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지리여행
목차
1. 해빈을 구성하는 가장 대표적인 물질은 무엇인가?
2. 심해와 천해를 구분하는 수심을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3. 해안선에 평행하게 흐르면서 모래와 자갈 등을 운반하고 퇴적시키는 해류는 무엇인가?
4. 해안의 지형을 결정하는 요소 3가지는 무엇인가?
5. 해안침식의 원인을 모두 나열하시오.
6. 사주 섬이 발달할 수 있는 조건은 무엇인가?
7.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석호의 유형은 무엇인가?
8. 사주가 침식을 받아 일시적인 조수통로가 만들어지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9. 우리나라에서 석호가 형성된 해안은 어디인가?
10. 갯터짐의 생태적 기능을 모두 기술하시오.
참고문헌
목차
1. 해빈을 구성하는 가장 대표적인 물질은 무엇인가?
2. 심해와 천해를 구분하는 수심을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3. 해안선에 평행하게 흐르면서 모래와 자갈 등을 운반하고 퇴적시키는 해류는 무엇인가?
4. 해안의 지형을 결정하는 요소 3가지는 무엇인가?
5. 해안침식의 원인을 모두 나열하시오.
6. 사주 섬이 발달할 수 있는 조건은 무엇인가?
7.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석호의 유형은 무엇인가?
8. 사주가 침식을 받아 일시적인 조수통로가 만들어지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9. 우리나라에서 석호가 형성된 해안은 어디인가?
10. 갯터짐의 생태적 기능을 모두 기술하시오.
참고문헌
본문내용
남해안에 비해조수의 차가 적고 해안선이 단조로워 사주가 발달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었기 때문이다(권혁재, 2003).
환경부는 국내의 석호를 규모와 자연환경을 기준으로 대표적인 석호7개(화진포호, 송지호, 광포호, 영랑호, 메호, 향호, 경포호) 및 기타 석호 11개(선유담, 천진호, 봉포호, 봉포습지, 청초호, 가평리습지, 쌍호, 궁개호, 순포개, 염개호, 풍호) 등모두 18개로 정리하였다(원주지방환경청, 2017). 이들 석호는 112 km에 걸쳐 동해안일대에 분포해 있으며 희소성과 생태적 가치 등으로 존재가치가 새롭게 평가되고있다(윤순옥 등, 2008).
석호는 표층에는 담수가, 심층에는 해수가 층을 이루고 있어 수심이 얕다고 해도표층과 심층의 순환이 매우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대부분 석호의 경우 심층에는 용존산소가 거의 없거나 고갈된 상태이다. 석호의 심층에서는 혐기성 분해가 진행되므로 유기물의 분해가 매우 느릴 뿐 아니라 부산물이 생성되어 호수 수질을 악화시킨다(허우명 등, 2004a). 석호와 같은 기수호 생태계는 해양 생태계와 담수 생태계의 영향을 동시에 받으며 속성과 특성의 변화가 일반적으로 나타난다(Sampei et al., 1997). 물질순환의 측면에서 석호는 육상로부터 온 영양염 및 유기물을 해양으로 전달하는 통로일뿐 아니라 회유성 수생생물의 이동통로, 서식지, 번식지로서도 중요한 입지 조건을가지며(Pombo et al., 2005; 최의용 등, 2007) 계절에 따라 다양한 철새들이 도래하는기착지 또는 이동로의 역할을 하는 등 그 가치가 높다. 기수의 성격을 가지는 석호는 높은 1차 생산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수많은 생물체가 서식한다. 동해안의 18개 석호에는 83종 이상의 어류가 서식하며(최채석과 이광열, 2017) 몬순강우 시에 유역하천으로부터 유입하는 토사 및 영양염을 제어하는 완충지대인 갈대군락이 발달해 있다(박승철, 2014). 지중해 연안 석호에는 621종 이상의 수생 식물과 199종 이상의 어류가 서식할 정도로 석호는 생물학적 다양성이 높다(El Mahrad, 2022). 석호중 상당수는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에 분포하며 수산 자원을 제공함과 동시에 문화 서비스의 기반이 된다.
10. 갯터짐의 생태적 기능을 모두 기술하시오.
정답: 수질 개선, 생물종의 다양성 높임
[설명] (116쪽)
갯터짐은 수질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부영양화와 물고기의 집단 폐사를 억제한다. 특히 어패류의 이동로를 제공하여 생물종의 다양성을 높이는 기능도 수행한다. 석호는 육지와 바다가 접하는 지점에 형성되는 기수 지형의 한 종류다. 모래 퇴적으로 인해 형성된 사주, 사취가 해안 입구를 막아 호수가 형성된 것으로 하구와는구별된 생태 특성을 보인다(곽승준 등, 2005). 갯터짐 현상이 발생하면 석호는 바다와 연결되고 담수와 해수가 교환되면서 해수어의 산란장 등 다양한 생태학적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박승철, 2007). 석호는 시간이 지날수록 사주가 두꺼워지고 이에 따라 해수의 유입은 줄어 담수화가 진행되며 결과적으로 습성천이(hydrach succession)가 일어난다(신승춘과 박용길, 2004).
