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의 가사(歌詞)-북한문학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남북한의 가사(歌詞)-북한문학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가사의 일반
1.1 가사의 발생
1.2 가사의 형식

2. 가사의 전개
2.1 발흥기
2.2 발전기
2.3 변화기

3. 「상춘곡(賞春曲)」
3.1 정극인
3.2 「상춘곡」
▶ 남한
▶ 북한

4. 「관동별곡(關東別曲)」
4.1 정철
4.2 「관동별곡」

5. 맺음말

본문내용

향과 결합되어 있다. 시는 온 누리에 환히 달이 비친 광활하고 광명에 찬 조국 산천의 낭만적 묘사, 힘있고 격조높은 결구로써 아름답고 행복한 나라, 조국의 미래에 대한 소망을 구현하였다.
그러나, "강호에 병이 깊어 죽림에 누웠더니 관동 8백리에 방면을 맛디시니 어와 셩은이야 가디록 망극하다"라든가 "삼각한 제일봉이 하마면 뵈리로다"라고 노래하고 삼척 죽서루에 올라서 루다락 밑을 흘러가는 오십천을 바라보며 이 물이 태백산 그림자를 동해로 담아가는데 차라리 한강을 흘러들어 목멱에 다달았으면 하는 소망을 표시하는 것은 시인의 충군사상을 반영ㅎ나 것이다. 이것은 정철이 봉건 교육을 받았을 뿐 아니라 왕실과 인척관계에 있었고 직접 선조왕과 교분이 있은 것과 관련된 사상적 제한으로 남아있다.
이러한 제한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동별곡」은 우리라나 풍경시의 새 경지를 개척하여 국문시가 발전의 새로운 이정표로 되었다.
5. 맺음말
가사문학의 북한 견해를 살펴보았다. 북한에서는 대체로 가사의 평가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점이 보였다. 이는 우리말을 반영한 가사가 많이 창작되어서이다. 그러나 조선 초기 가사에는 창작 계층이 사대부들이라는 한계점을 지녀 문학 창작에도 역시 사상표현에 대한 한계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달리 남한 가사와 틀렸던 점은 가사의 전개사이다. 남한에서는 가사의 전개사를 전·후기로 나누는 것에 비하여 북한에서는 전개사를 5단계로 나누어 설정하였다.
살펴본 문학작품중에서 「상춘곡」은 부귀 명예를 꺼리고 자연속에 묻혀 안빈낙도하는 선비의 모습을 예술적으로 형상화 시켰다는 점과 최초의 가사작품이라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 그에 반해 북한에서는 조국 산천의 아름다움을 예술적으로 표현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지만, 현실과 동떨어져 유유자적한 생활을 하는 봉건지배계층의 삶에 태도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견해르 보이고 있다.
「관동별곡」에서는 역시 산천 조국을 아름답게 그리고 우리말로 작품을 창작하였다는 점에서는 높이 평가하고 있으나, 정철의 신분적 계층으로 인하여 봉건적 사상의 한계를 드러냈다는 단점을 보이고 있다. 이는 남한과 비교할 때 '연군지정의 사상과 같다고 할 수 있으나, 한계성까지로는 비약시키지 않고 있다.
북한의 원전을 보면은 남한의 원전의 표기방식과 많이 틀린 것을 알 수 있다. 먼저 동국정운식 표기가 쓰이지 않았으며, '·'표기가 나타나지 않는다. 그리고 종성의 표기도 다름을 알 수가 있다. 이는 앞으로 남북한이 문학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큰 걸림돌이 되지 않을까 한다.
<참고문헌>
1.이우재, 「한국시조가사문학론」,복조리, 1992
2. 김리오, 「한국의 옛시」, 정로서적, 1986
3. 김하명, 「조선문학사(15C∼16C)」, 한국문화사, 1992
4. 문일환, 「조선고전문학사」, 한국문화사, 1997
5. 고정옥·김삼분 주해, 「가사집Ⅰ」, 한국문화사, 1996
6. 윤세평, 「송강정철」「고전작가론」, 1958, 조선작가동맹출판사
7. 정재호, 「한국가사문학론」, 1990, 정재호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4.27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46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