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적 불교․유교․도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한국불교

2. 한국의 유교(유학)

3. 한국의 도교

본문내용

교리적 계통으로 잡유시킴으로써 成立道敎라는 일종의 종교신앙으로 체계화 교단화 되었다.
0 중국도교와 한국도교의 가장 큰 차이는 교단의 설립 문제이다. 중국 도교는 교단확립을 통하여 道士 중심의 의례도교로 자리잡아간 데 비해, 한국 도교는 교단설립은 커녕 科儀道敎가 가장 활발했던 고려조에 있어 복원궁에 종사한 도사들 마저도 종교적 성직으로서 이를 받아들이고 도교전파의 임무를 수행한 것이 아니라, 이를 다만 직업적인 일로만 파악하여 그 과의적인 도교의례의 임무를 시행하고 있다. 이는 결국 한국고대사유가 후대로 내려오면서 중국 도가 내지 도교 사상에 습합되는 현상을 보이고는 있지만 본질적으로 형식과 내용에서 독자적인 사유세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최남선 등이 지적한 '한국에서 배워간 신선도가 역수입된 것이 아니겠는가' 는 의문을 가질 정도로 쉽게 회통이 되고, 유사하게 전개되었다.
그리고 수련방법면에서 한국도교는 외단학적인 면을 배제하고 순수 수련도교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 그 수련 방법이나 목표의 유사성으로 인하여 한국도교는 우리 고유의 선도(조선단학)와 매우 흡사한 면을 가지고 있으나 전 시간에 보았듯이 기본적으로는 차이가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04.20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70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