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수종(수두증-Hydrocephalus)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뇌수종(수두증-Hydrocephalus)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원인
·선천성 뇌수종
·후천성 뇌수종

2. 분류 및 병태생리

3. 임상증상
1) 초기 영아기
2) 후기 영아기
3) 영아기 전체
4) 아동기

4.진단
·컴퓨터 단층 검사(CT)
·MRI
·초음파 검사
·두개골 X-선 검사

5. 치료
1) 내과적 관리

2) 외과적 관리
(1) 뇌실 복막 단락(ventriculo peritoneal shunt)
(2) 뇌실 심방 단락(ventriculoatrial shunt)
(3) 뇌실 늑막 단락(ventriculopleural shunt)

6. 간호
1) 사정

2) 간호진단

3) 계획과 수행
(1) 두개내압 증가 ·신경손상 예방과 중재
(2) 가족대응의 증진
(3)피부손상의 예방
(4)통증 경감
(5) 감염예방(★)
(6) 건강한 신체상의 증진
(7) 가정에서의 건강 유지 촉진

본문내용

뇌수막염
③ 수액의 과도한 분비
·맥락총 종양의 일종인 맥락총 유두종
2)병태생리
뇌척수액 ▶ 측뇌실로부터 제3뇌실로 들어감(고동치는 모양)
▶ 실비우스 수도관 ▶ 제 4 뇌실 ▶마겐디공과 한쌍의 루시카공
▶ 지주막하강 ▶지주막 융모에 의해 재흡수
◀ 정상뇌실
a- 루시카 좌공, b- 마젠디공
c- 측뇌실, d- 몬로공
e- 제 3뇌실, f- 실비우스 수로관 g- 제 4뇌실
◀ 실비우스 뇌척수액 수로관이
막혀 생긴 수두증
◀ 수두증으로 뇌실이
팽창되어 있는 모습
◀ 수두증으로 잘 막히는
부위 4군데
3. 임상증상
1) 초기 영아기
·비정상적으로 빠른 머리 성장
·가끔은 머리의 확장없이 천문 팽창(특히 대천문)
⇒ 긴장, 맥박촉진 안됨, 두피정맥 팽창, 봉합선의 분리
·타진시 macewen(깨진 항아리 소리)
·두개골이 얇아짐
2) 후기 영아기
·전두골 확대 또는 돌출
·움푹한 눈
·일몰 징후
·동공은 빛에 대하여 느리며 비 대칭적 반응 보임
◀일몰현상,setting-sun eye sign 머리가 크고 두개골 봉합 (suture)이 벌어져 있으며 눈이 밑으로 향함
3) 영아기 전체
·불안정 ,기면
·들어올리거나 흔들 때는 울고 눕혀 두면 조용해 짐
·초기 영아기의 반사행동이 지속될 수도 있음
·예상되는 정상적인 반응이 나타나지 않음
·가능한 증상 : 의식 수준의 변화, 후궁반장, 하지 강직
·진행된 환아 : 작을 못 빨고 수유 장애, 날카롭고 짧은 고음의
울음 소리, 심폐장애
4) 아동기
·잠을 깰 때 두통
⇒ ∴ 그토나 곧은 자세 이후에 호전 됨
· 유도 울혈, 사시
·" extrapyramidal tract " 징후 (운동실조증 등)
·불안정, 기면, 무감동, 혼란, 종종 부조리한 행동
4. 진단
·컴퓨터 단층 검사(CT) ·MRI
·초음파 검사 ·두개골 X-선 검사
▲ 뇌수종 환자의 CT 소견 ▲ 션트 수술 후의 CT 소견
⇒ 뇌실이 수술 후 정상으로 작아진 것을 볼 수 있음
▲MRI 소견
5. 치료
·선천적인 경우 : 치료 불가능
·후천적인 경우 : 폐쇄원인이 되는 병소를 제거하여 뇌척수액의
흐름이 정상이 되도록 함
1) 내과적 관리
·요추천자, 뇌실천자를 통한 뇌척수액의 경감에 국한
⇒ 염증이나 두 개내 출혈이 있는 영아(단기적)
·뇌척수액의 생산을 감소시키는 acetazolamide(Diamox) 처방
2) 외과적 관리
·가장 효과적인 치료 : 단락장치(shunt device)의 외과적 삽입
·단락장치의 중요한 구성 요소(3가지)
① 뇌실 카테터
② 저장기와 펌프 장치
③ 뇌척수액의 흐름을 조절하는 세극밸브가 있는 원심관
(1) 뇌실 복막 단락(ventriculo peritoneal shunt)
▲ 두개골의 버어(burr)구멍을 통해
