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역학
2. 원인
3. 병태생리
1) 백혈병세포의 기관침범 및 증식
2) 대사 및 전해질 이상
4. 환아사정 및 진단
5. 치료적 관리
1) 질병분류와 예후
2) 치료목표
3) 치료
2. 원인
3. 병태생리
1) 백혈병세포의 기관침범 및 증식
2) 대사 및 전해질 이상
4. 환아사정 및 진단
5. 치료적 관리
1) 질병분류와 예후
2) 치료목표
3) 치료
본문내용
② 완해의 유지
- 일단 완해가 오면 남아 있는 세포를 더욱 줄이며, 완해를 유지하기 위해 항백혈병제 를 계속 준다.
methotrexate, 6-mercaptopurine, cyclophosphamide 등을 사용하면서 매월 vincristine 1회 주사와 prednisone을 5일간 복용시키기도 한다.
중추신경계 침범 예방을 위해 머리의 방사선조사와 척수강내에 methotrexate를 주 입한다.
- 완해 유지 요법은 병원에 따라 다르나, 대개 최소 3년간을 계속 유지하며, 그 이상 계속하는 수도 있다.
③ 면역 요법(immunotheraphy)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 물질
- 암에 대한 생물학적 반응을 조절함으로써 치료효과를 얻는 방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Cytokine, 성숙분화 유도제제, 과립구나 거대세포집락 자극인자 등이 이에 속 한다.
④ 감염에 대한 치료
- 감염은 출혈과 함께 백혈병의 중요한 사망 원인이다. pseudomonas, E.coil, Klebsiella-aerobacter, staphylococci, pneumocystis carinii, candida albicans 등 보통 상태에서는 문제가 없는 균들이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원인균이 분리되었을 때는 거기에 맞는 항생제를 사용하고, 균을 알 수 없을 때는 cephalothin, cloxacillin, carbenicillin, gentamicin, kanamycin, clindamycin 등 을 병용한다.
대부분의 항백혈병제는 면역성을 감소시키므로,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율이 높다. 특히 수두에 걸린 환자와 접촉을 피하는 것이 중요한데, 접촉하였을 때에는 대상포 진 회복기환자의 면역 globulin(혹은 plasma)을 주사하기도 한다.
⑤ 출혈에 대한 치료
- 다량의 출혈을 하는 경우에는 신선한 혈액으로 수혈을 한다. 혈소판이 적어서 출혈 을 하는 경우, 혈소판이 많은 혈장이나 농축혈소판 수혈을 한다.
⑥ 골수이식
- 백혈구 항원(human leukocyte antigen, HLA)이 일치하는 형제가 있을 때 골수이 식을 시행하는데, 장기생존율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경우 첫 완해시 시행하면 40~60%이다.
참고 문헌
1. 김미예 외 11명 (1999년), 『아동간호학 각론』 수문사
2. 김길영 (2002년), 『소아 혈액학』 군자출판사
3. Adele Pillitteri (2003년), 『아동간호학』 군자출판사
- 일단 완해가 오면 남아 있는 세포를 더욱 줄이며, 완해를 유지하기 위해 항백혈병제 를 계속 준다.
methotrexate, 6-mercaptopurine, cyclophosphamide 등을 사용하면서 매월 vincristine 1회 주사와 prednisone을 5일간 복용시키기도 한다.
중추신경계 침범 예방을 위해 머리의 방사선조사와 척수강내에 methotrexate를 주 입한다.
- 완해 유지 요법은 병원에 따라 다르나, 대개 최소 3년간을 계속 유지하며, 그 이상 계속하는 수도 있다.
③ 면역 요법(immunotheraphy)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 물질
- 암에 대한 생물학적 반응을 조절함으로써 치료효과를 얻는 방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Cytokine, 성숙분화 유도제제, 과립구나 거대세포집락 자극인자 등이 이에 속 한다.
④ 감염에 대한 치료
- 감염은 출혈과 함께 백혈병의 중요한 사망 원인이다. pseudomonas, E.coil, Klebsiella-aerobacter, staphylococci, pneumocystis carinii, candida albicans 등 보통 상태에서는 문제가 없는 균들이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원인균이 분리되었을 때는 거기에 맞는 항생제를 사용하고, 균을 알 수 없을 때는 cephalothin, cloxacillin, carbenicillin, gentamicin, kanamycin, clindamycin 등 을 병용한다.
대부분의 항백혈병제는 면역성을 감소시키므로,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율이 높다. 특히 수두에 걸린 환자와 접촉을 피하는 것이 중요한데, 접촉하였을 때에는 대상포 진 회복기환자의 면역 globulin(혹은 plasma)을 주사하기도 한다.
⑤ 출혈에 대한 치료
- 다량의 출혈을 하는 경우에는 신선한 혈액으로 수혈을 한다. 혈소판이 적어서 출혈 을 하는 경우, 혈소판이 많은 혈장이나 농축혈소판 수혈을 한다.
⑥ 골수이식
- 백혈구 항원(human leukocyte antigen, HLA)이 일치하는 형제가 있을 때 골수이 식을 시행하는데, 장기생존율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경우 첫 완해시 시행하면 40~60%이다.
참고 문헌
1. 김미예 외 11명 (1999년), 『아동간호학 각론』 수문사
2. 김길영 (2002년), 『소아 혈액학』 군자출판사
3. Adele Pillitteri (2003년), 『아동간호학』 군자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