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1. 정의 및 원인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진단
5. 치료 및 간호
Ⅲ. 사례보고서
1. 입원아동 기본정보
2. 간호과정
1) #1. 정체된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2) #2. 친숙하지 않은 상황과 관련된 불안
Ⅳ. 후기
Ⅴ.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1. 정의 및 원인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진단
5. 치료 및 간호
Ⅲ. 사례보고서
1. 입원아동 기본정보
2. 간호과정
1) #1. 정체된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2) #2. 친숙하지 않은 상황과 관련된 불안
Ⅳ. 후기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비강캐뉼라를 이용한 산소 주입은 부족한 산소를 보충하여 대상자의 호흡
을 조금 더 편안하게 해준다.
4. 등두드리기를 통하여 대상자의 객담을 배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5. 보호자가 등두드리기를 적용할 수 있다면 객담을 배출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6. 대상자가 숨쉬는 것을 보다 편하게 하기 위해 숨 쉬는데 도움이 되는 자세를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간호중재
1. V/S과 산소포화도를 측정하였다.
2. 폐음청진을 통해 wheezing이 들리는 것을 확인함.
3. 비강캐뉼라를 이용하여 O2 2L를 주입함.
4. 등두드리기를 시행하여 많은 양은 아니지만 소량의 객담을 배출함.
5. 보호자에게 등두드리기를 설명함.
“손을 오므리고 등을 위에서 아래, 옆구리, 앞가슴 쪽을 두드려줍니다.”
6. 보호자에게 숨 쉬는데 도움이 되는 자세인 head up, semi fowler position과 Lt.lateral position을 설명함.
평가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SPO2 96%이상 유지한다.
(달성) 10/28 07:00부터 비강캐뉼라를 통해 O2 2L를 제공하고 현재까지 SPO2는 96%이상 유지되며 호흡양상이 안정적이므로 퇴원 시 까지 큰 문제가 없어보여 목표를 달성했다 판단함.
단기목표
대상자는 7일 이내에 wheezing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달성) 현재 폐음청진 시 가끔 wheezing 소리가 들리기는 하지만 호흡하는데 문제가 없으며 호전되고 있으므로 달성했다함.
대상자는 7일 이내에 자발적으로 분비물을 배출할 수 있다.
(미달성) 등두드리기를 통해 소량의 분비물을 배출할 수 있지만 자발적으로는 시행하지 못하며 추후 교육을 재시행할 예정.
#1 정체된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날 짜
10월 31일 입원 ( 5 )일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울고 불며)“집에 갈거야 집 가고 싶어”
-“전부 다 하기 싫어, 팔(IV insert site)도 아프고 주사도 싫어”
객관적
자료
-(10/28)Beck Anxiety Inventory 24점 check
-‘집에 가고 싶다며 물건을 발로 차는 행위가 관찰됨’
-‘가끔 V/S 하기 싫다며 거부함’
간호진단
친숙하지 않은 상황과 관련된 불안
간호계획
간호목표
(장단기)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물건을 던지거나 차는 행위가 관찰되지 않는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7일 이내 Beck Anxiety Inventory가 22점 미만으로 측정된다.
-대상자는 7일 이내 불안하지 않다고 표현한다.
내 용
근거
[진단적 계획]
대상자의 V/S을 사정한다.
2. 대상자에게 Beck Anxiety Invent
ory를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3. 대상자에게 장난감을 가지고 놀 수 있게 제공한다.
4. 대상자를 보호자와 함께 원내 산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5. 대상자의 주변 환경을 조용히 만들어준다.
[교육적 계획]
6. 산책으로 인해 대상자의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교육한다.
극심한 불안은 비정상적인 수치를 보일 수 있다.
2. Beck Anxiety Inventory를 통해 대상자의 10/28 불안정도와 현재 불안 정도를 사정할 수 있다.
3. 장난감을 가지고 놀음으로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4. 현재 병원이 친숙하지 않은 상황이므로 원내를 돌아다니며 병원임을 인지하고 적응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5. 시끄러운 주변 환경보다 조용한 주변 환경이 불안을 완화 시켜 줄 수 있다.
6. 대상자가 불안을 느낄 때 산책은 스트레스 해소와 불안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에도 익숙해질 수 있음을 교육한다.
간호중재
1. 대상자의 V/S을 측정하였다.
2. 10/28(좌)에 사정한 Beck Anxiety Inventory는 24점이 10/31(우)에 사정한 Beck Anxiety Inventory는 7점으로 불안정도가 완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장난감을 가지고 놀 수 있도록 타요버스 장난감을 제공하였다.
4. 하루에 2번 이상 대상자가 원할 때마다 보호자와 함께 원내 산책을 할 수 있도록 시행하였다.
5. 대상자의 병실 문에 정숙 판넬을 붙여 다른 병실의 보호자들이나 환자가 주위에서 떠들지 못하도록 양해를 구한다.