뇌실관을 삽입한 후, 피하조직을
통해 측로를 상복부로 연결
(2) 뇌실 심방 단락(ventriculoatrial shunt)
·복부문제가 병행되었을 때만 시행
·경정맥을 통한 통로를 경유하여 우심방으로 삽입되거나 직접 심장 으로 삽입
·위험 : 카테터의 움직임, 율동부정, 확대수술과 관련된 수술 위험,
심내막염, 울혈성 심부전
(3) 뇌실 늑막 단락(ventriculopleural shunt)
·복부나 심장 접금이 불가할 때만 시행
·위험 : 흉막 삼출액의 분비물 정체로 호흡기 감염
6. 간호
1) 사정
·수술에 대한 부모의 불안과 공포, 단락 장치에 대한 지식
·두개내압 증가의 징후 와 증상
·영아의 머리는 가장 큰 측정 지점에서(전후두골 둘레: OFC)를
매일 측정 (측정에서 큰 차이가 발생할 가능성을 피하기 위해
측정하는 머리 부위를 펜으로 표시)
2) 간호진단
·두개내 요인의 용량증가로 인한 대뇌 조직관류 변화의 위험성
·두개내압 상승과 발작행동으로 인한 신경손상의 위험성
·측로장치에 대한 부적절한 지작과 잠재적 만성질환의 대응방법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가족의 비효율적 대응
·영아 피부의 취약성과 수술 후 부동으로 인한 피부손상의 위험성
·수술처치와 관련된 통증
·피부 통합성 장애로 인한 외과적 감염의 위험성
·신체상과 관련된 개인의 비효율적 대응
- 수술로 인한 모발 상실
- 외과적으로 드러나는 측로장치
- 활동 제한
·단락장치의 지식부족으로 인한 건강유지능력 변화의 위험성
3) 계획과 수행
(1) 두개내압 증가 ·신경손상 예방과 중재
·침상머리는 30도 높여주고 심호흡 측정, 동공크기, 운동능력과
의식 수준을 자주 측정
·천문의 팽창을 정규적으로 기록
⇒ 구토시 혈관수액을 하며, 이는 수액유지 요구량의 75∼80% 가
넘지 않는 정도로 투여
·외부자극 감소와 침상 옆에 산소와 흡인 준비를 해놓아 발직시
대비
(2) 가족대응의 증진
·평생동안 아동의 머리에 기계장치를 해야 한다는 사실에 대한
예상에 대처 해야 함
⇒ 이미 장치를 한 아동을 볼수 있게 해주어 장치에 대한 불안을
덜어 줌
(3)피부손상의 예방
·온도탐침(probe)이나 단락부위에 불필요한 반창고는 붙이지 않아야 하며, 가끔 두피가 당기거나 손상 받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주의 깊게 관찰
·압박 방지를 위해 수술하지 않은 쪽으로 눕도록 함
·수술 후 물침대에 눕도록 해줌
·머리는 도너츠 모양의 베게를 사용해서 돌출부위 압박 방지
·뇌척수액의 너무 급속한 감소로 인한 합병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베개없이 평평하게 눕힘
(4)통증 경감
·편안하게 하기 위해 약물학적, 비 약물학적 안위 대책을 행함
·의식수준이 주요한 관측이기 때문에 진정제는 피함
(5) 감염예방(★)
·뇌척수액 감염 증상을 관찰
⇒ 활력징후의 증가, 수유장애, 구토, 반응 감소, 발작
·절개 부위에 아동의 손이 닿지 않도록 스토키넷 캡 사용
·수술 후 처방된 항생제 사용
(6) 건강한 신체상의 증진
·나이든 아동은 흔히 삭발과 기계장치가 보이는 것에 신경 쓰임
터놓고 이야기 하여 아동으로 하여금 두려움을 표현하도록 하는
것이 도움 됨
·같은 문제를 가진 다른 아동을 소개시켜주기도 함
(7) 가정에서의 건강 유지 촉진
·부모를 위한 가정간호 교육
⇒ 단락기능의 불량 증상과 징후 관찰, 새로운 단락을 가진 영아의 적절한 간호, 가정안전, 의사에게 보고할 상황 등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4.03.31
  • 저작시기2004.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54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