생물종의 다양성이 높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생물종마다 생태계에서 각각 기능을 맡고 있다. 예컨대 네덜란드 바덴해에 서식 하는 홍합은 1개체가 하루에 25~50 ℓ를 걸러 주는 것으로 조사된 적이 있다. 홍합 한 종류가 바덴해 전체의 물을 2 주일에 한 번씩 걸러 준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화진포호에 서식하는 재첩과 같은 조개는 유기물, 세균, 원생동물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수질을 정화한다.
참고문헌
한국지리여행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환경부는 국내의 석호를 규모와 자연환경을 기준으로 대표적인 석호7개(화진포호, 송지호, 광포호, 영랑호, 메호, 향호, 경포호) 및 기타 석호 11개(선유담, 천진호, 봉포호, 봉포습지, 청초호, 가평리습지, 쌍호, 궁개호, 순포개, 염개호, 풍호) 등모두 18개로 정리하였다(원주지방환경청, 2017). 이들 석호는 112 km에 걸쳐 동해안일대에 분포해 있으며 희소성과 생태적 가치 등으로 존재가치가 새롭게 평가되고있다(윤순옥 등, 2008).
석호는 표층에는 담수가, 심층에는 해수가 층을 이루고 있어 수심이 얕다고 해도표층과 심층의 순환이 매우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대부분 석호의 경우 심층에는 용존산소가 거의 없거나 고갈된 상태이다. 석호의 심층에서는 혐기성 분해가 진행되므로 유기물의 분해가 매우 느릴 뿐 아니라 부산물이 생성되어 호수 수질을 악화시킨다(허우명 등, 2004a). 석호와 같은 기수호 생태계는 해양 생태계와 담수 생태계의 영향을 동시에 받으며 속성과 특성의 변화가 일반적으로 나타난다(Sampei et al., 1997). 물질순환의 측면에서 석호는 육상로부터 온 영양염 및 유기물을 해양으로 전달하는 통로일뿐 아니라 회유성 수생생물의 이동통로, 서식지, 번식지로서도 중요한 입지 조건을가지며(Pombo et al., 2005; 최의용 등, 2007) 계절에 따라 다양한 철새들이 도래하는기착지 또는 이동로의 역할을 하는 등 그 가치가 높다. 기수의 성격을 가지는 석호는 높은 1차 생산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수많은 생물체가 서식한다. 동해안의 18개 석호에는 83종 이상의 어류가 서식하며(최채석과 이광열, 2017) 몬순강우 시에 유역하천으로부터 유입하는 토사 및 영양염을 제어하는 완충지대인 갈대군락이 발달해 있다(박승철, 2014). 지중해 연안 석호에는 621종 이상의 수생 식물과 199종 이상의 어류가 서식할 정도로 석호는 생물학적 다양성이 높다(El Mahrad, 2022). 석호중 상당수는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에 분포하며 수산 자원을 제공함과 동시에 문화 서비스의 기반이 된다.
10. 갯터짐의 생태적 기능을 모두 기술하시오.
정답: 수질 개선, 생물종의 다양성 높임
[설명] (116쪽)
갯터짐은 수질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부영양화와 물고기의 집단 폐사를 억제한다. 특히 어패류의 이동로를 제공하여 생물종의 다양성을 높이는 기능도 수행한다. 석호는 육지와 바다가 접하는 지점에 형성되는 기수 지형의 한 종류다. 모래 퇴적으로 인해 형성된 사주, 사취가 해안 입구를 막아 호수가 형성된 것으로 하구와는구별된 생태 특성을 보인다(곽승준 등, 2005). 갯터짐 현상이 발생하면 석호는 바다와 연결되고 담수와 해수가 교환되면서 해수어의 산란장 등 다양한 생태학적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박승철, 2007). 석호는 시간이 지날수록 사주가 두꺼워지고 이에 따라 해수의 유입은 줄어 담수화가 진행되며 결과적으로 습성천이(hydrach succession)가 일어난다(신승춘과 박용길, 2004).
생물종의 다양성이 높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생물종마다 생태계에서 각각 기능을 맡고 있다. 예컨대 네덜란드 바덴해에 서식 하는 홍합은 1개체가 하루에 25~50 ℓ를 걸러 주는 것으로 조사된 적이 있다. 홍합 한 종류가 바덴해 전체의 물을 2 주일에 한 번씩 걸러 준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화진포호에 서식하는 재첩과 같은 조개는 유기물, 세균, 원생동물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수질을 정화한다.
참고문헌
한국지리여행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추천자료
[한국지리여행 공통]북한강,남한강,한강·임진강,낙동강 유역별 1개의 권역 선택, 해당권역 대...
★ 한국지리여행 - 자연지리여행적 관점에서 소개하시오 ( 서해안 강화도 남단 갯벌 )
★ 한국지리여행 - 자연지리여행적 관점에서 소개하시오 ( 창녕 우포늪 )
[2017학년도 1학기 방송통신대학교 중간과제물] 한국지리여행(공통) 교재나 강의에서 소개하...
한국지리여행, 풍화 또는 화산 지리여행지 중 방문한 경험이 있거나 향후 꼭 방문하고 싶은 곳
한국지리여행 2018-교재나 강의에서 소개하고 있는 하천 또는 해안 지리여행지중 방문한 경험...
한국지리여행
[방송통신대학교 2019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한국지리여행(공통)교재나 강의에서 소개하고...
한국지리여행
한국지리여행] 1. 설악산 일원의 하천은 무엇을 따라 형성되었는가? (3점) 2. 대승폭포의 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