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유아교육에서의 멀티미디어 교육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21세기 신교육체제의 필요성
- 사회의 급격한 변화

Ⅱ. 멀티미디어의 개념, 유형, 특성 및 적용
A. 멀티미디어의 개념
B. 멀티미디어의 유형에 따른 특성과 적용

Ⅲ. 체제접근에 의한 멀티미디어 활용

Ⅳ. 유아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인터넷 웹자료 활용 예

Ⅴ. 결론

본문내용

라이트 형제의 비행기부터 우주왕복선까지의 역사를 그림과 도표를 통해 알 수 있다. 각종 비행선, 여객기, 전투기, 우주선등의 이미지를 한꺼번에 볼 수 있다. '탈 것' 단원에 맞춰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야생동물협회 홈페이지 http://www.nwf.org/nwf/
이 싸이트는 지구상에서 점점 그 수가 감소되고 있는 야생동물을 보호하자는 목적으로 만들었다. 현존하는 야생동물 중에서 멸종되어가는 동물을 주로 다루었다. 여기에서 한번도 듣거나 보지 못한 동물을 많이 알게 될 것이다. '동물' 단원에 맞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한국의 유아교육 홈페이지 http://web2.kwangju.ac.kr/~ykj/
광주대학교 유아교육과 유구종 교수가 운영하는 한국의 유아교육 홈페이지이다. 유치원 교구와 교재, 그림책, 유아용 놀이, 컴퓨터 게임, 대화방, 보육, 발달 관련 정보, 인형의 종류등의 정보를 볼 수 있다.
◆ 호랑이 정보 싸이트 http://www.5tigers.org
전 세계에 분포한 야생 호랑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싸이트로서 생태, 분포지역, 습성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어린이들을 위한 내용을 따로 마련하고 있다. '동물' 단원에 맞춰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유아교육 관련 기구 홈페이지
◆ NAEY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http://www.naeyc.org
Young Children이라는 잡지로 잘 알려진 미국유아교육협회의 홈페이지이다.
◆ 한국어린이육영회 http://www.yukyoung.or.kr
한국어린이육영회의 홈페이지로서, 한국어린이육영회 소개, 교재교구 소개 등을 볼 수 있고, 어린이들이나 부모들에게 유용한 싸이트들을 링크해 놓고 있다.
◆ 부산대 보육정보센터 http://hyowon.cc.pusan.ac.kr:8080/~educare/
부산대학교 보육종합센터는 종합적인 영유아 보육서비스의 제공이라는 기본 목적과 영유아보육의 질적 향상에 이바지한다는 취지로, 부산대학교에서 1993년 12월 21일 국내 유일의 보육종합센터를 착공하여, 1995년 3월 개관하였다. 이 홈페이지는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홈페이지와 연결되어 있다.
국내 유아교육기관 홈페이지
◆ 관인 큰별어린이집 http://soback.kornet.nm.kr/~bigstar/
관인큰별 어린이집은 천안 지역내 유아교육기관중 최초로 홈페이지를 제작하여, 유아교육정보교류와 학부모들을 위한 교육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천안지역내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어린이 교육에 관한 상담을 받는다.
컴퓨터 교육 관련
◆ Bologna New Media Prize
http://www2.childrenssoftware.com/childrenssoftware/Bologna/default.html
매년 어린이에게 교육적으로 좋은 소프트웨어 혹은 미디어를 심사해서 수상하고 있는 볼로냐 뉴미디어 프라이즈를 소개하는 싸이트이다.
◆ 조선일보 키드넷 http://kidnet.chosun.com
'어린이에게 인터넷을'이라는 구호를 걸고 시작한 조선일보의 키드넷 운동 홈페이지이다. 여기서의 어린이는 주로 초등학생을 위한 것이지만, 아직 시작되고 있다고도 볼 수 없는 유아교육에서의 인터넷 사용에도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문학적 접근, 총체적 언어 관련
◆ 에릭 칼(Eric Carle)의 홈페이지 http://www.eric-carle.com/
국내에 그림책'배고픈 애벌레'의 작가로 잘 알려진 에릭 칼의 홈페이지이다. 에릭 칼의 그림책들을 오래된 것부터 최근의 것까지 소개해놓고 있다. 그림책을 가지고 확장활동을 할 때 에릭 칼에게 전자우편보내기 활동을 해볼 수 있다.
프로젝트 접근법 관련
◆ Lilian G. Katz의 홈페이지 http://www.ed.uiuc.edu/ci/ci_people/LKatz.html
프로젝트 접근법으로 국내에 잘 알려져 있는 Katz 교수의 홈페이지이다.
◆ The Project Approach http://www.ualberta.ca/~schard/projects.htm
Chard가 개설한, 프로젝트 접근법의 모든 것을 소개하는 싸이트이다. 이곳에서는 여러 가지 주제에 대한 프로젝트 접근의 실례를 상세하게 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 S. Chard의 홈페이지 http://www.ualberta.ca/~schard/chard.htm
S. Chard는 프로젝트 접근법을 주로 연구하고 있는 캐나다 알버타 대학교의 교수이다. 프로젝트 접근법 홈페이지와 연결되어 있다.
Ⅴ. 결론
사회의 변화와 테크놀로지의 발전, 학습자 중심의 학습에 대한 이해의 확산, 그리고 첨단 공학을 통한 교육개혁의 의지로 인해 21세기의 교육 패러다임은 변화하고 있다. 즉, 정보화사회의 교육은 후기 산업사회의 교육과는 완전히 다른 교수-학습방식을 요구하게 될 것이다. 현장 교사의 지식과 경험이 지식의 원천이 되던 시대에서 탈피하여 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한 원격교육의 활용이 활발해져 멀티미디어 기반 지식 데이터베이스와 전문가체제를 활용하게 될 것이며 교사는 이의 조정자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멀티미디어가 학습자을 위한 "learningware"가 되는 정보시대의 교육에서는 학생들이 컴퓨터와 멀티미디어를 자신의 연필, 참고서, 백과사전, 계산기, 크레용 등과 같은 학습도구로써 자연스럽게 활용하도록 미디어.컴퓨터리터러시를 함양시켜야하고 나아가서는 생활 속에서 학습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영수(1997). "열린교육체제의 지원을 위한 방송교육매체의 활용방안," 교육방송연구. 서울:
한국교육방송연구회.
김회수(1995). 멀티미디어 설계와 개발. 서울: 교육과학사.
변영계, 김영환(1997). "Internet을 활용한 개별화 수업용 멀티미디어의 개발과 그 효과: peer
tutoring 방식을 중심으로," 교육방송연구, 서울: 한국교육방송연구회.
이인숙(1996). "인터넷 해외교육자료 가공을 위한 전략: 에듀넷 해외교육자료 개발 사례,"
교육방송연구, 서울: 한국교육방송연구회.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4.02.03
  • 저작시기200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26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