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Anatomy
Ⅱ. Physiology
Ⅲ. Pathology
Ⅳ. OP Precedure
Ⅴ. Referance
Ⅱ. Physiology
Ⅲ. Pathology
Ⅳ. OP Precedure
Ⅴ. Referance
본문내용
료진을 통한 경로로 발생함을 시사한다.
감염에 의하여 수막염, 뇌실염, 복막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뇌실-심방 단락술의 경우는 균혈증이나 패혈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는 단락장치를 제거하여야만 한다.
<치료>
- 션트를 제거한 후에 새로 뇌실 도관술을 하거나
- 복강내 션트만을 피부 밖으로 내어 뇌척수액을 흘러 나오게 하면서
- 항생제를 약 10일-2주간 사용하여
- 척수액의 배양검사상 3회 이상 균이 검출되지 않으면
- 새로운 션트 수술을 반대편에 해주는 것이 통용된다.
<항생제의 뇌실내 투여>
션트의 제거없이 뇌실내 vancomycin 투여로 90%의 성공률을 보임.
튜브폐쇄
- 수술직후의 뇌척수액내의 조직파편이나 혈괴
- 근위튜브가 측뇌실내 잘못 놓여졌을 때
- 단락장치가 분리 또는 절단되거나 혹은 이동하는 경우
- 이런 경우 단락술을 다시 시행하여 곧 단락장치를 교정해야만 한다.
뇌척수액의 과배액
- 자세의 변화나 환자의 키와 관계있다고 생각된다.
- 주로 고령의 환자에서 호발
- 두통, 오심과 같은 증세를 보이는 기립성 저혈압
- 경막하혈종
: 수술시 머리가 크고 뇌실의 확장이 심한 경우 잘 발생하는데, 수술시 과도 한 뇌척수액 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두부 전산화단층촬영상 양이 많아 압박효과가 있거나 임상증상이 악화되는 경우 천공을 통해 배출하거나 기존 압력판보다 낮은 것으로 경막하 복막강 단락술을 시행할 수 있다. 그리고 뇌실-복강의 압력판 증강 등이 가능하다.
- slit ventricle syndrome
- 뇌실의 소방형성
- 소아: 두개골 조기유합증
- 발작, 뇌내출혈
Ⅳ. OP Precedure
1) 준비 물품
- mayo stand②, Bowl②, suction②, puspan②, towel①, 발포①, 애기용 spoid①, Davol, Bipolar line, Bipolar tip, SR G, E-B 4",
- NS small set, NS 11ea, 치과 Drill, Drill line, mastoid ret.
K-H3#, C-kelly, OS teeth forcep
- material : D/S 10cc②, 1cc①, D/N 23G①, #10 #11 mess, staple(R), Spongostan, surgicel(1903), Bonewax, vicryl2/0, Nylon3/0, B/S4/0(431), bemsheet(1,2호), 면도날, 종이자, 2% Lidocain, GV, V-P shunt용 passer (long, shot), ENT drill tip (6.5mm, 1mm burr tip), nelaton④, manometer, 3-way
- Accufulo : Programmaable valve set (straight), Bactiseal cath.
2) Precedure
② puspan에 Gauze 2장 넣고, micro shield 부어서 shaving 준비
면도칼 + c-m-kelly 로 shaving 하고 N/S으로 irrigation.
③ prep : alcohol → potadine 순으로 prep.
④ drap : towel⑤을 머리에서 부터 복부까지 drap 뒤에 staple 로 고정 후 Ioban 으로 머리부터 복부까지 붙이고 대공 drap.
⑤ GV로 incision 부위 표시 하고 2% epi-lidocain injection
⑥ 10# mess 로 scalp incision넣고 mastoid ret.로 self traction시킨다.
치과 Drill(6.5mm burr tip)로 Burr hole을 만들고, curette을 이용하여 긁 어 내고 Burr hole 양쪽으로 1mm burr tip으로 dura tagging hole을 만든 다. 11# mess 로 dura 절개하고 양쪽 구멍으로 B/S 4/0(431)로 dura tagging suture 한다.
⑦ 10# mess로 복부 절개하고 bovie로 dissection 후, peritoneum 절개 한다.
이때, Weitlaner로 self traction 시켜 놓는다.
* ⑥⑦은 동시에 시행된다.
