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1. 올바른 성 개념
02. 용어 설명
03. 성폭력의 원인
04. 성폭력의 단계
05. 성폭력의 유형
06. 성폭행의 법률적 고찰
07. 성폭행의 실태
1) 인도의 성폭행
2) 통계로 본 한국의 성폭행 실태
3) 담으로 본 청소년 성폭행
08. 잘못된 사회적 통념
09. 성폭행 연구사례
10. 성폭력 피해자 후유증
11. 성폭행 대처방안
1) 개인적인 대처방안
2) 사회적인 대처방안
12. 가장 깨끗한 나라는 어디일까?
13. 성폭행 교육프로그램
1) 바람직한 성이란
2) 개인이 실천해야 하는 것들
3) 남성이 할 일
4) 여성이 할 일
5) 여성들을 위한 충고
02. 용어 설명
03. 성폭력의 원인
04. 성폭력의 단계
05. 성폭력의 유형
06. 성폭행의 법률적 고찰
07. 성폭행의 실태
1) 인도의 성폭행
2) 통계로 본 한국의 성폭행 실태
3) 담으로 본 청소년 성폭행
08. 잘못된 사회적 통념
09. 성폭행 연구사례
10. 성폭력 피해자 후유증
11. 성폭행 대처방안
1) 개인적인 대처방안
2) 사회적인 대처방안
12. 가장 깨끗한 나라는 어디일까?
13. 성폭행 교육프로그램
1) 바람직한 성이란
2) 개인이 실천해야 하는 것들
3) 남성이 할 일
4) 여성이 할 일
5) 여성들을 위한 충고
본문내용
정화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남성이 할 일
1. 상대방(여성)에게 성적 행동을 강요하지 않는다.
2. 상대방의 거부의사(언어, 행동 등)는 액면 그대로 받아들인다.
3. 상대방이 자신의 의견을 분명하게 표현하지 못하고 있을 때, 의사를 결정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준다.
4. 상대방의 침묵을 동의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5. 평소에 자신과 상대방의 생각에 대해서 충분히 의사소통 합니다.
6. 상대방의 의사를 존중합니다.
7. 음담패설을 하지 않을 뿐 아니라, 음담패설이 이루어지는 문화에 대해서 문제를 제기합니다.
8. 여성을 성적으로 대상화 또는 상품화하는 우리사회의 성문화에 대해서 문제 제기합니다.
9. 성폭력의 실태에 대해서 자신부터 잘 알아야 하며 특히 성행위와 성폭력의 차이에 대해서 분명히 알고, 성폭력은 피해자가 아닌 가해자에게 책임이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하여야 합니다.
10. 남녀평등사상을 생활 속에서 실천하도록 합니다.
여성이 할 일
1. 평소 자기 주장을 분명히 하는 태도를 갖도록 합니다.
2. 성에 대한 가치관, 행동범위의 한계에 대해 분명한 결정기준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3. "예"와 "아니오"가 뒤섞인 태도를 보이지 말고, 의사표현을 분명히 합니다.
4. 불쾌한 성적인 접촉이나 상황에 직면했을 때는 분명한 거부의사를 표시합니다.
5. 외부와 차단된 공간(노래방, 비디오방 등)에 단둘이 있게 되는 경우, 자신의 생각과 상대방(남성)의 생각이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6. 성관계의 의사가 없는 한 숙박업소는 가지 않는 것이 좋다.
7. 어디서든 혼자 택시를 타고 집에 올 수 있도록 비상금을 소지하고, 콜택시의 전화번호를 가지고 다닌다.
8. 평소 규칙적인 운동과 체력단련을 통해 힘과 자신감을 기른다.
여성들을 위한 충고
성폭력을 중지시키는 최선의 방법은 재빨리 대응하는 것이다. 성폭력에 대한 침묵은 아무런 해결책도 되지 못합니다. 침묵한다는 것은 자신을 동요시키게 되며 그 때문에 무엇인가 행동을 해보려고 하던 용기마저 없애버릴 위험성이 있다.
