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의 철학사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맹자의 철학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생 애

(2) 王道(왕도) 사상

(3) 인성론(人性論)

(4) 이상적 인간

본문내용

다. 대인은 인의예지와 같은 선성(善性)을 충실히 함양하고 선양하며 찬란한 빛이 나는 사람을 일컫는다. 성인이란, 인의예지와 같은 선성을 자기에게 충실하게 할뿐 아니라 다른 사람도 감화시킬 수 있는 사람을 말한다.
대인의 개념에 대해 충실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겠는데, 맹자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그 대체(大體)를 따르는 사람은 대인이 되고, 그 소체(小體)를 따르는 사람은 소인이 된다.
몸에는 귀천(貴賤)이 있으며 소대(小大)가 있다. 작은 것을 가지고 큰 것을 해치지 말며, 천한 것을 가지고 귀한 것을 해치지 말아야한다. 작은 것을 기르는 사람은 소인이 되고, 큰 것을 기르는 사람은 대인이 된다.
맹자는 사단을 드러나게 하여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실현시키는 것을 '확충'이라고 하였는데, 이러한 사단의 확충으로 말미암은 진정한 도덕적인 행위를 하는 사람을 일컬어 대인이라 하였다. 대체를 확립한 대인은 인간을 하나의 소우주(小宇宙)로 보고 만물 일체관을 가진다. 따라서 대인은 사적 자아의식을 탈피하여 만물과 자기를 한 몸처럼 여기는 대아(大我) 관념을 가짐으로써 자기와 자기이외의 사람의 희로애락을 함께 할 수 있다.
그래서 타인의 불행을 보면 가만히 앉아서 보고만 있을 수 없는 적극적 이타행위가 있게 된다. 맹자가 말한 인정(仁政)을 이 '불인인지심'(不忍人之心) 타인의 불행을 가만히 앉아서 보고만 있을 수 없는 우려의식을 사회적으로 실현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孟子와 荀子의 哲學思想』 金炯孝 著 , 三知院
참고문헌 :『맹자』 박경환 易 , 홍익출판사
참고문헌 :『孟子의 思想』 鄭泰允 編著 文耕出版社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4.22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72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