⑧ Programmble valve 내의 proximal cath. 를 이용하여 ventricle puncture후에 CSF가 나오면 manometer를 이용하여 ICP 측정한다. 측정후 소독된 culture bottle②에 CSF를 받아서 검체물로 내린다. 한번 더 ICP 측 정 후, 그 차이에 따라 ICP에 따라 Programmable valve pressure를 setting 한다.
⑨ V-P shut 용 long cath. 로 귀 뒤쪽부터 복부 절개 부위까지 tunneling 한뒤, Bacticial distal cath. 를 관통시킨다.
V-P shut 용 short cath. 로 scalp 절개 부위에서 귀 뒤쪽까지 subcutaneous 하게 tunneling 하고, Bactiseall proximal cath. 를 관통시 킨다.
귀 뒤쪽에서 proximal cath. 와 distal cath. 를 valve unit와 고정한다.
(이때, proximal cath. 와 distal cath. 와 valve unit 는 anti가 mix 된 N/S 에 담궈 두고, valve unit 는 N/S을 채워놓는다.)
⑩ 머리쪽의 proximal cath. 와 복부쪽의 distal cath. 가 valve unit 와 잘
연결 되었는지 확인한 후, 각 cath. 끝과 valve unit 를 B/S 4/0로 tie하여 고정한다.
⑪ 귀 뒤쪽은 Nylon 3/0 로 suture 하고, 머리와 복부는 Vicryl 2/0, Nylon 3/0로 suture한다.
⑫ H2O2 - potadine oint로 dressing 한다.
Ⅴ. Referance
- 전시자외 공저, 성인간호학 하, 서울 : 현문사, 2005.
- MOSBY 현문사 2002년 8월 39일 발행
- 김명자 외(2005). 최신 기본간호학. 서울 : 현문사
- 의학 지식포털 메디버 http://www.mediver.com
감염에 의하여 수막염, 뇌실염, 복막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뇌실-심방 단락술의 경우는 균혈증이나 패혈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는 단락장치를 제거하여야만 한다.
<치료>
- 션트를 제거한 후에 새로 뇌실 도관술을 하거나
- 복강내 션트만을 피부 밖으로 내어 뇌척수액을 흘러 나오게 하면서
- 항생제를 약 10일-2주간 사용하여
- 척수액의 배양검사상 3회 이상 균이 검출되지 않으면
- 새로운 션트 수술을 반대편에 해주는 것이 통용된다.
<항생제의 뇌실내 투여>
션트의 제거없이 뇌실내 vancomycin 투여로 90%의 성공률을 보임.
튜브폐쇄
- 수술직후의 뇌척수액내의 조직파편이나 혈괴
- 근위튜브가 측뇌실내 잘못 놓여졌을 때
- 단락장치가 분리 또는 절단되거나 혹은 이동하는 경우
- 이런 경우 단락술을 다시 시행하여 곧 단락장치를 교정해야만 한다.
뇌척수액의 과배액
- 자세의 변화나 환자의 키와 관계있다고 생각된다.
- 주로 고령의 환자에서 호발
- 두통, 오심과 같은 증세를 보이는 기립성 저혈압
- 경막하혈종
: 수술시 머리가 크고 뇌실의 확장이 심한 경우 잘 발생하는데, 수술시 과도 한 뇌척수액 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두부 전산화단층촬영상 양이 많아 압박효과가 있거나 임상증상이 악화되는 경우 천공을 통해 배출하거나 기존 압력판보다 낮은 것으로 경막하 복막강 단락술을 시행할 수 있다. 그리고 뇌실-복강의 압력판 증강 등이 가능하다.
- slit ventricle syndrome
- 뇌실의 소방형성
- 소아: 두개골 조기유합증
- 발작, 뇌내출혈
Ⅳ. OP Precedure
1) 준비 물품
- mayo stand②, Bowl②, suction②, puspan②, towel①, 발포①, 애기용 spoid①, Davol, Bipolar line, Bipolar tip, SR G, E-B 4",
- NS small set, NS 11ea, 치과 Drill, Drill line, mastoid ret.
K-H3#, C-kelly, OS teeth forcep
- material : D/S 10cc②, 1cc①, D/N 23G①, #10 #11 mess, staple(R), Spongostan, surgicel(1903), Bonewax, vicryl2/0, Nylon3/0, B/S4/0(431), bemsheet(1,2호), 면도날, 종이자, 2% Lidocain, GV, V-P shunt용 passer (long, shot), ENT drill tip (6.5mm, 1mm burr tip), nelaton④, manometer, 3-way
- Accufulo : Programmaable valve set (straight), Bactiseal cath.
