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학교란 무엇인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좋은학교란 무엇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좋은 학교의 요건

본문내용

것은 사회의 탓으로 돌려온 것 같다. 이는 발전적인 학교가 사회와 분리 내지는 괴리되어 존재한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논리대로라면 바람직하지 않은 사회에는 바람직하지 않은 학교가 존재한다는 것이 논리적으로 더욱 그럴 듯 하다.
우리는 무엇을 두려워하고 있는가? 작은 변화가 곧 커다란 변화일 수 있다는 가정이 필요한 때이다. 그리하여 학교단위의 교육개혁이 선행된다면 머지않아 국가차원의 공교육제도의 바람직한 재편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민주주의가 다수가 원하는 사회를 지향한다면 교육에 있어서도 다수(즉 학생)가 원하는 바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이것은 비단 '어린 학생'들의 중우(衆愚)로만 치부해서는 안 된다. 좋은 학교란 말뿐인 학생(수요자)중심교육이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제7차 교육과정은 제6차 교육과정에서의 교육부, 시·도 교육청, 학교라는 삼원화 체제에서 학생주체를 체제에 편입하여 사원화하였다는 긍정적 평가를 내릴 수도 있겠으나, 교과목선택에 있어 각 주체별 비율이 6차에선 70: 106 :12 에서 7차는 56: 28: 28: 28(교과목만의 비율로 각각은 교육부: 시·도: 학교: 학생을 의미)로 시·도교육청의 선택 폭을 대폭 학교와 학생에 이양하고, 여전히 교육부의 선택권한이 최상의 비율을 유지함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을 볼 때 여전히 중앙교육행정의 입김이 강함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정책의 조급성과 실효성만을 고집해온 행정이기주의를 바탕으로 한다.
또 다른 행정이기주의의 모습을 보여주는 예가 있는데 그것은 바로 교육인적자원부가 이른바 '이상적 학교'라고 하는 운영계획 발표에서 살펴볼 수 있다. 교육부가 표방하는 '이상적 학교'는 국·공립 초등학교와 중학교 가운데 각 10개교씩 시·도별 1~2개의 연구학교를 선정·운영하되 2002학년도에는 초등학교 10곳을 선정하고, 중학교는 2003학년도에 10곳을 선정하여, 각 3년씩 연구학교형태로 운영할 계획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크게 잘못된 것은 '좋은 학교'의 다른 모습인 '이상적 학교'라고 하는 것이 갖는 행정이기주의이다. 우리 교육현실은 7차에 걸친 중구난방 식의 국가교육과정에 의해 휘둘려져 왔다. 그러나 이제는 가치의 문제이자 교육철학적 문제인 이상적 학교(좋은 학교)라는 문제에까지 중앙의 손길을 뻗어 통제하려고 하는 모습으로 비춰진다. 그러나 이미 이 계획은 진행중이다. 다만 바라건대 교육에 있어선 그 어떤 행정적 원칙에 앞서 수요자는 바로 이와 같은 행정의 적용을 받는 학생임을 항상 명심하는 것이다.
※ 참고문헌
Neil Postman외, 『21세기를 위한 학교와 교사』, 배영사, 1999
강태중, 「'새학교'구상: 좋은 학교의 조건과 그 구현 방안 탐색」, 교육개발 108,
1997.7, p82-85
이종태, 『대안교육과 대안학교』, 민들레, 2001
http://webzine.madang21.or.kr/no_50/join/j_02.htm
http://koreaedue.co.kr/columnist/ed20.htm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2.07
  • 저작시기200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27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