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2
1
3
2
3.2
잘못된 식습관, 흡연, 음주와 관련된 부적절한 일상생활방식
3
1
2
2
3.1
친인척 및 이웃과의 교류와 관련된 정서적 지지의 부족
1
2
1
0
2.8
가족들의 병 수발, 집안 살림과 관련된 역할 편중
2
1
2
0
2.1
진단
일반적 목표
구체적 목표
수행계획
고부간의 갈등, 낮은 가족 접촉으로 인한 의사소통의 부재
2003년 12월까지 가족 내에 친밀감이 형성되며 의사소통 시간이 증가된다.
1. 가족이 모이는 횟수가 한달에 적어도 2번 이상으로 증가한다.
1-① 가족들이 가족에 대해 느끼는 감정에 대한 이야기를 말하도록 한다.
1-② 가족회의에 대해 설명해 준다.
1-③ 매주 일요일이나 토요일 가족구성원이 모두 모일 수 있는 날에 모임을 갖도록 만들어 준다.
2. 가족간의 대화하는 시간이 10분이상 증가한다.
2-① 가족들과 대화의 시간을 만들도록 한다.
(매주 주말마다 가족회의 시간을 만들어 서로 대화를 하도록 한다.
2-② 가족구성원들이 가족에 대해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것을 차분하게 들어보도록 한다.
2-③ 가족의 소중함과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3. 시어머니와 싸우지 않고 이야기하는 시간을 20분 이상으로 늘린다.
3-① 서로의 입장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3-② 같이 있는 시간이 많으므로 일상적인 화제로 대화를 시작하도록 한다.
3-③ 함께 시장을 가거나 교회에 가도록 권한다.
진단
일반적 목표
구체적 목표
수행계획
불완전한 가족 구조, 생활 공간의 부족과 관련된 사생활 보장의 부족
현재의 가족구조와 생활공간의 부족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올바르게 대처 할 수 있다.
1. 가족 구성원 모두 청소년기 특성을 알고 각방의 필요성을 인식한다.
1-① 같은 방을 Tm는 손녀와 손자의 불편한 점을 이야기하게 한다.
1-② 왜 각방을 써야 하는지를 청소년기의 특성을 설명하며 이해시킨다.
(성에 대해 호기심이 많은 시기이므로 불상사가 생길 수 있다)
2. 2004년 2월까지 손자와 손녀가 따로 방을 쓴다.
2-① 함께 자고 있는 손녀와 손자의 불편한 점을 이야기하게 한다.
2-② 아들과 손자가 방을 같이 쓰게 하고 손녀는 할머니 방에서 자도록 한다.
3. 불완전한 가족 구조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대처할 수 있다.
3-① 아이들이 불완전한 가족구조에 대해 불만을 말하게 한다.
3-② 편부모 가정에서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을 교육한다.
3-③ 잘 해결되었던 사례와 그렇지 못한 사례들을 알려주어서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진단
일반적 목표
구체적 목표
수행계획
고부간의 갈등, 낮은 가족 접촉으로 인한 의사소통의 부재
2003년 12월까지 가족 내에 친밀감이 형성되며 의사소통 시간이 증가된다.
1. 가족이 모이는 횟수가 한달에 적어도 2번 이상으로 증가한다.
1-① 가족들이 가족에 대해 느끼는 감정에 대한 이야기를 말하도록 한다.
1-② 가족회의에 대해 설명해 준다.
1-③ 매주 일요일이나 토요일 가족구성원이 모두 모일 수 있는 날에 모임을 갖도록 만들어 준다.
2. 가족간의 대화하는 시간이 10분이상 증가한다.
2-① 가족들과 대화의 시간을 만들도록 한다.
(매주 주말마다 가족회의 시간을 만들어 서로 대화를 하도록 한다.
2-② 가족구성원들이 가족에 대해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것을 차분하게 들어보도록 한다.
2-③ 가족의 소중함과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3. 시어머니와 싸우지 않고 이야기하는 시간을 20분 이상으로 늘린다.
3-① 서로의 입장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3-② 같이 있는 시간이 많으므로 일상적인 화제로 대화를 시작하도록 한다.
3-③ 함께 시장을 가거나 교회에 가도록 권한다.
1
3
2
3.2
잘못된 식습관, 흡연, 음주와 관련된 부적절한 일상생활방식
3
1
2
2
3.1
친인척 및 이웃과의 교류와 관련된 정서적 지지의 부족
1
2
1
0
2.8
가족들의 병 수발, 집안 살림과 관련된 역할 편중
2
1
2
0
2.1
진단
일반적 목표
구체적 목표
수행계획
고부간의 갈등, 낮은 가족 접촉으로 인한 의사소통의 부재
2003년 12월까지 가족 내에 친밀감이 형성되며 의사소통 시간이 증가된다.
1. 가족이 모이는 횟수가 한달에 적어도 2번 이상으로 증가한다.
