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실습 NICU(신생아중환자실) 케이스 -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 간호진단 5개+간호과정 2개 (A+)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간호학실습 NICU(신생아중환자실) 케이스 -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 간호진단 5개+간호과정 2개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2. 인수인계
3. 간호진단 (우선순위 정하는 자세한 과정)
4. 간호과정

본문내용

8
2100g
9/19
2130g
9/20
2180g
9/21
2150g
결과
I/O 결과9/15
152
212
9/16
154.2
100
9/17
168
190
9/18
175
115
9/19
156
137
9/20
164
186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원활하게 all bottle feeding 할 것이다.
<단기목표>
3일 이내에 sucking power normal하게 변할 것이다.
3일 이내에 feeding 시 desaturation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3일 이내에 weight gain에서 loss를 보이지 않을 것이다.
3일 이내에 I/O check 할 때 정상 범위 내에서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진단적 계획>
feeding 시 pulse oximeter monitoring을 시행한다.
feeding 시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feeding 시 sucking power를 관찰한다.
매일 weight와 I/O 측정하고 관찰한다.
<치료적 계획>
1. feeding 시 적절한 체위를 취해준다.
2. 적절한 수유 간호를 수행한다.
3. 수유 전 구강자극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4. 처방에 따라 영양보충제를 투여한다.
<교육적 계획>
-
<진단적 계획>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퇴원 시점까지도 수유 시 산소포화도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미숙아에서도 수면 및 수유 중의 산소포화도 감소가 관찰되었다.(유효정 외 3명, “수유 시 심한 산소 포화도 저하를 보이는 만삭아에서 위식도 촬영의 유용성”, 대한신생아학회지(2006), vol.13(2))
미숙아에서 경구 수유 시에 흡기 시간이 짧아지고, 호흡 빈도와 평상 호흡 용적이 낮아져 산소 포화도가 떨어지게 되며, 삼키는 동작은 환기를 중단시킨다.(유효정 외 3명, “수유 시 심한 산소 포화도 저하를 보이는 만삭아에서 위식도 촬영의 유용성”, 대한신생아학회지(2006), vol.13(2))
건강한 신생아에서 경구 수유 시작 시에는 지속적인 빨기 동작을 보인다.(유효정 외 3명, “수유 시 심한 산소 포화도 저하를 보이는 만삭아에서 위식도 촬영의 유용성”, 대한신생아학회지(2006), vol.13(2))
미숙아 및 저체중아에 대한 영양은 자궁내 성장과 비슷하게 1일 평균 15~20g 성장하도록 칼로리와 영양소를 공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최영륜, “미숙아 및 저체중 출생아의 관리”, J Korean Med Assoc(2008), vol.51(8), pp.745-754.)
<치료적 계획>
바로 눕힌 자세에서의 젖병 수유는 기도 흡인 위험도가 높으며, 유스타키오관을 통해 분유가 흘러 들어가 중이염을 일으킬 수 있다.(김지홍, “젖병 수유의 기본 원칙”,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 적절한 인공수유 간호는 대상자에게 수유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의 발생 위험도를 감소시킨다.(김희순 외, “아동간호학1”, 수문사(2021), 131)
3. 미숙아에게 적용한 구강자극 프로그램은 첫 젖병수유 시작 시기와 완전 젖병수유 시기를 빠르게 하였으며, 수유 시 저산소증도 줄이고 이로 인한 퇴원지연도 줄일 수 있었다.
(김희영, 방경숙, “미숙아에게 적용한 구강 자극 프로그램이 젖병 수유로의 이행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2011), vol.18(2))
4. 미숙아 분유에는 비타민이 충분하므로 초기에 수유량이 불충분한 경우에만 보충해주고 1일 수유량이 150ml/kg 또는 300kcal에 도달하거나 체중이 2,500g 되면 중지해도 된다.(최영륜, “미숙아 및 저체중 출생아의 관리”, J Korean Med Assoc(2008), vol.51(8))
<교육적 계획>
-
<진단적 계획>
feeding 시 pulse oximeter monitoring 시행하고 desaturation 발생하면 그 수치를 기록하였다.
9/21
9/22
9/23
SpO2
70% 초
70% 후
80% 초
2. feeding 시 호흡양상 사정하였다.9/21
9/22
9/23
irregular
irregular
irregular
3. feeding 시 sucking power 관찰하였다.9/21
9/22
9/23
poor
poor
moderate
4. 매일 weight와 I/O 측정하였다.9/21
9/22
9/23
2150g
2180g
2210g
9/21
9/22
9/23
156/143
161/123
164/131
<치료적 계획>
feeding 시 대상자에게 적절한 체위를 취해주었다.
대상자를 45°로 세워 안았다.
2. 적절한 수유 간호를 수행하였다.
수유 전 기저귀를 먼저 갈고 손 씻기를 수행한다.
수유 전 대상자의 배고픔 상태를 확인한다. (빨기 반사, 포유 반사 등)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젖병을 바로 세워서 feeding 한다.
혀가 반드시 아래에 위치하도록 한다.
약 20분에 걸쳐 천천히 수유한다.(만일 대상자가 feeding 도중 desat 보인다면 젖병을 중간중간 떼어준다.)
수유 후에는 등을 두드려 트림 시킨다.
수유 후 젖병을 100℃에서 10분 간 열탕하며 소독한다.
3. 수유 전 구강자극 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
수유 15분 전 볼, 입술, 잇몸, 혀를 마사지 하고 비영양 흡철을 유도하여 빨기-삼키기-호흡하기를 연습하도록 했다.
4. 처방에 따라 종합비타민제와 철분제를 투여하였다.
D3 Base 1BT Novalac에 mix 하여 제공하였다.
Alvityl 2ml Novalac에 mix하여 제공하였다.
Ferrumkid soln 2 drops Novalac에 mix하여 제공하였다.
<교육적 계획>
-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desaturation 없이 sucking power moderate하게 all bottle feeding 하였다.
<단기목표>
9/23 sucking power moderate하게 완화되었다.
- 9/23 여전히 feeding 시 desaturation 80% 초반으로 발생하였다. (미달성)
9/23까지 weight loss 보이지 않고 증량하는 양상 보였다.
9/23까지 I/O 결과에서 모두 normal한 양상 보였다.
‘실습집담회’는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 인수인계 ☞ 간호과정 순으로 진행됩니다.
  • 가격2,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24.04.10
  • 저작시기202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71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