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북한문학사
1. 북한문학의 성격
2. 북한문학의 양식적 바탕
Ⅲ. 매월당 문학
1. 매월당 김시습의 문학관
2. 북한문학사에서의 매월당 문학의 가치평가
Ⅳ. 연암 문학
1. 연암 박지원의 문학관
2. 북한문학사에서의 연암 문학의 가치평가
Ⅴ. 결 론
Ⅱ. 북한문학사
1. 북한문학의 성격
2. 북한문학의 양식적 바탕
Ⅲ. 매월당 문학
1. 매월당 김시습의 문학관
2. 북한문학사에서의 매월당 문학의 가치평가
Ⅳ. 연암 문학
1. 연암 박지원의 문학관
2. 북한문학사에서의 연암 문학의 가치평가
Ⅴ. 결 론
본문내용
하나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고 언급하였다. 이것은 연암 문학이 비판적 사실주의의 시원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주체사상 확립 이후에 기술된 \'조선문학사\'에서는 실학파들과 연암 문학의 미학적인 견해를 階級的 및 歷史的 制限性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고 비판한 것은 전망부재에 대한 인식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다.
다. 연암의 作品에 대한 評價
김태준은 그의 저서 \'조선소설사\'에서 연암의 대표작에 대해 고평을 서술한 바 있다. 그는 특히 \'허생전\', \'호질\', \'양반전\' 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
《\'허생전\'에 대한 평가》
\'조선문학통사\'는 \'허생전\'을 18세기 조선문학이 낳은 가장 뛰어난 사회소설로 평가하고 있다. 연암은 이 작품에서 18세기 봉건 조선사회가 봉착한 전 민족적 의의를 갖는 기본문제를 \'최고강령\'으로서 농민해방, 봉건제도의 철폐의 주장, \'최저강령\'으로서 국내에서의 상품유통의 교류의 설정 등을 제기하였으며, 인민적 입장에서 이 문제들에 대해 일정한 해답을 주었다고 평가하였다.
《\'호질\'에 대한 평가》
김태준은 \'호질\'을 인간의 허위와 가면을 여지없이 폭로한 소설로 평가한 바 있다. \'조선문학통사\'는 \'호질\'에 대해 사회의 썩어 가는 세력의 부정한 면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과 광명한 조국의 미래에 대한 열렬한 지향의 배합이 이 작품의 기본적인 思想 藝術的 특성을 이룬다고 서술하고 있다.
《양반전에 대한 평가》
\'조선문학통사\'는 연암의 \'양반전\'의 주제를 \'문벌을 재물로 하여 조상 덕만 팔아먹는 선비들의 모든 생활의 종말\'이라고 결론짓고 있다. 그러면서 열렬한 풍자적 빠포스와 째인 단편적 구성에 있어서 연암의 제1기의 대표적 작품이라고 그 위상을 정립하고 있다.
Ⅴ. 結 論
본문을 요약해 보면, 北韓文學史에서 갖는 매월당 문학의 가치는 첫째, 마르크스레닌주의 미학을 근거로 한 과학적이고, 합리주의적인 인식 태도를 보이며 둘째, 사실주의 경향과 비판성을 부여하고 있고 셋째, 자주적인 古朝鮮의 역사와 文化的 전통을 자랑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되고 있다.
또한 북한문학사에서의 연암 박지원의 문학에 대한 가치는 첫째, 실학파 문학으로서 마르크스 레닌주의 미학적 견해에서 유물론적이며 진보적인 요소가 많고 둘째, 패관문학의 형식을 계승하여 近代的 短篇小說의 형식을 완성했으며 셋째, 비판적 사실주의 문학의 시원이며, 애국주의적 성향을 반영함에 고평을 하였다. 반면, \'조선문학사\'에서는 연암 문학의 미학 견해는 계급적이고 역사적인 제한점을 갖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볼 때, 남북한 문학사에서 매월당과 연암에 대한 공통된 평가는 계급사회의 모순과 왜곡을 비판하고, 고조선에 대한 인식과 당대 현실을 사실적으로 묘사했으며, 그에 맞는 인물형상을 창조했다는 점에서 높은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북한문학사의 매월당 문학과 연암 문학의 위상 분석을 통해 북한문학사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돕고, 이질화된 民族 文化의 올바른 인식이 필요함을 느낀다.
앞으로의 우리의 과제는 남북한 문학이론의 비교와 통합방안 연구를 통한 통일 이후의 정서적ㆍ문화적 統合 프로그램을 마련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나아가 남북한의 문학관, 문학사관 등 文藝理論體系 전반의 이질화 현상을 극복하여 統一文學史論의 구체적 근거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ㆍ박태상(1999), 「북한문학의 형상」, 깊은샘
ㆍ홍기삼(1981), 「북한의 문예이론」, 평민사
ㆍ김윤식(1990), 「북한문학」, 「북한개론」, 을유문화사
ㆍ김재용(1994), 「북한문학의 역사와 이해」, 문학과 지성사
ㆍ전인영(1984), 「북한의 주체사상」, 문학과 지성사
반면, 주체사상 확립 이후에 기술된 \'조선문학사\'에서는 실학파들과 연암 문학의 미학적인 견해를 階級的 및 歷史的 制限性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고 비판한 것은 전망부재에 대한 인식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다.