1. 문제에 이름을 붙인다.
예) "당신이 지금 하고 있는 것은 성폭력입니다."
2. 상대의 몸짓을 비판합니다. 치근덕거리는 행동을 당신이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있는 그대로 말해야 합니다.
예) "당신의 그 말은 예의에 벗어났어요.", "당신의 행동은 모욕적으로 느껴지는군요."
3. 가해자에게 어떻게 하면 좋겠는지 확실히 이야기해야 합니다. 이때는 상대의 눈을 똑바로 쳐다보고 허리를 편 상태에서 당당하게 말합니다. (말하기 전에 심호흡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
예) "나를 놀리지 마세요.", "저를 건드리지 마세요."
4. 편지를 쓴다. 만일 가해자와 마주 서서 항의하기가 어렵다고 생각되거나 구두로 하는 항의가 별 효과가 없다고 느껴질 때 쓰는 방법이다. 이때는 침착하게 사무적인 태도로 쓰되 내용은 다음 세 가지를 포함시킨다.
①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 날짜와 장소 등을 상세하고 정확하게 씁니다.
② 성가심을 당한 당신의 기분이 어떠했었는지를 씁니다.
③ 당신이 가해자에게 바라는 바를 확실하게 씁니다.
편지는 반드시 등기로 부쳐야 하고 편지의 복사본을 꼭 보관해야 나중에 증거 자료가 될 수 있다. 보통은 구두보다 편지가 효과적인데 그 이유는 아마도 가해자가 자신이 하는 행위가 해로운 것이며 잘못된 일이라고 이해했거나 계속 성가시게 굴 경우 그녀가 취할 다음 단계의 행동을 두려워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5. 상담을 의뢰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가해자 형태는 상습적으로 하는 사람들이므로 같은 피해를 받고 있는 다른 여성들과 만날 수도 있다. 위의 기관에는 가능하면 다른 피해자들과 함께 도움을 청하도록 해야 합니다.
6. 일기에 적어둔다. 가해자는 대개 목격자가 없을 때에 겨냥합니다. 당신 자신이 마련한 상세하고 구체적인 정보가 중요하므로 날짜, 시간, 장소, 목격자, 가해자인 남성의 말, 행동, 당신의 반응, 기분까지 기록해 둔다.
7. 다음에는 어떤 방법을 써야할지 생각합니다. 성폭력 예방의 첫걸음은 항상 누군가에게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가해자에게 그러지 말라고 말하는 것이다. 그래도 계속해서 성가시게 굴면 주어진 상황 아래서 당신이 밀어붙일 다음 방법은 어떤 것인지, 어떤 사람들한테서 도움을 얻을 것인지에 대해서도 고려해서 가장 적당하다고 생각되는 방법을 생각합니다.
8. 목적이 불분명한 사람이 1 대 1 로 초대하는 점심이나 저녁요구는 거절합니다. 상사와 비서의 관계로 오랫동안 잘 지내왔는데 단 한번의 유혹으로 엉망이 되어버리는 사례가 많다. 남자들은 여자와는 달리 이런 종류의 유혹에 대해 다른 의미를 부여하는 경향이 있다. 거절할 때는 오해의 여지가 없게끔 확실히 거절해야 합니다.
9. 직장의 다른 여성들과 함께 공동전략을 취합니다. 남자들이 모욕적인 말이나 음담패설을 시작한다든가 여성의 신체를 훑어보고 상스러운 제스처를 취한다거나 여성의 몸을 만지거나 하면 직장내의 모든 여성들이 이에 대응하는 전략을 취하며 어느 한 피해자의 문제로 돌리지 않는다.
10. 성폭력의 배경을 공부하여 직장에서 그 문제를 토론해 본다. 성폭력에 대응하는 방법은 그것을 은밀하게 감추는 것이 아니고 드러내어 그것에 관해 이야기하는 것이다.
