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 전범위 정리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소화기 내시경검사

2. 식도의 기능 및 운동 질환

3. 기타 식도 질환

4. 식도 종양

5. 위의 병태생리

6. 소화성 궤양

7. 위장관 출혈

8. 위종양

9. Helicobacter pylori

10. 하부 장관질환의 방사선 진단

11. 허혈성 장질환

12. 위장관의 운동질환

13. 대장의 양성 종양

본문내용

e-27%정도의
악성화율
③ 육안형 분류 : Flat adenoma는 크기에 비해서 악성화의 빈도가 높으며, 융기가 급 격하며, 폭이 높이의 2배 이상이면서 융기면은 다양. 다발성이 많고 전체 용종 의 8-10%를 차지한다.
즉, Villous type일수록, 이형성이 심할수록, flat adenoma일수록 악성화의 비율이 높다.
3. 선종의 발생기전
정상적으로 대장점막은 3-8일 간격으로 turnover를 반복하게 되는데 환경적인 요인 이나 발암요인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되면 세포의 재생빈도가 증가하게 되고 여기에 replication error가 발생하게 되면 이것이 apoptosis되지 않고 clonal expansion을 계속 해서 발생한다.
4. Adenoma-carcinoma sequence
① 역학이 유사
② 둘의 해부학적인 분포가 유사
③ 암조직에 작은 선종조직이 잔존
④ 선종의 크기 증가시 악성화의 빈도 증가
⑤ 관계가 FPC에서 증명
⑥ 선종의 과거력이 있을 때 암의 빈도가 높고 절제 시에 감소함
⑦ 선종과 암 사이에 약 5년의 틈이 있음.
전체 선종의 약 5%만이 악성화 됨.
5. 선종발생의 위험인자
① Inheritance
② Dietary factor and life style
증가요인 : fat, alcohol, obesity, physical inactivity
감소요인 : 식물성 음식, 탄수화물, dietary fiber, folate, NSAID
무관 : Vitamin A, C, E
③ 선종이 잘 동반되는 경우들(대장암이 잘 동반되는 경우와 일치)
ⓐ ureterosigmoidostomy : 수술후 20-36년 후에 약 25%에서 선종이 생김.
fecal flora에 의해 urinary amine의 N-nitrosamine화가 원인
ⓑ Acromegaly : GH 또는 Insulin like growth factor I이 관련)
ⓒ Streptococcus bovis bacteremia
ⓓ Skin tag
ⓔ Atherosclerosis 및 high cholesterol
ⓕ Breast cancer
ⓖ Cholecystectomy
6. 임상증상 및 진단과 치료
임상적인 특성은 비 특이적이며, 가끔 1cm이상의 용종에서 출혈이 발생할 수도 있다.
진단은 대장내시경 이나 Barium Enema로 진단한다.
치료는 악성화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전부 절제함을 원칙으로 한다. 가능하면 내시경 절 제(단순 용종절제술, 부분 절제술, strip polypectomy)를 하고 기술적으로 불가능한 경우나 2-3회의 내시경 치료로도 완전 절제가 어려우면 수술을 시행한다. 항상 환자의 나이와 전 신 상태를 고려해야만 한다. 내시경상 악성화의 특징은 경화상, 궤양, 불규칙한 성상, friability등이다.
용종 절제후의 추적검사는 처음 진단시에 total colonoscopy를 해서 정확하게 진단하여 전체 용종을 절제해야 하며 일단 절제 후에는 3년 간격으로 내시경을 시행해야 한다.
Sigmoidoscopy상 용종이 1 cm이상이거나 villous adenoma 혹은 high grade adenoma, 다발성인 경우는 colonoscopy를 해서 동시성 병변을 찾고 전체 용종을 절제하고, 1cm이 상의 큰 경우는 절제후 3-6개월 후에 확인해서 이상이 없으면 3년마다 확인을 한다.
malignant polyp(Invasive carcinoma)의 내시경 절제후의 수술 적응증
① 저 분화도암
② lymphovascular space에 암이 있는 경우
③ 절제면에 암이 있는 경우(2mm이내)
④ 암이 점막하층에 있는 경우: stalk내의 SM에 암이 있는 경우는 추가수술이 불 필 요 하지만 장관벽에 연결된 SM에 암이 있으면 수술함.
7. 용어설명
① multiple polyp : 2 개 이상의 용종
② polyposis : 100개 이상의용종
③ synchronous(동시성) : 같은 검사시에 발견되는 다른 부위의 암이나 선종
④ Metachronous(이시성) : 6개월 이후에 검시로 다른 병변이 발견되는 경우
8. Inherited Adenomatous Polyposis Syndrome
①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FAP)
② Turcot's syndrome : Primary CNS tumor
③ Gardner's syndrome : osteoma, soft tissue tumor
④ Attenuated FAP(hereditary flat adenoma syndrome)
♣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FAP)
십이지장의 선종의 동반, Fundic gland hyperplasia, small bowel adenoma, 위는 주로 과형성용종이다. Autosomal dorminant trait로 유전되며, 유전적 이상은 5q의 allelic loss(APC gene:adhesion molecule control하는 tumor suppressor gene으로 ) 로 87%에 서 발견된다.
임상적인 특성은 10대부터 선종이 발생하고 20-30대에 장관증상이 나타나고, 거의 모 든 예에서 40세 이전에 악성화 된다. 가끔은 가족력 없이도 spontaneous mutation으로 발생하며 이경우도 같은 양상으로 유전함.
증상은 복통, 설사, 혈변등이 있으나 비 특이적이고 증상전에 찾아야 한다.
진단은 100개 이상의 용종이 있고 이것이 선종으로 확인되면 진단할 수 있다.
Screening은 FAP의 first degree relatives는 12세부터 40세까지 매년 sigmoidoscopy를 하고 그 후에는 3년마다 함(FAP mutant gene을 가진 경우). FAP gene이 100%의 정확
도를 보이는 것이 아니므로 이것이 음성인 경우는 터울을 늘려서 검사 할 것. 일단 진단 되면 2-3년마다 위내시경으로 위와 십이지장부위를 확인한다.
치료는 수술을 시행한다. 사춘기가 지난 후 바로 수술을 하는 것이 좋다.

키워드

소화기,   해부,   식도,   종양,   ,   궤양
  • 가격3,000
  • 페이지수73페이지
  • 등록일2004.03.09
  • 저작시기2004.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42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