이며, 교육을 받고 난 뒤에도 여전히 사람일뿐이다. 그렇더라도 후자의 사람은 전자와 다른 사람이다. 즉 교육은 어린아이가 거의 발달되지 않은 상태로 소유하고 있던 합리적 능력을 더 완전한 것으로 획득함으로써 더 완전한 인간이 되도록 돕는 일인 것이다. 그렇다면, 학부모들이 자식을 학교에 맡기면서 항용 하는 말, 즉 '이 아이를 선생님께서 부디 사람으로 만들어 주십시오.' 하는 부탁도 위의 구분에 비추어서 '정신적인 의미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정 순목, 교육이란 무엇인가. 서울, 정익사, 1980.
2. 정 호표, 교육학개론. 서울: 교육과학사, 1993
추천자료
유아교육기관중심의 부모교육의 목적, 필요성, 내용, 유형 등에 대한 설명(부모교육 B형)
[발명영재교육][발명영재]발명영재의 개념, 발명영재의 판별과 발명영재교육의 목적, 발명영...
몬테소리의 생애, 교육이론, 교육 사상의 배경,교육 목적, 교육 방법, 교사관
[환경교육][환경교육의 지도상 유의점]환경교육의 정의, 환경교육의 배경, 환경교육의 목적, ...
[유아 과학교육]유아 과학교육의 변화, 유아 과학교육의 목적, 유아 과학교육의 중요성, 유아...
[교육][교육의 가능성][교육의 미래][교육의 철학적탐구][교육의 평등][교육의 과제]교육의 ...
[미술관교육][미술교육][영국의 미술관교육 사례]미술관교육의 개념, 미술관교육의 유형, 미...
[가족생활교육] 부모교육과 부모자녀관계교육의 개념과 정의 - 부모교육과 부모자녀 관계교육...
평생교육과 학교교육의 목적에 대하여 논하시오 [평생교육]
[교육과 사회사상 敎育 社會思想] 그람시(Gramsci)의 교육사상에 대한 이해 - 그람시에 있어...
[부모父母교육] 부모교육의 역사, 부모교육의 개념, 부모교육의 필요성, 부모교육의 목적
[보육학개론] 현대 아동중심 보육사상에 영향을 미친 코메니우스(Johann Amos Comenius, 1592...
평생교육의 목적과 가치, 평생교육의 철학적, 사회학적, 심리학적 배경에 대해서 설명 (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