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만화영화의 특징과 기호
1.1 르네 마그리뜨와 관련하여
2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세계관과 작품들
2.1 금공상의 의미
2.2 그의 작품세계
3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의 설정과 기호들
3.1 세계
3.2 인물과 이름의 법칙
4 기호들의 효과
1.1 르네 마그리뜨와 관련하여
2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세계관과 작품들
2.1 금공상의 의미
2.2 그의 작품세계
3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의 설정과 기호들
3.1 세계
3.2 인물과 이름의 법칙
4 기호들의 효과
본문내용
끈’이 반짝이고 ‘치히로’는 담담히 터널로 들어간다. 이때까지 ‘머리끈’은 ‘치히로’를 지켜주는 신친구들(?)’이라는 ‘징후’의 부적이다. 그리고 터널을 빠져나와 회상하듯 물끄러미 터널을 바라보는 ‘치히로’의 머리끈이 한 번 더 반짝인다. 이제 ‘머리끈’은 ‘징후’가 아니다. ‘치히로’에게 ‘머리끈’은 신의 세계에서 있었던 일과, 그로 인해 정체성을 찾았던 경험을, 마치 머리끈이 헝클어진 머리칼을 하나로 묶어내듯이, 과거의 일들을 정리해내는 ‘아이콘’이며 이후 계속 회상하며 ‘상징’이 될 것임을 알 수 있다.
4 기호들의 효과
경륜이랄까, 후속작들일수록 점점 더 복잡한 이야기를 점점 더 단순하게 풀어내는 ‘미야자키 하야오’의 능력말이다. 항상 자신의 작품을 통해 무언가 알리고, 행동을 유발시키려는 감독의 노력은 그의 작품을 시간순서대로 보아온 사람이라면 다들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워낙에 재미있게 작품을 만들어내다보니, 많은 사람들이 그의 작품을 계속 보아왔다.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처음에 작품 자체가 기호가 된다고 했다. ‘미야자키 하야오’는 항상 자신의 메시지를 작품에 담았고 그 의미대로 사람들이 행동하길 원했다는 점에서 작품자체가 의미하는 바의 도구로 쓰였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계속 같은 주제들로 이야기를 만들어서인지 ‘미야자키 하야오’의 모든 작품을 보아온 내게는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이 이제는 ‘상징’으로 이해되는 것 같다. 내용을 보고 생각할 것도 없이, 그의 작품은 모두 ‘자연’과 ‘문명’의 대립을 조화롭게 극복해내는 ‘이상적 공동체’의 추구를 촉구하는 ‘상징’의 기호로 해석된다.
"produced by Miyazaki Hayao"가 하나의 ‘상징’으로 된 것 같다.
<참고서적>
롤랑 바르뜨 선집 14, <텍스트의 즐거움>
루디 켈러, <기호와 해석>, 이기숙 옮김, 인간사랑, 2000
황의웅, <미야자키 하야오의 세계>, 예솔, 1998
이나바 신이치로, <미야자키 하야오의 나우시카를 읽는다>, 정윤아 역, 미컴, 1999
--------------------------------------------------------------------------
1) 애니메이션이란 만화영화·인형영화·그림자영화 등을 일컫지만, 특별한 수식이 붙지 않을 땐 만화영화의 의미로 쓰인다.
1) 애니메이션이란 만화영화·인형영화·그림자영화 등을 일컫지만, 특별한 수식이 붙지 않을 땐 만화영화의 의미로 쓰인다.
2) 이나바 신이치로/정윤아 易, 『미야자키 하야오의 나우시카를 읽는다』, 미컴, 1999,
3) 그러나 뒤에서 밝히겠지만 동시에 신들의 세계는 ‘문명’과 대립되는 ‘자연’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4) 본명은 ‘니기하야미 고하쿠누시’이다. 사진은 극장에서 찍었다.
5) 수업에서 인용.
6) 만화영화의 이야기가 제니바의 “이름을 소중히...”라는 대사까지 진행되면 이미 ‘이름’은 ‘아이콘’ 내지 ‘상징’의 기호가 된다.