2) Precedure
② puspan에 Gauze 2장 넣고, micro shield 부어서 shaving 준비
면도칼 + c-m-kelly 로 shaving 하고 N/S으로 irrigation.
③ prep : alcohol → potadine 순으로 prep.
④ drap : towel⑤을 머리에서 부터 복부까지 drap 뒤에 staple 로 고정 후 Ioban 으로 머리부터 복부까지 붙이고 대공 drap.
⑤ GV로 incision 부위 표시 하고 2% epi-lidocain injection
⑥ 10# mess 로 scalp incision넣고 mastoid ret.로 self traction시킨다.
치과 Drill(6.5mm burr tip)로 Burr hole을 만들고, curette을 이용하여 긁 어 내고 Burr hole 양쪽으로 1mm burr tip으로 dura tagging hole을 만든 다. 11# mess 로 dura 절개하고 양쪽 구멍으로 B/S 4/0(431)로 dura tagging suture 한다.
⑦ 10# mess로 복부 절개하고 bovie로 dissection 후, peritoneum 절개 한다.
이때, Weitlaner로 self traction 시켜 놓는다.
* ⑥⑦은 동시에 시행된다.
⑧ Programmble valve 내의 proximal cath. 를 이용하여 ventricle puncture후에 CSF가 나오면 manometer를 이용하여 ICP 측정한다. 측정후 소독된 culture bottle②에 CSF를 받아서 검체물로 내린다. 한번 더 ICP 측 정 후, 그 차이에 따라 ICP에 따라 Programmable valve pressure를 setting 한다.
⑨ V-P shut 용 long cath. 로 귀 뒤쪽부터 복부 절개 부위까지 tunneling 한뒤, Bacticial distal cath. 를 관통시킨다.
V-P shut 용 short cath. 로 scalp 절개 부위에서 귀 뒤쪽까지 subcutaneous 하게 tunneling 하고, Bactiseall proximal cath. 를 관통시 킨다.
귀 뒤쪽에서 proximal cath. 와 distal cath. 를 valve unit와 고정한다.
(이때, proximal cath. 와 distal cath. 와 valve unit 는 anti가 mix 된 N/S 에 담궈 두고, valve unit 는 N/S을 채워놓는다.)
⑩ 머리쪽의 proximal cath. 와 복부쪽의 distal cath. 가 valve unit 와 잘
연결 되었는지 확인한 후, 각 cath. 끝과 valve unit 를 B/S 4/0로 tie하여 고정한다.
⑪ 귀 뒤쪽은 Nylon 3/0 로 suture 하고, 머리와 복부는 Vicryl 2/0, Nylon 3/0로 suture한다.
⑫ H2O2 - potadine oint로 dressing 한다.
Ⅴ. Referance
- 전시자외 공저, 성인간호학 하, 서울 : 현문사, 2005.
- MOSBY 현문사 2002년 8월 39일 발행
- 김명자 외(2005). 최신 기본간호학. 서울 : 현문사
- 의학 지식포털 메디버 http://www.mediver.com
추천자료
아토피에 대하여 -성인간호학(레포트)
모성간호학 실습 일일 레포트
간호윤리 안락사 레포트
아동건강 간호학(아동 발달과 건강) 레포트
[간호학]간염레포트
아동간호학 책정리 및 요약 레포트
아동 간호학 레포트 3-2
[간호학]분만모성레포트
[간호학] 아동의 신체 및 발달사정에 대한 모든것 레포트[2012년 A+추천 레포트★★★★★]
(서평) 존 맥스웰 리더십 불변의 법칙 서평 레포트, 간호관리학 레포트
방통대 영어회화1 레포트(간호과) 기억에 남는일 영어작문 : 주변사람들과 함게 모여 재미있...
2015년 4학년 2학기 방통대 간호학과 공통 교육심리학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8 발달단계이론 ...
지역사회간호학 독일 보건의료체계 A+ 레포트!!! 지역 다른나라 보건의료체계!
장애인의 성적 권리에 대하여 [사회복지 장애인 레포트 에세이 과제] [본인의 의견(비판, 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