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목차
1. 시험방법에 포함되어야 할 정보
2. 용어 정의
3. 시험방법 밸리데이션의 실시
2. 용어 정의
3. 시험방법 밸리데이션의 실시
본문내용
- 특이성(Specification)
확인시험, 순도시험 및 정량시험의 밸리데이션에서는 특이성이 평가되어야 한다.
특이성을 입증하기 위한 방법은 시험방법이 적용되는 목적에 따라 다르다.
어떤 시험방법이 특정의 분석대상물질에 대해서 특이적이고, 완벽하게 구별할 수 있는 방법임을 입증하는 것이 항상 가능하지는 않다. 이러한 경우에는 분석대상물질을 충분히 구별하기 위해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시험방법을 조합하는 것이 권장된다.
-직선성(Linearity)
회귀직선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는 직선성의 정도를 수학적으로 평가할 때 도움이 된다.
상관계수, y-절편, 회귀직선의 기울기 및 잔차제곱의 합 등의 결과도 기재하여야 한다. 데이터에 대한 그래프도 작성하여야 한다. 실측치와 회귀직선상의 예측치와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도 직선성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된다.
직선성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다섯 개 농도의 검체를 사용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그 방법의 타당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여야 한다.
확인시험, 순도시험 및 정량시험의 밸리데이션에서는 특이성이 평가되어야 한다.
특이성을 입증하기 위한 방법은 시험방법이 적용되는 목적에 따라 다르다.
어떤 시험방법이 특정의 분석대상물질에 대해서 특이적이고, 완벽하게 구별할 수 있는 방법임을 입증하는 것이 항상 가능하지는 않다. 이러한 경우에는 분석대상물질을 충분히 구별하기 위해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시험방법을 조합하는 것이 권장된다.
-직선성(Linearity)
회귀직선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는 직선성의 정도를 수학적으로 평가할 때 도움이 된다.
상관계수, y-절편, 회귀직선의 기울기 및 잔차제곱의 합 등의 결과도 기재하여야 한다. 데이터에 대한 그래프도 작성하여야 한다. 실측치와 회귀직선상의 예측치와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도 직선성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된다.
직선성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다섯 개 농도의 검체를 사용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그 방법의 타당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여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