7) 직역하면 ‘얼굴없음’ 정도.
8) 사실 ‘금’처럼 보이는 흙이다.
4 기호들의 효과
경륜이랄까, 후속작들일수록 점점 더 복잡한 이야기를 점점 더 단순하게 풀어내는 ‘미야자키 하야오’의 능력말이다. 항상 자신의 작품을 통해 무언가 알리고, 행동을 유발시키려는 감독의 노력은 그의 작품을 시간순서대로 보아온 사람이라면 다들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워낙에 재미있게 작품을 만들어내다보니, 많은 사람들이 그의 작품을 계속 보아왔다.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처음에 작품 자체가 기호가 된다고 했다. ‘미야자키 하야오’는 항상 자신의 메시지를 작품에 담았고 그 의미대로 사람들이 행동하길 원했다는 점에서 작품자체가 의미하는 바의 도구로 쓰였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계속 같은 주제들로 이야기를 만들어서인지 ‘미야자키 하야오’의 모든 작품을 보아온 내게는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이 이제는 ‘상징’으로 이해되는 것 같다. 내용을 보고 생각할 것도 없이, 그의 작품은 모두 ‘자연’과 ‘문명’의 대립을 조화롭게 극복해내는 ‘이상적 공동체’의 추구를 촉구하는 ‘상징’의 기호로 해석된다.
"produced by Miyazaki Hayao"가 하나의 ‘상징’으로 된 것 같다.
<참고서적>
롤랑 바르뜨 선집 14, <텍스트의 즐거움>
루디 켈러, <기호와 해석>, 이기숙 옮김, 인간사랑, 2000
황의웅, <미야자키 하야오의 세계>, 예솔, 1998
이나바 신이치로, <미야자키 하야오의 나우시카를 읽는다>, 정윤아 역, 미컴, 1999
--------------------------------------------------------------------------
1) 애니메이션이란 만화영화·인형영화·그림자영화 등을 일컫지만, 특별한 수식이 붙지 않을 땐 만화영화의 의미로 쓰인다.
1) 애니메이션이란 만화영화·인형영화·그림자영화 등을 일컫지만, 특별한 수식이 붙지 않을 땐 만화영화의 의미로 쓰인다.
2) 이나바 신이치로/정윤아 易, 『미야자키 하야오의 나우시카를 읽는다』, 미컴, 1999,
3) 그러나 뒤에서 밝히겠지만 동시에 신들의 세계는 ‘문명’과 대립되는 ‘자연’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4) 본명은 ‘니기하야미 고하쿠누시’이다. 사진은 극장에서 찍었다.
5) 수업에서 인용.
6) 만화영화의 이야기가 제니바의 “이름을 소중히...”라는 대사까지 진행되면 이미 ‘이름’은 ‘아이콘’ 내지 ‘상징’의 기호가 된다.
7) 직역하면 ‘얼굴없음’ 정도.
8) 사실 ‘금’처럼 보이는 흙이다.
추천자료
디지털 비디오 기술과 애니메이션
오컬트 만화 분석
한국 일본의 애니메이션 산업 비교와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이 나아가야할 방향
애니메이션 산업 유아관련
외국과 우리나라의 애니메이션 비교분석
[애니메이션] 한국 애니메이션 역사와 현황 및 개선방안
제패니메이션[일본+만화영화]의 정의 및 역사, 대표기업 현황
애니메이션(Animation)의 상품화 (미국,일본,한국 애니메이션 캐릭터 상품과 음악).ppt
[만화영상의 이해] 엘펜리트 Elfen Lied
디즈니 만화의 ‘이데올로기’
만화 영상의 문화적 기능
초등학교 때의 대중 만화 ≪은하철도 999 (銀河鐵道 999)≫
「마당을 나온 암탉 (Leafie, A Hen into the Wild) 2011」을 보고 [애니메이션 감상문]
[대중문화와 기독교] 만화와 대중문화 그리고 그리스도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