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트릭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매트릭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1

3. 본론2

4. 본론 3

5.결론

본문내용

고 전제하자. 참 또한 존재가치가 있는 것이라 전제하자.
이 말이 참이라면 이 말을 하는 나는 참이다. 이 말을 하는 나는 참이라면 결국 존재할 가치가 있는 것이 있게 된 것이며 "모든 것은 존재할 가치가 없다."라는 말은 거짓이 된다. 그러나 우리는 이거을 참이라고 가정하였기 때문에 전제에 위배되는 결론(거짓)을 도출하였으모 이 가정은 틀린 가정이다. 그러면 반대로 "모든 것은 존재할 가치가 없다."를 거짓이라 가정하자. 그러면 모든 것은 존재할 가치가 있다. 나 또한 모든 것에 포함됨으로 존재 가치가 있고 내가 하는 말도 존재 가치가 있으며 내가 하는 말은 모두 참이다. 그러므로 "모든 것은 존재 가치가 있다"는 말도 참이다. 그렇지만 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것 또한 가정(거짓)에 위배되는 결론(참)이므로 이 가정 또한 틀린 가정이다. 즉, 참과 거짓을 이분법적으로 나눈 가정 속에서는 언제나 반대의 결론이 도출됨으로 근본적으로 저 명제에 대한 회의에 빠지게 되고 참과 거짓을 이분법적으로 나누는 것이 과연 옳은 것인지에 대한 의문과 참과 존재가치가 언제나 일치하는지를 의심하게 된다.
러셀(Bertrand Russell, 1872-1970)의 역설
자기 자신을 포함는 집합을 M
자기 자신을 포함하지 않는 집합을 N 이라 두고 N이 자신의 원소인지 아닌지를 보도록 하자.
만약 N이 자신의 원소이면 M에 포함되고 N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N은 자신의 원소가 아니다.
즉 (N N) (N N)의 형태가 된다.
만약 N이 자신의 원소가 아니라면 M에 포함되지 않고 N에 포함되므로 N은 자신의 원소가 된다.
즉 (N N) (N N) 의 형태가 된다.
이것을 정리하면 R={y|x x} R R R R 의 형태가 되는 것이다.
이것에 대한 개인적인 해답은 뒤에 별첨되어 있는 자료들을 참조하여 주길 바란다. 그러나 영화 에서 찾아보며 예측할 수 있는 것은 네오나 시온의 존재조차도 컴퓨터에 의해 코드화 된 것에 불과하며 그것 역시 virtual에 불과한 real은 아니라는 점이다. 만약 3편이 그런 결말로 다가간다면(네오와 스미스 요원은 별개의 인물이 아니며 모두가 프로그램 속의 인물에 불과한 가상 게임이다.-나아가 이것은 모두 꿈에 불과했다. 꿈에서 깨어난 앤더슨은 지나친 컴퓨터 앞 생활에서 벗어나 극단적으로는 회사마저 때려 치우고 창문닦기의 생활을 선택하며 대지의 공기를 벗삼아 살아간다.) 이런 나의 질문에서 워쇼스키 형제는 교묘히 비껴나갈 수 있는 여지를 가지게 된다. 어쨌든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3편에서 기대해보고자 한다.
솔직히 나로서는 에 열광하는 현상 자체를 받아들일 수가 없다. 이 영화는 간단히 말해 대단위 자본을 투여한 헐리우드의 블록 버스터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며 만약 이 영화에서 어떤 철학을 발견할 수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철학의 본질이 아닌 형상만을 잘 버무린 화려한 상품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이 영화를 기반으로 출판된 2권의 책에서조차 철학을 언급한다는 것은 근원으로 돌아가야만 하는 철학이 현재의 시대에 얼마나 자본에 잘 놀아나고 있는지를 스스로 드러내는 슬픈 현실인 것이다. 만약 우리가 에 대해서 무슨 말을 할 수가 있다면 여전히 영화 속에서 드러나는 인간 이기주의와 인간 본성에 자리 잡은 본능과 욕망에 대한 비반성, 그리고 이제는 철학조차 자본에 의해 화려하게 잘 버무려 질 수 있다는 현 시대의 갖은 문제점 들 뿐이다. 그리고 여기에서 내가 지적한 몇 가지는 물론 자유에 관한 섣부른 환상, 여전히 존재하는 민족과 국가 성별의 차이의 인정, 미국적 세계화의 은근한 옹호, 그리고 real을 강조하는 진짜 이유-자본의 논리 등도 충분히 찾아볼 수 있다.
인간의 생존 본능과 욕망은 부정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홀로 살아가는 존재가 아니기에 공동체 내에서의 조화로운 삶을 꾀하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그 고민에 따라 행동하기도 하지만 인간의 무의식이나 또 그 부정할 수 없는 욕망에 의하여 항상 이성의 판단에 따라서만 행위할 수 없는 치명적인 문제들을 언제나 가지고 있다. 불확정성의 세계는 인간이 불확실한 존재이기에 당연한 귀결이다. 그리고 그것은 지구가 멸망하지 않는 이상, 그리고 우리가 인간으로 존재하는 이상은 결코 풀 수 없는 문제이다. 그렇다고 해서 그 문제를 풀지 말자는 것, 극단적인 쾌락이나 유미주의로만 흘러가자는 것은 아니다. 풀 수는 없지만 조정은 할 수는 있는 것이다. 우리의 생 자체가 우리의 선택에 의해 된 것은 아니긴 하지만 어쨌든 우리는 여기에 존재하고 있으며 죽지 않는 이상은 살아가야 하기에 식상한 말이지만 더불어 함께 잘 살기 위해 고민해야만 한다. 이것은 모두가 깊은 철학을 하자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자신의 삶에 대해서는 책임을 질 수 있는 사고를 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matrix 에서는 이런 근원에 대한 고민조차 하지 않고 있으며 동서양을 넘나드는 갖은 철학적 경구들과 형상만을 차용하고 있을 뿐이다. 영화 에서는 우리가 matrix에 속고 있음으로 real을 추구해야 한다고 말하며 우리 모두 귀 기울여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이 세계에 대한 회의적인 자세를 견지해야겠지만 의 이런 자기 모순적인 모습을 감지해가며 의 가치를 평가하고 싶지는 않다. 오히려 이 영화는 자기 모순을 통해 우리가 조심해야 할 많은 것들을 역설적으로 알려주고 있다. 는 우리가 무엇에 속고 있는 지를 영화 내용이 아닌 영화 외부적인 요소들로 충분히 증명하고 있는 반어법적인 영화이다.
epilogue
1. 만약 이 세상이 거짓의 천국이라고 한다면
a.나는 거짓을 말합니다, 라고 말을 하며 ->거짓 혹은 진실을 말하는 것
b.나는 진실을 말합니다, 라고 말을 하며 ->거짓 혹은 진실을 말하는 것
2.만약 이 세상이 진실의 천국이라고 한다면
a.나는 거짓을 말합니다, 라고 말을 하며 ->거짓 혹은 진실을 말하는 것
b.나는 진실을 말합니다, 라고 말을 하며 ->거짓 혹은 진실을 말하는 것
이것의 차이는 무엇일까?
  • 가격2,9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4.03.14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44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