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재적 교육과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ꊱ 개념
1. 개념
2. 표면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의 관계

ꊲ 잠재적 교육과정의 원천
1. 학교의 생태
2. 사회환경과 잠재적 교육과정

ꊳ 잠재적 교육과정의 인적 구성요인

ꊴ 잠재적 교육과정의 학문적 위치
1. 존립에 대한 당위론적 입장
2. 존립에 대한 부정적 입장

본문내용

육과정이라는 하나의 범주나 개념으로 축소될 수 없는 사항들을 잠재적 교육과정으로 개념화하는 것 자체가 교육학이라는 학문적 궤도에서의 이탈이라고 주장)
· 공식적 교육과정의 하부구조를 형성하는 모든 교육적 영향력의 총체, 즉 학교 내외의 물리적, 사회적 환경, 학교의 전통과 풍토, 교사와 학생의 사회계층적 배경과 행동, 특히 공식적 교육과정을 결정하는 묵시적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영향력 등을 잠재적 교육과정이라는 개념으로 학문분야에 끌어들이는 것은 학문연구에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주장.
참고문헌 ----------------------------------------------
1.「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특론」 정찬기오·문승한. 1997. 교육과학사.
2.「교육과정의 이해」 유광찬. 1999. 교육과학사.
3.「교육과정의 이해」 John D. McNeil. 2002. 학지사.
4.「교육과정과 수업」 교육대학교직과교재편찬위원회. 1998. 교육출판사.
5. 서울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刊 "대학생활의 길잡이"(1997) 中 권석만의 글
6.「교육 과정 연구-과제와 전망」이귀윤, 1997, 교육과학사
7.「교육과정과 수업」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02

추천자료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02.19
  • 저작시기200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34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