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접두사
(1)접두사의 종류
(2)접두사의 특징
(3)접두사의 분포 조사
3.접미사
(1)접미사의 종류
(2)접미사의 특징
(3)개별 접미사의 기능 및 특징
4.결론
2.접두사
(1)접두사의 종류
(2)접두사의 특징
(3)접두사의 분포 조사
3.접미사
(1)접미사의 종류
(2)접미사의 특징
(3)개별 접미사의 기능 및 특징
4.결론
본문내용
사라고 할 수 있다.
(6) ㉠ *심청이는 아름다운 꽃 다운 나이에 죽었다
(7) ㉡ 홍길동은 의리의 사나이다운 삶을 살았다.
4) -거리 -, -대-
\'-거리-\'와 \'-대-\'는 동사를 파생시키는 접미사 중 가장 生産的인 것들인데, 그 분포와 기능이 거의 같아서 이들이 결합된 두 짝은 흔히 동의어로 처리되어 왔다. 가령 사전에서 \'투덜대다\'를 찾으면 \'투덜거리다\'를 찾아보라고 처리되어 있다. (한때는 \'-대다\'형은 \'-거리다\'형의 非標準型으로 처리되기도 하였다.) 사실 \'-거리-\'와 \'-대-\'는 동작성을 지니는 어근과 결합하여 \'어근의 동작을 지속 반복 적으로 하다\' 라는 의미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
실상 이들은 거의 모든 경우에 서로 기계적으로 대체되는 관계에 있다. 아래 (1) 에서 그 생생한 실례를 볼 수 있다. (1㉠)은 의태어 어근, (1㉡)은 의성어 어근, (1㉢)은 반복형 의성의태어에 각각 \'-거리-\' 와\'-대-\'가 접미된 예들이다. (1㉠-㉢)는 모두 어근의 반복형에 도 \'-거리-\' 와\'-대-\'가 접미할 수 있고 단독형에는 접미할 수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이처럼 \'-거리-\'와 \'-대-\'는 거의 그 분포가 일치하여 서로 넘나드는 관계를 유지한다. 그러나 예외도 없지 않다. (2)는 소수이지만 \'-거리-\' 와 \'-대-\'의 분포가 일치하지 않는 예들로서\'-대-\'만이 허용되고 \'-거리-\'는 불가능하다.\'-거리-\'는 1음절 어근에는 전혀 접미하지 못하며, 모음으로 끝나는 어근에도 거의 결합되지 않는 점에서 \'-대-\'와 구별된다.
(1) ㉠ 꿈지럭거리다/대다/ 북적거리다/대다. 비틀거리다/ 대다. 실룩거리다/ 대다. 훌쩍거리 다/ 대다
㉡ 더듬거리다/ 대다, 흔들거리다/대다. 긁적거리다/대다. 기웃거리다/ 대다, 덜컹거 리다/ 대다. 삐걱거리다/대다. 소근거리다/대다, 동동거리다/ 대다, 떨떨거리다/대다, ㉢ 달그락거리다/대다, 덜컹거리다/대다, 삐걱거리다/대다, 소근거리다/대다, 동동거리다/대 다, 빌빌거리다/대다, 실실거리다/대다, 쿵쿵거리다/대다, 킁킁거리다/대다
(2) *나거리다 - 어리대다, *비비거리다-비비대다, *뻗거리다 - 뻗대다, *어리거리다- 어리대다, *으르거리다 - 으르대다, *으스거리다-으스대다
5) -적(的)
- 적(的)은 중국어로서의 용법과 관계없이 국어에서 대단한 生産性을 가지고 단어 형성에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는 요소로서, 국어 造語法에서 분명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문법단위이다. -적(的)은 주로 한자어에 붙어 파생어를 만든는데 , -的’ 파생어는 통사적으로 명사를 수식하는 관형어의 기능과 조사 -으로’와 ‘-이다’가 붙어서 부사어 또는 서술어의 기능을 갖는다. 또 부정문의도 명사와 같이 ‘∼이 아니다\'의 형식을 취한다.
