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교육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삼국의 교육

2. 고려의 교육

3. 조선의 교육

4. 근대의 교육

본문내용

사학 아동의 강제적
관학 이동을 금 지하는 규칙
4) 규제학규 : 성균관의 학규(세조 9년), 과목에
대한 진급과 학습할 과목의 순서를 정해
놓은 것.
5) 진학절목 : 성종 원년(1470)년, 교사의 취임,
전직과 학생의 근면, 결석 등에 대한 보충
규칙
6) 경외학교절목 : 명종(1546)에 제정 공포된
것으로 서울과 지방의 전학교에 적용시킨
학규. 교사의 채용, 교과목, 성적고사, 상벌
등에 대한 학규
7) 학교모범 : 순조 15년(1582년)에 율곡이
제정한 것으로 성균관의 학령을 보충하고,
유생의 훈육에 치중한 규범. 학생수양에
관한 가장 상세하고 구체적인 훈규.
* 실학사상기 이전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 권근,
이이, 이황 등
(4) 실학사상과 교육
1) 실학파의 학풍
- 이용후생의 도와 경국제민의 술에 힘씀.
- 조선의 역사, 지리, 물산, 풍토 등 조선 사회
실정에 대한 주체적 연구에 주력
- 북학론 주창(청의 발달된 문물의 수용)
- 고증학 연구
- 서학(서양문물의 수용과 과학분야의
새로운 사상 형성 및 천주교)의 연구
- 신분의 철폐 주장
2) 교육적 특징
- 교육의 기회균등을 주장
- 개인차를 인정하여 능력에 의한 교육을
주장
- 공교육의 필요성과 단계적 학제 주장
- 교육과정 개혁 주장
3) 대표적 사상가
- 이식, 유형원, 이익, 이덕무, 정약용 등
4. 근대의 교육
(1) 근대의 대표적 학교
1) 정부에 의한 관학
- 육영공원(1886) : 근대식 학교의 효시
- 한성사범학교(1895) : 최초의 사범학교
- 한성중학교(1899) : 최초의 중학교
- 한성고등학교(1900) : 현재의 경기중촹고교
- 한성고등여학교(1908) : 현재의
경기여중촹고교
2) 민족선각자에 의한 사학
- 원산학사(1883) : 민족선각자에 의한 최초의
근대식 사학
- 흥화학교(1895) : 민영환 설립
- 점진학교(1899) : 안창호 설립, 남녀공학
최초의 소학교
- 보성학교(1909) : 이용익 설립, 고려대 전신
3) 선교사에 의한 기독교계 학교
- 배재학당(1885) : Appenzeller가 설립.
외국인이 세운 최초의 근대적 사학
- 이화학당(1886) : Scranton이 설립한 최초의
근대적 여성교육기관
- 정신여학교(1887) : Ellers가 설립
* 광혜원(1885) : 최초의 국립의학학교
(2) 근대의 대표적 사상가
- 이승훈, 남궁억, 안창호 등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2.08
  • 저작시기200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28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