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뇌실천자를 통한 뇌척수액의 경감에 국한
⇒ 염증이나 두 개내 출혈이 있는 영아(단기적)
·뇌척수액의 생산을 감소시키는 acetazolamide(Diamox) 처방
2) 외과적 관리
·가장 효과적인 치료 : 단락장치(shunt device)의 외과적 삽입
·단락장치의 중요한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락감염 (Shunt infection)
-> 수술 후 2개월 이내에 나타나며 가장 흔한 원인균은 피부상주균인 포도알균이다.
치료는 우선 감염된 단락장치를 전부 제거하고 EVD를 한 후 1-2주간 항생제 치료를 하여 감염이 완전히 치료된 후 새로운 단락술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락술의 합병증
수두증의 치료는 과잉 축적된 뇌척수액을 단락장치를 써서 배액시키는 것을 말하지만 이 단락술에도 10명에 1-2명 꼴로 여러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단락술 후의 합병증으로는 급속한 뇌척수액의 배액으로 인한 뇌실질의 허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락 장치를 제거하여야 완치가 가능하다.
2) 뇌경막하 출혈(subdural haematoma)
급작스런 뇌실의 허탈(collapse)에 따라 뇌경막이 뇌 표면으로 잡아 당겨지는 효과에 의해 뇌경막하에 뇌척수액이 고이거나 뇌경막하 출혈이 발생된다. 따라서 환자를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2.05.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료진을 통한 경로로 발생함을 시사한다.
감염에 의하여 수막염, 뇌실염, 복막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뇌실-심방 단락술의 경우는 균혈증이나 패혈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는 단락장치를 제거하여야만 한다.
<치료>
- 션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1.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