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사료학) 일반적으로 국내 한육우 농가에서 이용량이 가장 많은 조사료(粗飼料)는 무엇이고, 사료적인 특성과 이용성 증대를 위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0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물사료학) 일반적으로 국내 한육우 농가에서 이용량이 가장 많은 조사료(粗飼料)는 무엇이고, 사료적인 특성과 이용성 증대를 위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0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볏짚의 사료적인 특성
1) 높은 섬유질 함량
2) 낮은 소화율
3) 부족한 단백질 함량
4) 에너지 함량이 낮음
5) 안정적인 공급
6) 물리적 효과

2. 볏짚의 사료적인 가치

3. 볏짚의 이용성 증대를 위한 방법
1) 암모니아 처리
2) 요소 처리
3) 세절 및 가공 처리
4) 혼합 급여
5) 발효 처리

4.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재건조(Rehydration)시켜 제조할 경우 발효효과를 제대로 기대할 수 있다. 발효(Fermentation)에 의하여 고간류 사일리지를 제조하는 기술은 일찍이 Goering 등(1969)과 Klopfenstein 등(1972)이 3~5%의 수준으로 NaOH를 처리한 고간류나 절단한 고간류에 수분을 60~70%로 하여 사일로에 4~8주간 발효 처리한 방법을 제시한바 있고, 생볏짚을 사일로에서충전 발효시키는 기술에는 坂田 등(1968), 菊池(1970), 豊川와 高安(1971), 木部등(1974)의 일본 학자들에 의하여 연구되어졌으며 국내에도 김 등(1977), 장과김(1963), 강 등(1981) 그리고 탁 등(1977)이 연구 보고한 바 있다. 특히 坂田 등(1968)은 생볏짚에 여러 첨가제를 첨가한 실험에서 고구마덩굴, 청예콩 및 Orchardgrass 첨가구가 성적이 좋았던 반면에 생볏짚만은 흰곰팡이가 발생되었고, 취화Methyl과 Chrolopicrin 첨가로 흰곰팡이 발생이 억제됨을 관찰하였다. 또한 Shultz(1974) 등은 면양을 공시하여 대사시험을 수행했는 바 알칼리처리(4.5% NaOH: KOH)후 제조한 사일리지에서 영양소 이용율이 높고 제1위내 VFA도 그 비율이 변화는 없으나 휘발성지방산이 더 많이 생성되어 단일 조사료 원으로 생볏짚 사일리지가 반추동물 사료로 이용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4. 나의 의견
볏짚에 대한 물리적 가공법으로는 절단, 압착, 압착펠렛팅, 삶기 같든 전통적인 방법이 있었으나 연구보고는 그다지 많지 않은데, 볏짚의 반추가축에 대한급여 전 절단은 섭취량을 증가시키고, 반추위 통과속도를 증가시켜 건물, 조단백질 및 조섬유의 소화율을 향상시켰다고 보고하였으며, 현재 많은 양축농가에서 볏짚에 대한 단순한 절단 급여형태를 취하고 있다.이는 절단외의 방법들이 노동력과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그리고 최근에 많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는 생물학적 방법은 볏짚의 cellulose를 이용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볏짚 등의 저질조사료에 접종하여 발효후 가축에게 급여하는 생물학적 발효방법이다. Hull 등(1974)은 호맥짚을 분쇄한 후에 고온고압조건에서 산을 첨가하고 15파운드 압력에서 30분 처리하고 암모니아를 처리하여 pH를 4.4~5.0이 되도록 한 후에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효과를 분석한 결과 조단백질 함량이 미발효군의 3.1%수준에서 균종별로 11~14%까지 접종 후에 향상되어 나타났다고 하였다. 이러한 생물학적 방법에는 가장 간편한 방법으로는 볏짚의 사일리지 제조방법이다. 이는 인공적인 미생물의 첨가 없이 충분한 진압으로 재료 중에서 공기를 빼내어 혐기상태로 유지하여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젖산균의 증식과 활동에 의하여 재료의 연화와 조직파괴를 일어나게 하는 천연 발효기술인 것이다. 볏짚의 사일리지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에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었는데, 가성소다 처리한 볏짚의 사일리지제조, 생볏짚과 서류 및 채소류에 의한 사일리지제조, 볏짚과 청예호맥의 사일리지제조, 볏짚과 당밀 또는 유산균 첨가사일리지제조 등의 각종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이러한 볏짚의 사일리지제조에 의해 사일리지 제조 중의 건물소실률이 감소하고, 건물 및 유기영양소 소화율이 20~30% 향상된다고 하였다. 한편, 사과 가공과정에서 발생되는 사과박은 수분함량이 높아서 여름철에는 발효되기 쉽고 발효에 의한 알코올의 생성비율이 높으며 단백질 함량이 낮아 그 동안에는 퇴비화가 가장 일반적인 재활용 방안이었다. 그러나 豊川과 高安(1970 ; 1971) 및 豊川 등(1973)은 사과박이 pH 3~4의 강한 산도를 나타내고, 0.2~0.6%의 유기산(주로 사과산)과 발효에 알맞은 다량의 다당류를 지니고 있어 생볏짚이나 목초등과 같이 유산발효의 소재가 부족하기 쉬운 재료의 첨가물로 적합하다는 것을 보고하여, 사일리지의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에는 반추동물의 조사료 자원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일반적으로 국내 한육우 농가에서 이용량이 가장 많은 조사료(粗飼料)는 무엇이고, 사료적인 특성과 이용성 증대를 위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해 보았다. 우리나라에는 볏짚 등의 고간류가 비록 저품질이기는 하나 매년 정규적으로 생산되는 제일의 조사료 자원이라고 보아야 한다. 생탈곡 직후에 수거되는 생볏짚을 수분 제거에 신경 쓸 필요 없이 수분 있는 상태로 발효시켜 저장하면, 비록 목초나 일반 사료 작물 만큼의 양질조사료는 못되더라도 건조볏짚 보다는 영양소 조성이나 녹색도면에서 더 우수하고, 적당한 발효산취로 인해 가축의 기호성도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초식동물인 소는 조사료가 기초사료이므로, 조사료의 공급기반이 취약한 우리 형편을 고려할 때 볏짚의 활용은 국내낙농과 육우 생산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우리나라의 여러 가지 환경적인 여건은 초지의 조성에는 매우 불리하며 거기다가 노동임금의 상승 등이 사료작물의 재배를 통한 자급조사료의 의지를 더욱 힘들게 하므로, 외국산 수입조사료에 의존하려는 낙농비육우 농가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볏짚의 기계화에 의한 대규모 수거를 통하여 이를 사료화한다면 조사료 자급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사료학, 2023, 이효원 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림축산식품부. 2022. 조사료 정책 방향. 농림축산식품부 축산환경자원과 자료집.
권찬호. 2005. 조사료 자급율을 통한 식량자급률 향상. 한국초지학회지, 제43회 학술발표회.
김창호. 2004. 볏짚 사료가치의 품종간 차이 및 생육형질과의 관련성. 한국작물학회지.
차영록 외. 2012. 볏짚이용 바이오에탄올 생산을 위한 동시당화발효와 분리당화발효 비교. 한국작물학회. 한국작물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이동진, 김광호, 강정훈, 이영상, 김헌웅. (2006) 한국 재래종 벼 종실의 항산화 및 항암 활성.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이축경, 2020년, 한우에서 사료의 급여체계가 반추위 발효성상, 메탄 발생량, 미생물 다양성, 영양소 소화율 및 체내 대사체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 경상대학교.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5.04.02
  • 저작시기202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539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