(1) 국가의 위기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2) 국가의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3) 국가의 위기에 대한 대처가 매우 적극적이다.
(4) 국가의 위기에 대한 대처가 적극적이 아니다.
앞의 예문 (1)∼(4) 에서 보듯이 파생어는 어휘 범주상으로 명사이다. 그러나 의미상으로는 형용사에 가까워서 형용사 형성 파생접미사인 \'-답-. -되/롭 -\' -스럽-, -하-, 와 자주 비교되고 \'-답-, -되/롭-, -스럽-, -하-\'상호 간에는 같은 어근을 취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지만 이들 중 어느 것과도 배타적인 분포를 보임을 알 수 있다.
(5) *촌되다 촌스럽다 *村的
*귀족되다 *귀족스럽다 貴族的
*도시롭다 *도시스럽다 都市的
*흉물되다 흉물스럽다 *凶物的
*고집되다 고집스럽다 *固執的
복되다 복스럽다 *福的
한가하다 한가롭다 *閑暇的
고독하다 *고독스럽다 *孤獨的
*정하다 정답다 *情的
\'-的\' 파생어는 명사와 같은 겉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그 내용으로 는 형용사인 매우 특이한 파생어라고 할 수 있다. \'매우 적극적이다\'처럼 부사 \'매우\'의 꾸밈을 받는 일이나 \'적극적이지 않다(*않는다) \'나 \'적극적이지 못하다(*못한다)\'와 같은 부정 형식도 형용사적인 성격을 잘 드러내 준다
다음 (6)의 예들에서 볼 수 있는 \'-的\'의 의미는 \'-답-, -되/롭-, -스럽-, -하-\'와 같은 \"어근의 속성이 풍부히 있음\"이다 이에 비해 (7)의 예들에서는 \"어근의 속성이 풍부히 있음\"이라는 의미 가 잘 드러나지 않아서 앞의 명사를 관형어로 만들어 주는 조사 \'의\'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6) 귀족적 풍모, 신사적 태도, 도시적 세련미, 정신적 세계, 여성적 용모, 혁명적 사태, 정열적 포옹, 목가적 풍경.
(7) 국가적 목표, 자연적 혜택, 數的 우세, 美的 감각, 구체적 방법, 추상적 사고, 정치적 목적, 관용적 용법
Ⅳ. 결론
語根의 의미를 제한할 뿐이며 실질적인 의미는 가지지 않는 형식 형태소인 接辭(affix)에 대하여 특징과 종류를 알아보고 그 활용 및 다양한 쓰임과 기능에 대하여도 아울러 살펴보았다. 接辭는 語根에 결합하여 뜻을 더하여 주는 한정적 接辭와 統辭 범주를 바꾸는 지배적 통사인 統辭的 접사로 나눌 수 있으며 語根에 붙는 위치에 따라 接頭辭와 接尾辭로 분류하고 우리 국어의 接頭辭는 語根 앞에 결합하여 뜻을 더해 주는 한정적인 기능만 있을 뿐 語根의 統辭 範疇를 바꾸는 기능은 없음을 알게 되었다.
接尾辭는 어근의 통사 범주를 바꾸는 지배적 접사 \'-이, -(으)ㅁ\'과 의미만 첨가하는 한정적 접사\'-군, -님, -들, -씨, -쯤…\' 등으로 나누는 명사 파생 접미사와 명사, 형용사, 부사에 결합하여 동사를 형성하는 \'-되-, -시키-\' 등의 동사 파생 접미사가 있으며 명사, 동사에 결합하여 형용사를 형성하는 \'-하-, -답-, -스럽-, -롭-\' 등의 형용사 파생 접미사와 명사, 동사, 형용사에 결합하여 부사를 형성하는\'-이, -히\' 등의 부사 파생 접미사, 그리고 피동사 파생 접미사와 피동사 파생 접미사 등으로 분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참고 자료
◎ 동아 새국어 사전, 이기문 감수, 동아출판사(1994)
◎ 國語文法論, 李翊燮·任洪杉 公儲, 學硏社(1998)
◎ 개정판 학교문법, 이관규, 월인(1999)
◎ 국어 문법론 강의, 이익섭·채완 공저, 학연사(2002)
(6) ㉠ *심청이는 아름다운 꽃 다운 나이에 죽었다
(7) ㉡ 홍길동은 의리의 사나이다운 삶을 살았다.