다. 연암의 作品에 대한 評價
김태준은 그의 저서 \'조선소설사\'에서 연암의 대표작에 대해 고평을 서술한 바 있다. 그는 특히 \'허생전\', \'호질\', \'양반전\' 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
《\'허생전\'에 대한 평가》
\'조선문학통사\'는 \'허생전\'을 18세기 조선문학이 낳은 가장 뛰어난 사회소설로 평가하고 있다. 연암은 이 작품에서 18세기 봉건 조선사회가 봉착한 전 민족적 의의를 갖는 기본문제를 \'최고강령\'으로서 농민해방, 봉건제도의 철폐의 주장, \'최저강령\'으로서 국내에서의 상품유통의 교류의 설정 등을 제기하였으며, 인민적 입장에서 이 문제들에 대해 일정한 해답을 주었다고 평가하였다.
《\'호질\'에 대한 평가》
김태준은 \'호질\'을 인간의 허위와 가면을 여지없이 폭로한 소설로 평가한 바 있다. \'조선문학통사\'는 \'호질\'에 대해 사회의 썩어 가는 세력의 부정한 면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과 광명한 조국의 미래에 대한 열렬한 지향의 배합이 이 작품의 기본적인 思想 藝術的 특성을 이룬다고 서술하고 있다.
《양반전에 대한 평가》
\'조선문학통사\'는 연암의 \'양반전\'의 주제를 \'문벌을 재물로 하여 조상 덕만 팔아먹는 선비들의 모든 생활의 종말\'이라고 결론짓고 있다. 그러면서 열렬한 풍자적 빠포스와 째인 단편적 구성에 있어서 연암의 제1기의 대표적 작품이라고 그 위상을 정립하고 있다.
Ⅴ. 結 論
본문을 요약해 보면, 北韓文學史에서 갖는 매월당 문학의 가치는 첫째, 마르크스레닌주의 미학을 근거로 한 과학적이고, 합리주의적인 인식 태도를 보이며 둘째, 사실주의 경향과 비판성을 부여하고 있고 셋째, 자주적인 古朝鮮의 역사와 文化的 전통을 자랑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되고 있다.
또한 북한문학사에서의 연암 박지원의 문학에 대한 가치는 첫째, 실학파 문학으로서 마르크스 레닌주의 미학적 견해에서 유물론적이며 진보적인 요소가 많고 둘째, 패관문학의 형식을 계승하여 近代的 短篇小說의 형식을 완성했으며 셋째, 비판적 사실주의 문학의 시원이며, 애국주의적 성향을 반영함에 고평을 하였다. 반면, \'조선문학사\'에서는 연암 문학의 미학 견해는 계급적이고 역사적인 제한점을 갖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볼 때, 남북한 문학사에서 매월당과 연암에 대한 공통된 평가는 계급사회의 모순과 왜곡을 비판하고, 고조선에 대한 인식과 당대 현실을 사실적으로 묘사했으며, 그에 맞는 인물형상을 창조했다는 점에서 높은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북한문학사의 매월당 문학과 연암 문학의 위상 분석을 통해 북한문학사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돕고, 이질화된 民族 文化의 올바른 인식이 필요함을 느낀다.
앞으로의 우리의 과제는 남북한 문학이론의 비교와 통합방안 연구를 통한 통일 이후의 정서적ㆍ문화적 統合 프로그램을 마련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나아가 남북한의 문학관, 문학사관 등 文藝理論體系 전반의 이질화 현상을 극복하여 統一文學史論의 구체적 근거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ㆍ박태상(1999), 「북한문학의 형상」, 깊은샘
ㆍ홍기삼(1981), 「북한의 문예이론」, 평민사
ㆍ김윤식(1990), 「북한문학」, 「북한개론」, 을유문화사
ㆍ김재용(1994), 「북한문학의 역사와 이해」, 문학과 지성사
ㆍ전인영(1984), 「북한의 주체사상」, 문학과 지성사
추천자료
임화(林和)의 문학 프로시와 북한시 사이의 연속과 단절
북한의 언어와 문학 - 북한의 문학속에 나타나는 인물의 성격과 문학작품의 줄거리
남북한의 가사(歌詞)-북한문학을 중심으로
[북한문학의이해]1960년대 1990년대까지 북한문학의 주체문예이론 형성과 변화
1980년대와 1990년대를 통해 바라본 북한의 문학 : 이데올로기 문학
[북한문학]90년대 전반기 북한 단편소설속에 나타난 여성성의 전형 양태
[문화통합론과 북한문학]북한소설 황진이에 나타난 주인공의 자유의지 분석 및 서술
[책 요약 및 서평] 북한문학의 이해 3
[북한문학의이해]북한 역사소설 높새바람과 황진이의 공통점과 차이점 분석
[문화통합론과북한문학]북한소설 <황진이>에 나타난 인물유형의 특성에 대한 서술
매월당 김시습 생애, 매월당 김시습 사상, 매월당 김시습 소설과 시 금오신화, 만복사저포기,...
미국의 대표적인 작가 edgar allen poe의 작품 세계에 대해 기술하고 그가 미국 문학사에 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