1-① 가족들이 가족에 대해 느끼는 감정에 대한 이야기를 말하도록 한다.
1-② 가족회의에 대해 설명해 준다.
1-③ 매주 일요일이나 토요일 가족구성원이 모두 모일 수 있는 날에 모임을 갖도록 만들어 준다.
2. 가족간의 대화하는 시간이 10분이상 증가한다.
2-① 가족들과 대화의 시간을 만들도록 한다.
(매주 주말마다 가족회의 시간을 만들어 서로 대화를 하도록 한다.
2-② 가족구성원들이 가족에 대해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것을 차분하게 들어보도록 한다.
2-③ 가족의 소중함과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3. 시어머니와 싸우지 않고 이야기하는 시간을 20분 이상으로 늘린다.
3-① 서로의 입장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3-② 같이 있는 시간이 많으므로 일상적인 화제로 대화를 시작하도록 한다.
3-③ 함께 시장을 가거나 교회에 가도록 권한다.
진단
일반적 목표
구체적 목표
수행계획
불완전한 가족 구조, 생활 공간의 부족과 관련된 사생활 보장의 부족
현재의 가족구조와 생활공간의 부족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올바르게 대처 할 수 있다.
1. 가족 구성원 모두 청소년기 특성을 알고 각방의 필요성을 인식한다.
1-① 같은 방을 Tm는 손녀와 손자의 불편한 점을 이야기하게 한다.
1-② 왜 각방을 써야 하는지를 청소년기의 특성을 설명하며 이해시킨다.
(성에 대해 호기심이 많은 시기이므로 불상사가 생길 수 있다)
2. 2004년 2월까지 손자와 손녀가 따로 방을 쓴다.
2-① 함께 자고 있는 손녀와 손자의 불편한 점을 이야기하게 한다.
2-② 아들과 손자가 방을 같이 쓰게 하고 손녀는 할머니 방에서 자도록 한다.
3. 불완전한 가족 구조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대처할 수 있다.
3-① 아이들이 불완전한 가족구조에 대해 불만을 말하게 한다.
3-② 편부모 가정에서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을 교육한다.
3-③ 잘 해결되었던 사례와 그렇지 못한 사례들을 알려주어서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진단
일반적 목표
구체적 목표
수행계획
고부간의 갈등, 낮은 가족 접촉으로 인한 의사소통의 부재
2003년 12월까지 가족 내에 친밀감이 형성되며 의사소통 시간이 증가된다.
1. 가족이 모이는 횟수가 한달에 적어도 2번 이상으로 증가한다.
1-① 가족들이 가족에 대해 느끼는 감정에 대한 이야기를 말하도록 한다.
1-② 가족회의에 대해 설명해 준다.
1-③ 매주 일요일이나 토요일 가족구성원이 모두 모일 수 있는 날에 모임을 갖도록 만들어 준다.
2. 가족간의 대화하는 시간이 10분이상 증가한다.
2-① 가족들과 대화의 시간을 만들도록 한다.
(매주 주말마다 가족회의 시간을 만들어 서로 대화를 하도록 한다.
2-② 가족구성원들이 가족에 대해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것을 차분하게 들어보도록 한다.
2-③ 가족의 소중함과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3. 시어머니와 싸우지 않고 이야기하는 시간을 20분 이상으로 늘린다.
3-① 서로의 입장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3-② 같이 있는 시간이 많으므로 일상적인 화제로 대화를 시작하도록 한다.
3-③ 함께 시장을 가거나 교회에 가도록 권한다.
추천자료
[지역사회복지운동]지역사회복지운동(지역복지운동)의 정의, 지역사회복지운동(지역복지운동)...
[지역사회조직화]지역사회조직화의 의의, 지역사회조직화의 유형, 지역사회조직화의 동향, 지...
지역공동체(지역사회)와 백제사회, 지역공동체(지역사회)와 지역정체성, 지역공동체(지역사회...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관의 근거와 사업, 운영과 발전방향 및 지역자활센터의 기능과...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과 정책변화,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과 국비지원,...
[지역사회복지] 실제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에 대하여 알아보고 지역사회...
[지역사회복지론] 자신의 지역사회에서 중요한 지역사회복지에 관한 문제를 한 가지 선정한 ...
[지역사회복지론] 원전사고 재해지역에서 예상되는 가상의 지역사회복지활동을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실천과 관련한 다양한 이론적 기초를 지역사회복지와 연관성을...
[지역사회복지론] 내가 생각하는 가장 이상적이고 좋은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해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조직론] 지역사회조지론의 정의와 원칙, 지역사회조직의 과정, 지역사회조직사업의 ...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의의 및 내용, 지역사회복지 모형, 지역사회복지의 실...
[지역사회조직사업] 지역사회조직의 과정 및 원칙, 지역사회조직 분야, 지역사회조직 실천가(...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의 의의와 이념 및 특징 지역사회복지의 구성요건 지역사회복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