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영재의 정의
ⅰ) 일반적인 정의
ⅱ) 영재정의에 관한 모형
Ⅱ. 영재교육의 정의
Ⅲ. 대한민국의 영재교육 : 역사
ⅰ) 우리나라의 과거의 영재교육
ⅱ) 예·체능 중심의 영재교육 실시 (1970-1980)
ⅲ) 영재교육의 기반 확충과 확산 (1981-1995)
ⅳ) 영재교육의 내실화 (1996-2001)
Ⅳ. 선진국의 영재교육 실태 - 미국의 영재교육을 중심으로
ⅰ) 영재교육법의 제정배경
ⅱ) 미국 영재교육 사례와 특징 심화학습을 통한 영재교육
ⅲ) 미국 영재교육의 변천과정
Ⅴ. 대한민국 영재교육 : 현황
Ⅵ. 대한민국의 영재교육 : 전망
Ⅶ. 대한민국 영재교육 : 대책
ⅰ) 일반적인 정의
ⅱ) 영재정의에 관한 모형
Ⅱ. 영재교육의 정의
Ⅲ. 대한민국의 영재교육 : 역사
ⅰ) 우리나라의 과거의 영재교육
ⅱ) 예·체능 중심의 영재교육 실시 (1970-1980)
ⅲ) 영재교육의 기반 확충과 확산 (1981-1995)
ⅳ) 영재교육의 내실화 (1996-2001)
Ⅳ. 선진국의 영재교육 실태 - 미국의 영재교육을 중심으로
ⅰ) 영재교육법의 제정배경
ⅱ) 미국 영재교육 사례와 특징 심화학습을 통한 영재교육
ⅲ) 미국 영재교육의 변천과정
Ⅴ. 대한민국 영재교육 : 현황
Ⅵ. 대한민국의 영재교육 : 전망
Ⅶ. 대한민국 영재교육 : 대책
본문내용
성 교육으로 인식되는 부작용을 낳았다. 이에 따라 시교육청은 기존 수학 및 과학 중심의 영재교육을 국어, 외국어 등 어학능력, 컴퓨터 정보 활용, 예술, 문예, 창작, 철학 논리학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 운영중인 심화학습교실도 점차 영재학급으로 전환하기로 했으며, 대구과학고는 과학기술부와 협의해 영재학교로 바꿀 계획이다.
Ⅵ. 대한민국의 영재교육 : 전망
ⅰ) 영재교육진흥법 에 따른 새 차원의 영재교육 전망 (2002년 이후)
ⅱ) 영재교육정책의 기본방향
ⅲ) 영재교육을 위한 제도적 기반 조성
ⅳ) 영재교육기관의 특성이 반영된 영재교육 추진
ⅴ) 영재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교육여건 및 인프라 구축
Ⅶ. 대한민국 영재교육 : 대책
인간의 뇌중량은 1.5세 정도가 출생 당시의 약 2배, 3세 어린이가 3배, 7~10세가 어른의 뇌중량의 약 80~90%에 달하는데, 이것은 0세에서 10세까지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유아기 두뇌발달과 집중력, 사고력, 창조력을 몸에 익힐 수 없다면 그 이후에 아무리 노력해도 뇌세포가 활성화될 수 없다고 한다. 유아교육이 바로서야 그 이후 교육이 성공할 수 있다. 그렇다면 유아영재를 판별할 수 있고 교육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한 영재 지도자를 길러내는 일이 시급하다. 빠른 시일 내에 유아영재를 담당할 교사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는다면 영재교육이 성공할 수 있을지 의문이 생긴다. 이와 같이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전문성도 문제점의 하나로 꼽힌다. 한국교육개발원의 조사에 따르면 영재교육 담당 교사 가운데 관련 연수를 받은 사람은 10%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현재 이 같은 영재교육을 담당할 전문가와 연구팀을 확보하는 기반구축이 시급하다. 그밖에 영재 판별 도구와 교육 프로그램도 미흡하다. 영재성 판별을 지능검사와 창의적 사고 검사, 학업성취도 검사 등에만 의존하고 있지만 영재 판별법에 대한 연구도 미흡한 실정이다. 이렇다 보니 영재학급 등 대부분의 영재교육기관에서 학업성적으로 학생을 선발하고 있으며 교수 학습 자료가 부족해 선행학습이나 경시대회 준비 수준의 수업이 진행되는 것이 현실이다.