참 고 문 헌
· 성(性)과학의 이해 출판사/월드사이언스 김종흡 저
· 열혈소녀 백과사전 출판사/예담 벨린다 헨우드 저
참고 web site
· 한국의 성폭력 실태 : http://www.18segi.com/성폭력/ksv.html
· 성폭력의 피해 후유증 :http://www.18segi.com/eos/se04.html
· 성폭력 예방 : 남성의 할 일 :http://www.18segi.com/성폭력/animan07.html
· 성폭력 예방 : 여성의 할 일 :http://www.18segi.com/성폭력/animan08.html
· 성폭력에 대한 잘못된 통념들 : http://www.18segi.com/성폭력/animan09.html
· 성 충동의 사회적 구성 :http://www.18segi.com/성폭력/성충동.html
남성이 할 일
1. 상대방(여성)에게 성적 행동을 강요하지 않는다.
2. 상대방의 거부의사(언어, 행동 등)는 액면 그대로 받아들인다.
3. 상대방이 자신의 의견을 분명하게 표현하지 못하고 있을 때, 의사를 결정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준다.
4. 상대방의 침묵을 동의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5. 평소에 자신과 상대방의 생각에 대해서 충분히 의사소통 합니다.
6. 상대방의 의사를 존중합니다.
7. 음담패설을 하지 않을 뿐 아니라, 음담패설이 이루어지는 문화에 대해서 문제를 제기합니다.
8. 여성을 성적으로 대상화 또는 상품화하는 우리사회의 성문화에 대해서 문제 제기합니다.
9. 성폭력의 실태에 대해서 자신부터 잘 알아야 하며 특히 성행위와 성폭력의 차이에 대해서 분명히 알고, 성폭력은 피해자가 아닌 가해자에게 책임이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하여야 합니다.
10. 남녀평등사상을 생활 속에서 실천하도록 합니다.
여성이 할 일
1. 평소 자기 주장을 분명히 하는 태도를 갖도록 합니다.
2. 성에 대한 가치관, 행동범위의 한계에 대해 분명한 결정기준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3. "예"와 "아니오"가 뒤섞인 태도를 보이지 말고, 의사표현을 분명히 합니다.
4. 불쾌한 성적인 접촉이나 상황에 직면했을 때는 분명한 거부의사를 표시합니다.
5. 외부와 차단된 공간(노래방, 비디오방 등)에 단둘이 있게 되는 경우, 자신의 생각과 상대방(남성)의 생각이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6. 성관계의 의사가 없는 한 숙박업소는 가지 않는 것이 좋다.
7. 어디서든 혼자 택시를 타고 집에 올 수 있도록 비상금을 소지하고, 콜택시의 전화번호를 가지고 다닌다.
8. 평소 규칙적인 운동과 체력단련을 통해 힘과 자신감을 기른다.
여성들을 위한 충고
성폭력을 중지시키는 최선의 방법은 재빨리 대응하는 것이다. 성폭력에 대한 침묵은 아무런 해결책도 되지 못합니다. 침묵한다는 것은 자신을 동요시키게 되며 그 때문에 무엇인가 행동을 해보려고 하던 용기마저 없애버릴 위험성이 있다.
1. 문제에 이름을 붙인다.
예) "당신이 지금 하고 있는 것은 성폭력입니다."
2. 상대의 몸짓을 비판합니다. 치근덕거리는 행동을 당신이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있는 그대로 말해야 합니다.
예) "당신의 그 말은 예의에 벗어났어요.", "당신의 행동은 모욕적으로 느껴지는군요."
3. 가해자에게 어떻게 하면 좋겠는지 확실히 이야기해야 합니다. 이때는 상대의 눈을 똑바로 쳐다보고 허리를 편 상태에서 당당하게 말합니다. (말하기 전에 심호흡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
예) "나를 놀리지 마세요.", "저를 건드리지 마세요."