4) -거리 -, -대-
\'-거리-\'와 \'-대-\'는 동사를 파생시키는 접미사 중 가장 生産的인 것들인데, 그 분포와 기능이 거의 같아서 이들이 결합된 두 짝은 흔히 동의어로 처리되어 왔다. 가령 사전에서 \'투덜대다\'를 찾으면 \'투덜거리다\'를 찾아보라고 처리되어 있다. (한때는 \'-대다\'형은 \'-거리다\'형의 非標準型으로 처리되기도 하였다.) 사실 \'-거리-\'와 \'-대-\'는 동작성을 지니는 어근과 결합하여 \'어근의 동작을 지속 반복 적으로 하다\' 라는 의미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
실상 이들은 거의 모든 경우에 서로 기계적으로 대체되는 관계에 있다. 아래 (1) 에서 그 생생한 실례를 볼 수 있다. (1㉠)은 의태어 어근, (1㉡)은 의성어 어근, (1㉢)은 반복형 의성의태어에 각각 \'-거리-\' 와\'-대-\'가 접미된 예들이다. (1㉠-㉢)는 모두 어근의 반복형에 도 \'-거리-\' 와\'-대-\'가 접미할 수 있고 단독형에는 접미할 수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이처럼 \'-거리-\'와 \'-대-\'는 거의 그 분포가 일치하여 서로 넘나드는 관계를 유지한다. 그러나 예외도 없지 않다. (2)는 소수이지만 \'-거리-\' 와 \'-대-\'의 분포가 일치하지 않는 예들로서\'-대-\'만이 허용되고 \'-거리-\'는 불가능하다.\'-거리-\'는 1음절 어근에는 전혀 접미하지 못하며, 모음으로 끝나는 어근에도 거의 결합되지 않는 점에서 \'-대-\'와 구별된다.
(1) ㉠ 꿈지럭거리다/대다/ 북적거리다/대다. 비틀거리다/ 대다. 실룩거리다/ 대다. 훌쩍거리 다/ 대다
㉡ 더듬거리다/ 대다, 흔들거리다/대다. 긁적거리다/대다. 기웃거리다/ 대다, 덜컹거 리다/ 대다. 삐걱거리다/대다. 소근거리다/대다, 동동거리다/ 대다, 떨떨거리다/대다, ㉢ 달그락거리다/대다, 덜컹거리다/대다, 삐걱거리다/대다, 소근거리다/대다, 동동거리다/대 다, 빌빌거리다/대다, 실실거리다/대다, 쿵쿵거리다/대다, 킁킁거리다/대다
(2) *나거리다 - 어리대다, *비비거리다-비비대다, *뻗거리다 - 뻗대다, *어리거리다- 어리대다, *으르거리다 - 으르대다, *으스거리다-으스대다
5) -적(的)
- 적(的)은 중국어로서의 용법과 관계없이 국어에서 대단한 生産性을 가지고 단어 형성에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는 요소로서, 국어 造語法에서 분명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문법단위이다. -적(的)은 주로 한자어에 붙어 파생어를 만든는데 , -的’ 파생어는 통사적으로 명사를 수식하는 관형어의 기능과 조사 -으로’와 ‘-이다’가 붙어서 부사어 또는 서술어의 기능을 갖는다. 또 부정문의도 명사와 같이 ‘∼이 아니다\'의 형식을 취한다.
(1) 국가의 위기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2) 국가의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3) 국가의 위기에 대한 대처가 매우 적극적이다.
(4) 국가의 위기에 대한 대처가 적극적이 아니다.