6. 대상자가 불안을 느낄 때 산책을 통하여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교육한다.
평가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물건을 던지거나 차는 행위가 관찰되지 않는다.
(달성) 아직 퇴원을 하지 않았지만 행동양상으로 보아 물건을 던지는 모습이나 차는 행위가 관찰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됨.
[단기목표]
-대상자는 7일 이내 Beck Anxiety Inventory가 22점 미만으로 측정된다.
(달성) 대상자는 11월 1일에 측정한 Beck Anxiety Inventory가 7점 측정됨.
-대상자는 7일 이내 불안하지 않다고 표현한다.
(달성) “무섭지 않아” 라고 표현함
#2 친숙하지 않은 상황과 관련된 불안
Ⅳ. 후기
본 간호사례를 작성하며 아동간호에 있어 필요한 것들이 무엇인지, 소아청소년과에 입사하고 싶다면 어떤 마음가짐이 필요한지 알게 된 중요한 계기가 되었고, 성인과는 비슷할 것 같았다는 내 생각이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는 것을 알았을 때 아동간호학을 더 보기 위해 책을 펴보게 된 것 같다. 또한 성인에게는 통하지 않는 치료 방법이 아동에게는 잘 통할 때가 있었고 2주의 실습과 2개의 간호과정을 작성하며 앞으로 있을 여성과 정신 파트에서는 앞으로 더 잘 할 수 있게, 보는 견을 늘리기 위해 책을 한번 더 펴보고 가야할 것 같다.
Ⅴ. 참고문헌
1. 박민지 외(2022), 한국의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각결막염의 혈청형 및 임상 양상의 분석, p150~155, 제 21권, 제4호
2. 전재민 외(2020), 소아 수면무호흡 환자의 편도, 아데노이드 절제술에서 전동식 피막 내 편도전절제술과전통적 피막 외 편도전절제술의 비교, p167~171, 제63권, 제4호
3. 박용균(2015), 알레르기 비염과 아데노이드 비대와의 상관성 연구, 중앙대학교
4. 김미혜 외(2018), 아동건강회복간호. p50~72, 수문사
5. 김영혜 외(2019),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p30~50, 수문사
을 조금 더 편안하게 해준다.
4. 등두드리기를 통하여 대상자의 객담을 배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5. 보호자가 등두드리기를 적용할 수 있다면 객담을 배출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6. 대상자가 숨쉬는 것을 보다 편하게 하기 위해 숨 쉬는데 도움이 되는 자세를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간호중재
1. V/S과 산소포화도를 측정하였다.
2. 폐음청진을 통해 wheezing이 들리는 것을 확인함.
3. 비강캐뉼라를 이용하여 O2 2L를 주입함.
4. 등두드리기를 시행하여 많은 양은 아니지만 소량의 객담을 배출함.
5. 보호자에게 등두드리기를 설명함.
“손을 오므리고 등을 위에서 아래, 옆구리, 앞가슴 쪽을 두드려줍니다.”
6. 보호자에게 숨 쉬는데 도움이 되는 자세인 head up, semi fowler position과 Lt.lateral position을 설명함.
평가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SPO2 96%이상 유지한다.
(달성) 10/28 07:00부터 비강캐뉼라를 통해 O2 2L를 제공하고 현재까지 SPO2는 96%이상 유지되며 호흡양상이 안정적이므로 퇴원 시 까지 큰 문제가 없어보여 목표를 달성했다 판단함.
단기목표
대상자는 7일 이내에 wheezing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달성) 현재 폐음청진 시 가끔 wheezing 소리가 들리기는 하지만 호흡하는데 문제가 없으며 호전되고 있으므로 달성했다함.
대상자는 7일 이내에 자발적으로 분비물을 배출할 수 있다.
(미달성) 등두드리기를 통해 소량의 분비물을 배출할 수 있지만 자발적으로는 시행하지 못하며 추후 교육을 재시행할 예정.
#1 정체된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날 짜
10월 31일 입원 ( 5 )일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울고 불며)“집에 갈거야 집 가고 싶어”
-“전부 다 하기 싫어, 팔(IV insert site)도 아프고 주사도 싫어”
객관적
자료
-(10/28)Beck Anxiety Inventory 24점 check
-‘집에 가고 싶다며 물건을 발로 차는 행위가 관찰됨’
-‘가끔 V/S 하기 싫다며 거부함’
간호진단
친숙하지 않은 상황과 관련된 불안
간호계획
간호목표
(장단기)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물건을 던지거나 차는 행위가 관찰되지 않는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7일 이내 Beck Anxiety Inventory가 22점 미만으로 측정된다.
-대상자는 7일 이내 불안하지 않다고 표현한다.
내 용
근거
[진단적 계획]
대상자의 V/S을 사정한다.
