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국불교
2. 한국의 유교(유학)
3. 한국의 도교
2. 한국의 유교(유학)
3. 한국의 도교
본문내용
교리적 계통으로 잡유시킴으로써 成立道敎라는 일종의 종교신앙으로 체계화 교단화 되었다.
0 중국도교와 한국도교의 가장 큰 차이는 교단의 설립 문제이다. 중국 도교는 교단확립을 통하여 道士 중심의 의례도교로 자리잡아간 데 비해, 한국 도교는 교단설립은 커녕 科儀道敎가 가장 활발했던 고려조에 있어 복원궁에 종사한 도사들 마저도 종교적 성직으로서 이를 받아들이고 도교전파의 임무를 수행한 것이 아니라, 이를 다만 직업적인 일로만 파악하여 그 과의적인 도교의례의 임무를 시행하고 있다. 이는 결국 한국고대사유가 후대로 내려오면서 중국 도가 내지 도교 사상에 습합되는 현상을 보이고는 있지만 본질적으로 형식과 내용에서 독자적인 사유세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최남선 등이 지적한 '한국에서 배워간 신선도가 역수입된 것이 아니겠는가' 는 의문을 가질 정도로 쉽게 회통이 되고, 유사하게 전개되었다.
그리고 수련방법면에서 한국도교는 외단학적인 면을 배제하고 순수 수련도교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 그 수련 방법이나 목표의 유사성으로 인하여 한국도교는 우리 고유의 선도(조선단학)와 매우 흡사한 면을 가지고 있으나 전 시간에 보았듯이 기본적으로는 차이가 있다.
0 중국도교와 한국도교의 가장 큰 차이는 교단의 설립 문제이다. 중국 도교는 교단확립을 통하여 道士 중심의 의례도교로 자리잡아간 데 비해, 한국 도교는 교단설립은 커녕 科儀道敎가 가장 활발했던 고려조에 있어 복원궁에 종사한 도사들 마저도 종교적 성직으로서 이를 받아들이고 도교전파의 임무를 수행한 것이 아니라, 이를 다만 직업적인 일로만 파악하여 그 과의적인 도교의례의 임무를 시행하고 있다. 이는 결국 한국고대사유가 후대로 내려오면서 중국 도가 내지 도교 사상에 습합되는 현상을 보이고는 있지만 본질적으로 형식과 내용에서 독자적인 사유세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최남선 등이 지적한 '한국에서 배워간 신선도가 역수입된 것이 아니겠는가' 는 의문을 가질 정도로 쉽게 회통이 되고, 유사하게 전개되었다.
그리고 수련방법면에서 한국도교는 외단학적인 면을 배제하고 순수 수련도교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 그 수련 방법이나 목표의 유사성으로 인하여 한국도교는 우리 고유의 선도(조선단학)와 매우 흡사한 면을 가지고 있으나 전 시간에 보았듯이 기본적으로는 차이가 있다.
추천자료
[ 여성 정치의 활성화에 대한 연구 ]-선진국과 비교․연구를 통한 한국 여성 정
성리학의 수용과 발전
베트남 시장진출 상거래관습
중국 송나라와 고려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1 사회 ․ 경제생활 이야기
[주거와문화] 한중일 주거문화양식 비교
한대 유교의 국교화
매월당 김시습 생애, 매월당 김시습 사상, 매월당 김시습 소설과 시 금오신화, 만복사저포기,...
[고려시대교육]고려시대교육의 학제, 고려시대교육의 교육사상가, 고려시대교육의 사회교육, ...
한․중교류 정치외교 협력
[서지, 서지 기재방법, 서지와 정보시스템, 서지와 서지통정, 서지 개선 과제, 정보시스템, ...
동학(東學)과 도가의 연관성 - 만물의 본질을 꿰뚫는 도(불연기연과 만물제동, 경천사상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