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법론 구성에도 도움이 된다.
그런데 우리는 아직 구성주의적 학습 방식에 익숙하지 않다. 교사는 중앙에서 만들어진 코드화된 도덕지식을 소매상에 지나지 않고, 학생은 그것을 소비만 하고 있다. 아동은 배우는 주종적 관계에 길들어져 교사는 말하고, 아동은 듣기만 하는 관행에 익숙해 있다. 이러한 전통적 학습방식은 주입식 교화 방식으로서 현대교육에는 결코 효과성을 발휘할 수 없다. 도덕이라는 것이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 요구되는 소통적 담론이라면 어른과 아동, 아동과 아동 사이에 벌어지는 여러 가지 도덕적 사태에 대해 함께 문제를 인식하고 갈등을 해결하는 적극적 주체적 구성과정이야말로 공동체의 도덕적 기반을 더욱 튼튼하게 할 것이다. 이제 교단교사는 아동을 주체적으로 키울 수 있는 구성주의적 교사가 될 수 있는 자기연찬 노력을 하여야 한다. 나아가 교사는 학생을 미성숙자로만 여겨 어린애 취급하는 것이 아니라, 도덕적 주체자로서 당당하게 인식하여 그들의 일상생활에서 벌어지는 도덕적 사태를 스스로 구성할 수 있고, 민주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도덕적 분위기를 조성할 때 아동의 도덕성 함양은 더욱 배가될 것이다.
참고문헌 ----------------------------------------------
1. 차우규·추병완·신현우·정창우·황인표 공저 (1999), 도덕과 수행평가, 서울: 백의.
2. 추병완·최근순 공역 (1999), 구성주의 교수·학습론, 서울: 백의.
3. 추병완 (1999a), 도덕 교육의 이해, 서울: 백의.
4. 추병완 (1999b), "구성주의적 인격교육론," 초등도덕 교육, 5호.
그런데 우리는 아직 구성주의적 학습 방식에 익숙하지 않다. 교사는 중앙에서 만들어진 코드화된 도덕지식을 소매상에 지나지 않고, 학생은 그것을 소비만 하고 있다. 아동은 배우는 주종적 관계에 길들어져 교사는 말하고, 아동은 듣기만 하는 관행에 익숙해 있다. 이러한 전통적 학습방식은 주입식 교화 방식으로서 현대교육에는 결코 효과성을 발휘할 수 없다. 도덕이라는 것이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 요구되는 소통적 담론이라면 어른과 아동, 아동과 아동 사이에 벌어지는 여러 가지 도덕적 사태에 대해 함께 문제를 인식하고 갈등을 해결하는 적극적 주체적 구성과정이야말로 공동체의 도덕적 기반을 더욱 튼튼하게 할 것이다. 이제 교단교사는 아동을 주체적으로 키울 수 있는 구성주의적 교사가 될 수 있는 자기연찬 노력을 하여야 한다. 나아가 교사는 학생을 미성숙자로만 여겨 어린애 취급하는 것이 아니라, 도덕적 주체자로서 당당하게 인식하여 그들의 일상생활에서 벌어지는 도덕적 사태를 스스로 구성할 수 있고, 민주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도덕적 분위기를 조성할 때 아동의 도덕성 함양은 더욱 배가될 것이다.
참고문헌 ----------------------------------------------
1. 차우규·추병완·신현우·정창우·황인표 공저 (1999), 도덕과 수행평가, 서울: 백의.
2. 추병완·최근순 공역 (1999), 구성주의 교수·학습론, 서울: 백의.
3. 추병완 (1999a), 도덕 교육의 이해, 서울: 백의.
4. 추병완 (1999b), "구성주의적 인격교육론," 초등도덕 교육, 5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