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Silas Marner』
2. 『Bartelby, the Scrivener』
두 소설 사이의 공통점
1. 작가
2. 현대소설
3. 소설 속의 시대적 배경
4. 소설 속에 그려진 주인공의 고독(사회와의 단절)
5. 다른 사람들의 이목을 끄는(특징 있는) 주인공
두 소설 사이의 차이점
1. 작가
* George Eliot
* Herman Melville
2. 소설의 공간적 배경
3. 소설의 결말과 주제
4. 소설의 시점(주인공에 대한 정보)
5. 소설의 서술방법
2. 『Bartelby, the Scrivener』
두 소설 사이의 공통점
1. 작가
2. 현대소설
3. 소설 속의 시대적 배경
4. 소설 속에 그려진 주인공의 고독(사회와의 단절)
5. 다른 사람들의 이목을 끄는(특징 있는) 주인공
두 소설 사이의 차이점
1. 작가
* George Eliot
* Herman Melville
2. 소설의 공간적 배경
3. 소설의 결말과 주제
4. 소설의 시점(주인공에 대한 정보)
5. 소설의 서술방법
본문내용
부분은 「Silas Marner」는 1장 도입부 부분,「Bartleby, the Scrivener」에서는 '나'의 사무실 건물에 대해 이야기한 대목이다.
3. 소설의 결말과 주제
Marner는 에피를 양육함으로 공동체로 회귀한다는 19세기의 전형적인 storytelling으로 끝을 맺지만, Bartleby는 특별한 계기 없이 공동체로 회기하지 못하고 결국 죽음을 맞는다는 결론으로 맺어진다. 이는 두 소설들의 주제와도 크게 연관되어 있다. 「Silas Marner」는 공동체로의 복귀가 주제이지만, 「Bartleby, the Scrivener」의 주제는 단순히 소외된 인간의 고독함이 그 주제라고 할 수 있겠다.
4. 소설의 시점(주인공에 대한 정보)
「Silas Marner」는 독자가 등장인물의 심리까지 모두 알 수 있는 전지적 작가 시점이지만, 「Bartleby, the Scrivener」는 '나'가 작중화자가 되어 주인공의 모습을 관찰하는 1인칭 관찰자 시점이다. 그래서 우리는 마너가 왜 사회에서 소외되었는지 알 수 있지만, 바틀비에 대해서는 '나'가 아는 정보뿐이다. 그래서 우리는 바틀비가 왜 그러한 행동을 하는지 알 수 없는 것이다.
5. 소설의 서술방법
위에서도 말했듯이「Silas Marner」는 배경이나 여러 사람들의 심리를 모두 이야기해 주고 있다. 그래서 개인의 내면에 대한 이야기의 자세함은 「Bartleby, the Scrivener」의 그것에 비해 자연히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Bartleby, the Scrivener」가 훨씬 더 모더니즘과 비슷한 현대소설이라고 할 수 있겠다.
3. 소설의 결말과 주제
Marner는 에피를 양육함으로 공동체로 회귀한다는 19세기의 전형적인 storytelling으로 끝을 맺지만, Bartleby는 특별한 계기 없이 공동체로 회기하지 못하고 결국 죽음을 맞는다는 결론으로 맺어진다. 이는 두 소설들의 주제와도 크게 연관되어 있다. 「Silas Marner」는 공동체로의 복귀가 주제이지만, 「Bartleby, the Scrivener」의 주제는 단순히 소외된 인간의 고독함이 그 주제라고 할 수 있겠다.
4. 소설의 시점(주인공에 대한 정보)
「Silas Marner」는 독자가 등장인물의 심리까지 모두 알 수 있는 전지적 작가 시점이지만, 「Bartleby, the Scrivener」는 '나'가 작중화자가 되어 주인공의 모습을 관찰하는 1인칭 관찰자 시점이다. 그래서 우리는 마너가 왜 사회에서 소외되었는지 알 수 있지만, 바틀비에 대해서는 '나'가 아는 정보뿐이다. 그래서 우리는 바틀비가 왜 그러한 행동을 하는지 알 수 없는 것이다.
5. 소설의 서술방법
위에서도 말했듯이「Silas Marner」는 배경이나 여러 사람들의 심리를 모두 이야기해 주고 있다. 그래서 개인의 내면에 대한 이야기의 자세함은 「Bartleby, the Scrivener」의 그것에 비해 자연히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Bartleby, the Scrivener」가 훨씬 더 모더니즘과 비슷한 현대소설이라고 할 수 있겠다.
추천자료
여성문학의 당면과제(여성주의,페미니즘,현대소설,특성)
무정의 현대소설사적 의의
[현대소설론] '통도사 가는 길' 비평
2009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 핵심체크
2011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 핵심체크
국어 교과서 수록 현대소설 교육의 실제 윤흥길 장마
국어 교과서 수록 현대소설 교육의 실제 박완서의 「그 여자네 집」
[국어교과서수록] 현대소설 교육의 실제 -윤홍길의 기억속의 들꽃을 중심으로 협동학습을 이...
서울 1964년 겨울을 통한 현대소설 교육의 실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계획]
2014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등장인물의 특징과 갈등양상, 형상화방식)
2015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등장인물의 특징과 갈등양상, 형상화방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