2. 대상자에게 Beck Anxiety Invent
ory를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3. 대상자에게 장난감을 가지고 놀 수 있게 제공한다.
4. 대상자를 보호자와 함께 원내 산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5. 대상자의 주변 환경을 조용히 만들어준다.
[교육적 계획]
6. 산책으로 인해 대상자의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교육한다.
극심한 불안은 비정상적인 수치를 보일 수 있다.
2. Beck Anxiety Inventory를 통해 대상자의 10/28 불안정도와 현재 불안 정도를 사정할 수 있다.
3. 장난감을 가지고 놀음으로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4. 현재 병원이 친숙하지 않은 상황이므로 원내를 돌아다니며 병원임을 인지하고 적응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5. 시끄러운 주변 환경보다 조용한 주변 환경이 불안을 완화 시켜 줄 수 있다.
6. 대상자가 불안을 느낄 때 산책은 스트레스 해소와 불안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에도 익숙해질 수 있음을 교육한다.
간호중재
1. 대상자의 V/S을 측정하였다.
2. 10/28(좌)에 사정한 Beck Anxiety Inventory는 24점이 10/31(우)에 사정한 Beck Anxiety Inventory는 7점으로 불안정도가 완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장난감을 가지고 놀 수 있도록 타요버스 장난감을 제공하였다.
4. 하루에 2번 이상 대상자가 원할 때마다 보호자와 함께 원내 산책을 할 수 있도록 시행하였다.
5. 대상자의 병실 문에 정숙 판넬을 붙여 다른 병실의 보호자들이나 환자가 주위에서 떠들지 못하도록 양해를 구한다.
6. 대상자가 불안을 느낄 때 산책을 통하여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교육한다.
평가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물건을 던지거나 차는 행위가 관찰되지 않는다.
(달성) 아직 퇴원을 하지 않았지만 행동양상으로 보아 물건을 던지는 모습이나 차는 행위가 관찰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됨.
[단기목표]
-대상자는 7일 이내 Beck Anxiety Inventory가 22점 미만으로 측정된다.
(달성) 대상자는 11월 1일에 측정한 Beck Anxiety Inventory가 7점 측정됨.
-대상자는 7일 이내 불안하지 않다고 표현한다.
(달성) “무섭지 않아” 라고 표현함
#2 친숙하지 않은 상황과 관련된 불안
Ⅳ. 후기
본 간호사례를 작성하며 아동간호에 있어 필요한 것들이 무엇인지, 소아청소년과에 입사하고 싶다면 어떤 마음가짐이 필요한지 알게 된 중요한 계기가 되었고, 성인과는 비슷할 것 같았다는 내 생각이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는 것을 알았을 때 아동간호학을 더 보기 위해 책을 펴보게 된 것 같다. 또한 성인에게는 통하지 않는 치료 방법이 아동에게는 잘 통할 때가 있었고 2주의 실습과 2개의 간호과정을 작성하며 앞으로 있을 여성과 정신 파트에서는 앞으로 더 잘 할 수 있게, 보는 견을 늘리기 위해 책을 한번 더 펴보고 가야할 것 같다.
Ⅴ. 참고문헌
1. 박민지 외(2022), 한국의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각결막염의 혈청형 및 임상 양상의 분석, p150~155, 제 21권, 제4호
2. 전재민 외(2020), 소아 수면무호흡 환자의 편도, 아데노이드 절제술에서 전동식 피막 내 편도전절제술과전통적 피막 외 편도전절제술의 비교, p167~171, 제63권, 제4호
3. 박용균(2015), 알레르기 비염과 아데노이드 비대와의 상관성 연구, 중앙대학교
4. 김미혜 외(2018), 아동건강회복간호. p50~72, 수문사
5. 김영혜 외(2019),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p30~50, 수문사
추천자료
[아동간호학실습] 아동 폐렴 케이스 스터디(PNEUMONIA case study)
[아동간호학 실습 Ⅰ] 신생아실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신생아 케이스,A+ 정상 신생아
아동간호학실습 A+받은 폐렴 케이스입니다. 문헌고찰부터 간호진단, 느낀점, 출처까지 기재되...
아동간호학 임상실습 폐렴 케이스폐렴 간호과정Pneumonia case study A+
모성간호학 아동간호학 후기감퇴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간호진단3개, 간호과정 3개, a+보...
아동간호학, 아동간호학 실습, 아동간호 실습 A+, 뇌수막염, Meningitis
A+보장 아동간호학 실습 신생아 황달 jaundice 간호과정 2개(완전꼼꼼)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 스터디 GERD(위식도역류질환) A+받은 자료입니다.
아동간호학실습 NICU(신생아중환자실) 케이스 -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 간호진단 5개+간호...
아동간호학실습 A+++보장 뇌성마비 케이스, 케이스스터디, case, 컨퍼런스, 집담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