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교육의 기초 - 음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음악교육의 기초 - 음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음계(scale)의 정의는?

2. 음계의 종류
● 온음계
● 반음계
● 온음음계

3. 12음 음계(Twelve-tone sacle)

4. 5음 음계(Pentatonic sacle)

5. 음계의 구조와 계명(Solmisation)

6. 교회선법

본문내용

들이다. 교회선법은 중세와 르네상스 시기에 서양 음악의 기본이 되는 음악이었고, 종교 음악에서 뿐만 아니라 세속음악에서도 사용되었다. 서양음악의 많은 민속음악에서도 교회선법들의 패턴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교회선법은 정격선법(正格旋法,홀수번호)과 변격선법(變格旋法,짝수번호)으로 나뉜다.
정격선법은 '라', '마', '바', '사'음을 각각 시작음으로 하는 상행 8도의 온음계적 음열(흰건반만 연주함)을 말하는데 '라'음에서 시작하는 것을 도리아선법(Dorian mode), '마'음에서 시작하는 것을 프리기아선법(Phrygian mode),'바'음에서 시작하는 리디아선법(Lydian mode), '사'음에서 시작하는 믹솔리디아선법(Mixolydian mode)이라 한다. 정격선법의 제1음은 마침음 또는 종지음 [終止音:finalis]으로 멜로디의 기본음이다.(교회 선법에서는 으뜸음 이라는 개념이 끝마치는 음이라는 의미를 많이 담고 있기 때문에 으뜸음 이라고 하지 않고 마침음 이라고 함).그 5도 위의 음은 딸림음 또는 부(副)마침음, 낭송음이라 하며 노래 중간에 서정적인 가사를 말하듯 노래할 때 사용된다. 낭송음이 '시'가 될 때는 바로 위에 있는 '도'음을 낭송음이 된다.
변격선법(變格旋法)은 정격선법의 4도 아래서 시작하는 선법을 말하는데 '히포(Hypo)'를 각각 붙여, 히포도리아선법·히포프리기아선법·히포리디아선법·히포믹솔리디아선법이라 하여 모두 8개의 선법을 이룬다. 변격선법의 마침음은 정격선법과 동일하며 낭송음은 정격선법 낭송음의 3도 아래가 된다. 변격선법의 낭송음도 '시'가 되었을 때는 '도'를 낭송음으로 한다. 변격의 낭송음은 정격 낭송음보다 3도 아래에 위치한다. 교회선법은 멜로디 구성을 위한 8가지의 8음 음렬로 구성되어 있다.
교회선법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이 음의 배열(순서)이지만, 다음의 요소들도 무슨 선법인지를 구분하는 데에 중요하다
① 음역(ambitius), 멜로디는 대부분 한 옥타브 안에서 움직인다.
② 종지음(finalis), 멜로디의 기본음이다.
③ 낭송음(tenor, 또는 turba), 가사의 많은 부분(단어)들이 이 음에서 낭송된다.
④ 일정한 틀의 멜로디
참고문헌 ----------------------------------------------
1. 성경희(1988). 음악과 교육론, 서울:갑을출판사
2. 방금주(1990). 음악교육의 기초, 서울:삼호출판사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2.02
  • 저작시기200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26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