4. 편지를 쓴다. 만일 가해자와 마주 서서 항의하기가 어렵다고 생각되거나 구두로 하는 항의가 별 효과가 없다고 느껴질 때 쓰는 방법이다. 이때는 침착하게 사무적인 태도로 쓰되 내용은 다음 세 가지를 포함시킨다.
①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 날짜와 장소 등을 상세하고 정확하게 씁니다.
② 성가심을 당한 당신의 기분이 어떠했었는지를 씁니다.
③ 당신이 가해자에게 바라는 바를 확실하게 씁니다.
편지는 반드시 등기로 부쳐야 하고 편지의 복사본을 꼭 보관해야 나중에 증거 자료가 될 수 있다. 보통은 구두보다 편지가 효과적인데 그 이유는 아마도 가해자가 자신이 하는 행위가 해로운 것이며 잘못된 일이라고 이해했거나 계속 성가시게 굴 경우 그녀가 취할 다음 단계의 행동을 두려워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5. 상담을 의뢰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가해자 형태는 상습적으로 하는 사람들이므로 같은 피해를 받고 있는 다른 여성들과 만날 수도 있다. 위의 기관에는 가능하면 다른 피해자들과 함께 도움을 청하도록 해야 합니다.
6. 일기에 적어둔다. 가해자는 대개 목격자가 없을 때에 겨냥합니다. 당신 자신이 마련한 상세하고 구체적인 정보가 중요하므로 날짜, 시간, 장소, 목격자, 가해자인 남성의 말, 행동, 당신의 반응, 기분까지 기록해 둔다.
7. 다음에는 어떤 방법을 써야할지 생각합니다. 성폭력 예방의 첫걸음은 항상 누군가에게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가해자에게 그러지 말라고 말하는 것이다. 그래도 계속해서 성가시게 굴면 주어진 상황 아래서 당신이 밀어붙일 다음 방법은 어떤 것인지, 어떤 사람들한테서 도움을 얻을 것인지에 대해서도 고려해서 가장 적당하다고 생각되는 방법을 생각합니다.
8. 목적이 불분명한 사람이 1 대 1 로 초대하는 점심이나 저녁요구는 거절합니다. 상사와 비서의 관계로 오랫동안 잘 지내왔는데 단 한번의 유혹으로 엉망이 되어버리는 사례가 많다. 남자들은 여자와는 달리 이런 종류의 유혹에 대해 다른 의미를 부여하는 경향이 있다. 거절할 때는 오해의 여지가 없게끔 확실히 거절해야 합니다.
9. 직장의 다른 여성들과 함께 공동전략을 취합니다. 남자들이 모욕적인 말이나 음담패설을 시작한다든가 여성의 신체를 훑어보고 상스러운 제스처를 취한다거나 여성의 몸을 만지거나 하면 직장내의 모든 여성들이 이에 대응하는 전략을 취하며 어느 한 피해자의 문제로 돌리지 않는다.
10. 성폭력의 배경을 공부하여 직장에서 그 문제를 토론해 본다. 성폭력에 대응하는 방법은 그것을 은밀하게 감추는 것이 아니고 드러내어 그것에 관해 이야기하는 것이다.
참 고 문 헌
· 성(性)과학의 이해 출판사/월드사이언스 김종흡 저
· 열혈소녀 백과사전 출판사/예담 벨린다 헨우드 저
참고 web site
· 한국의 성폭력 실태 : http://www.18segi.com/성폭력/ksv.html
· 성폭력의 피해 후유증 :http://www.18segi.com/eos/se04.html
· 성폭력 예방 : 남성의 할 일 :http://www.18segi.com/성폭력/animan07.html
· 성폭력 예방 : 여성의 할 일 :http://www.18segi.com/성폭력/animan08.html
· 성폭력에 대한 잘못된 통념들 : http://www.18segi.com/성폭력/animan09.html
· 성 충동의 사회적 구성 :http://www.18segi.com/성폭력/성충동.html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