앞의 예문 (1)∼(4) 에서 보듯이 파생어는 어휘 범주상으로 명사이다. 그러나 의미상으로는 형용사에 가까워서 형용사 형성 파생접미사인 \'-답-. -되/롭 -\' -스럽-, -하-, 와 자주 비교되고 \'-답-, -되/롭-, -스럽-, -하-\'상호 간에는 같은 어근을 취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지만 이들 중 어느 것과도 배타적인 분포를 보임을 알 수 있다.
(5) *촌되다 촌스럽다 *村的
*귀족되다 *귀족스럽다 貴族的
*도시롭다 *도시스럽다 都市的
*흉물되다 흉물스럽다 *凶物的
*고집되다 고집스럽다 *固執的
복되다 복스럽다 *福的
한가하다 한가롭다 *閑暇的
고독하다 *고독스럽다 *孤獨的
*정하다 정답다 *情的
\'-的\' 파생어는 명사와 같은 겉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그 내용으로 는 형용사인 매우 특이한 파생어라고 할 수 있다. \'매우 적극적이다\'처럼 부사 \'매우\'의 꾸밈을 받는 일이나 \'적극적이지 않다(*않는다) \'나 \'적극적이지 못하다(*못한다)\'와 같은 부정 형식도 형용사적인 성격을 잘 드러내 준다
다음 (6)의 예들에서 볼 수 있는 \'-的\'의 의미는 \'-답-, -되/롭-, -스럽-, -하-\'와 같은 \"어근의 속성이 풍부히 있음\"이다 이에 비해 (7)의 예들에서는 \"어근의 속성이 풍부히 있음\"이라는 의미 가 잘 드러나지 않아서 앞의 명사를 관형어로 만들어 주는 조사 \'의\'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6) 귀족적 풍모, 신사적 태도, 도시적 세련미, 정신적 세계, 여성적 용모, 혁명적 사태, 정열적 포옹, 목가적 풍경.
(7) 국가적 목표, 자연적 혜택, 數的 우세, 美的 감각, 구체적 방법, 추상적 사고, 정치적 목적, 관용적 용법
Ⅳ. 결론
語根의 의미를 제한할 뿐이며 실질적인 의미는 가지지 않는 형식 형태소인 接辭(affix)에 대하여 특징과 종류를 알아보고 그 활용 및 다양한 쓰임과 기능에 대하여도 아울러 살펴보았다. 接辭는 語根에 결합하여 뜻을 더하여 주는 한정적 接辭와 統辭 범주를 바꾸는 지배적 통사인 統辭的 접사로 나눌 수 있으며 語根에 붙는 위치에 따라 接頭辭와 接尾辭로 분류하고 우리 국어의 接頭辭는 語根 앞에 결합하여 뜻을 더해 주는 한정적인 기능만 있을 뿐 語根의 統辭 範疇를 바꾸는 기능은 없음을 알게 되었다.
接尾辭는 어근의 통사 범주를 바꾸는 지배적 접사 \'-이, -(으)ㅁ\'과 의미만 첨가하는 한정적 접사\'-군, -님, -들, -씨, -쯤…\' 등으로 나누는 명사 파생 접미사와 명사, 형용사, 부사에 결합하여 동사를 형성하는 \'-되-, -시키-\' 등의 동사 파생 접미사가 있으며 명사, 동사에 결합하여 형용사를 형성하는 \'-하-, -답-, -스럽-, -롭-\' 등의 형용사 파생 접미사와 명사, 동사, 형용사에 결합하여 부사를 형성하는\'-이, -히\' 등의 부사 파생 접미사, 그리고 피동사 파생 접미사와 피동사 파생 접미사 등으로 분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참고 자료
◎ 동아 새국어 사전, 이기문 감수, 동아출판사(1994)
◎ 國語文法論, 李翊燮·任洪杉 公儲, 學硏社(1998)
◎ 개정판 학교문법, 이관규, 월인(1999)
◎ 국어 문법론 강의, 이익섭·채완 공저, 학연사(200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