나아가 특별히 유념해야 할 대상으로서, 학부모 그 중에서도 어머니들에게 당부하고 싶은 것은 영재교육에 대한 현명한 가치 정립과 선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영재교육 역시 어머니를 중심으로 한 부모의 입맛에 다소 좌지우지되는 부분은 필히 있다고 보지만, 무엇이 아이의 장래를 위하고 우리 교육의 앞날을 위해 필요한 것인가를 곰곰이 살펴봐야 한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
1. 이군현 著 .『영재교육학 - 이론과 실재』, 전영사 , 1988
2. 야후 백과사전 ,
http://kr.encycl.yahoo.com/final.html?id
=114086
3.
http://www.edunet4u.net/edunetWebApp/html/special/spMenu_022_sub1.jsp
발췌
Ⅵ. 대한민국의 영재교육 : 전망
ⅰ) 영재교육진흥법 에 따른 새 차원의 영재교육 전망 (2002년 이후)
ⅱ) 영재교육정책의 기본방향
ⅲ) 영재교육을 위한 제도적 기반 조성
ⅳ) 영재교육기관의 특성이 반영된 영재교육 추진
ⅴ) 영재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교육여건 및 인프라 구축
Ⅶ. 대한민국 영재교육 : 대책
인간의 뇌중량은 1.5세 정도가 출생 당시의 약 2배, 3세 어린이가 3배, 7~10세가 어른의 뇌중량의 약 80~90%에 달하는데, 이것은 0세에서 10세까지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유아기 두뇌발달과 집중력, 사고력, 창조력을 몸에 익힐 수 없다면 그 이후에 아무리 노력해도 뇌세포가 활성화될 수 없다고 한다. 유아교육이 바로서야 그 이후 교육이 성공할 수 있다. 그렇다면 유아영재를 판별할 수 있고 교육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한 영재 지도자를 길러내는 일이 시급하다. 빠른 시일 내에 유아영재를 담당할 교사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는다면 영재교육이 성공할 수 있을지 의문이 생긴다. 이와 같이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전문성도 문제점의 하나로 꼽힌다. 한국교육개발원의 조사에 따르면 영재교육 담당 교사 가운데 관련 연수를 받은 사람은 10%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현재 이 같은 영재교육을 담당할 전문가와 연구팀을 확보하는 기반구축이 시급하다. 그밖에 영재 판별 도구와 교육 프로그램도 미흡하다. 영재성 판별을 지능검사와 창의적 사고 검사, 학업성취도 검사 등에만 의존하고 있지만 영재 판별법에 대한 연구도 미흡한 실정이다. 이렇다 보니 영재학급 등 대부분의 영재교육기관에서 학업성적으로 학생을 선발하고 있으며 교수 학습 자료가 부족해 선행학습이나 경시대회 준비 수준의 수업이 진행되는 것이 현실이다.
나아가 특별히 유념해야 할 대상으로서, 학부모 그 중에서도 어머니들에게 당부하고 싶은 것은 영재교육에 대한 현명한 가치 정립과 선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영재교육 역시 어머니를 중심으로 한 부모의 입맛에 다소 좌지우지되는 부분은 필히 있다고 보지만, 무엇이 아이의 장래를 위하고 우리 교육의 앞날을 위해 필요한 것인가를 곰곰이 살펴봐야 한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
1. 이군현 著 .『영재교육학 - 이론과 실재』, 전영사 , 1988
2. 야후 백과사전 ,
http://kr.encycl.yahoo.com/final.html?id
=114086
3.
http://www.edunet4u.net/edunetWebApp/html/special/spMenu_022_sub1.jsp
발췌
추천자료
영재에 대한 정의 및 교육 모델
(유아특수교육) 유아특수 교육의 필요성과 실태 및 바람직한 발전방향
한국 사회의 교육 불평등의 실태와 대안
[평생학습]학습권 보장을 위한 평생교육 인프라 구축실태 및 방안
공교육(학교교육)의 개념, 공교육(학교교육)의 의미, 공교육(학교교육)의 비용, 공교육(학교...
초등학교 6학년 국어과(국어교육)의 목표와 실태, 초등학교 6학년 국어과(국어교육) 지도중점...
초등학교 3학년 영어과(영어교육)의 내용체계와 기초실태, 초등학교 3학년 영어과(영어교육)...
초등학교 6학년 사회과(사회과교육)의 목표와 실태, 초등학교 6학년 사회과(사회과교육)의 내...
초등음악교육, 초등학교 6학년 음악과(음악교육) 목표와 실태, 초등학교 6학년 음악과(음악교...
초등학교 3학년 도덕과(도덕교육)의 목표와 실태, 초등학교 3학년 도덕과(도덕교육)의 내용체...
개별화수업(개별화학습, 교육지도) 정의와 종류, 개별화수업(개별화학습, 교육지도) 유형과 ...
중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특성, 중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실태, 중학교 영어과(영어교육)...
공동체의식의 정의, 공동체의식지도(공동체의식교육)의 실태, 공동체의식지도(공동체의식교육...
국어과(국어학습, 국어교육) 특성과 목표, 국어과(국어학습, 국어교육) 실태와 내용, 국어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