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폐암(기관지성 암)
◎폐렴(Pneumonia)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폐렴(Pneumonia)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본문내용
기능검사 결과 공기흐름의 폐색을 나타낸다 - 1초간 강제호식량(FEV₁)과 FEV₁과 강제 폐활량(FVC)의 비율이 감소한다. 총 폐용량(TLC)에 대한 잔기량의 비가 증가한다. TLC가 증가한다.
②동맥혈 가스분석 - PaO₂와 pH 감소, CO₂증가
③흉부 X-선 - 말기단계에서는 과팽창, 횡격막이 평편해짐, 흉골 뒤쪽 공간의 증가, 혈관표시의 감소, 수포(bullae)가 나타날 수 있다.
④Alpha₁-antitrypsin은 폐기종시의 유전적 결핍을 확인하는 데 유용하다.
5. 관리
목표는 공기흐름의 폐색을 제거하는 것이다.
①금연
②아래 2가지 주요한 범주의 기관지 확장제를 사용한다.
a. 할콜린성:ipratropium(Atrovent)이나 albuterol(Proventil, Ventolin)등의 베타항진제는 기관지 경련을 막기 위해 투여한다.
⑴분무제는 약물이 기도의 감수체에 직접 결합되기 때문에 최적의 치료를 제공한다.
⑵기관지확장 분무제는 용량이 정해진 흡입기, 손으로 조작하는 것 또는 펌프로 주입된다.
b. Theophylline(Theodur) 같은 methylxnthines은 만성 유지요법으로 지속적인 유리형태로 경구로 투여된다.
③호흡기계 감염의 기왕력이 있는 경우 항생제를 투여한다.
④코르티코스테로이드제제를 경구, 정맥 또는 흡입으로 투여한다.
⑤환기와 호흡곤란 조절을 위해 호흡 재훈련과 체위배액을 포함한 흉부 물리요법을 실시한다.
⑥심한 저산소혈증 환자에게는 저용량의 산소요법을 실시한다. 이산화탄소 정체를 감시하기 위해 이산화탄소를 반드시 감시한다.
⑦폐의 재활을 실시한다. 폐의 기능, 강도 증진과 증상관리, 질병 자가관리 기술, 독립성, 삶의 질을 위해 실시한다.
⑧heterogeneous 폐기종의 경우 폐의 용적 감소를 위한 수술을 시행한다.
⑨Alpha₁-antitrypsin 결핍 치료
a. 1∼2주마다 정기적으로 정맥을 통해 Alpha₁-antitrypsin 대치요법을 시행하여 폐의 antiprotease 불균형을 교정한다.
b. 금연한다.
c. 심한 Alpha₁-antitrypsin 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우 폐이식을 고려한다.
6. 합병증
①호흡부전
②폐렴:과도한 호흡기 감염
③우심부전, 부정맥
④우울
⑤골격근 기능부전
(1)현병력
①발병시부터 병원에 오기까지의 상황
:8월 16일경 백병원에서 폐암진단 받으신 분으로 치료는 동아대 병원에서 항암치료 받으시다 집에서 치료를 계속하심. 토요일경 상을 드시다 넘어져 허리를 다치신 후 본원 응급실 들렸다가 입원이 안되 참사랑 병원에서 일주일 치료 받으시면서 감기 걸린후 호흡곤란이 심해서 응급실 통해 입원하심.
②병원 도착시 대상자의 상태 및 중환자실 입실전까지의 경과
:호흡곤란이 심하셨고 요통 있으심.
의사소통도 곤란하고 의식이 혼미하고 많이 불안해 하셔서 응급실에 있다가 중환자실로 옮겨짐.
③입실 후 현재까지의 경과
:예전 상태보다는 호흡곤란의 정도가 많이 나아지고 의사소통도 잘되고 계신 상태임.
의식 명료하고 불안도 감소된 상태임. 허리 통증은 없으심.
②동맥혈 가스분석 - PaO₂와 pH 감소, CO₂증가
③흉부 X-선 - 말기단계에서는 과팽창, 횡격막이 평편해짐, 흉골 뒤쪽 공간의 증가, 혈관표시의 감소, 수포(bullae)가 나타날 수 있다.
④Alpha₁-antitrypsin은 폐기종시의 유전적 결핍을 확인하는 데 유용하다.
5. 관리
목표는 공기흐름의 폐색을 제거하는 것이다.
①금연
②아래 2가지 주요한 범주의 기관지 확장제를 사용한다.
a. 할콜린성:ipratropium(Atrovent)이나 albuterol(Proventil, Ventolin)등의 베타항진제는 기관지 경련을 막기 위해 투여한다.
⑴분무제는 약물이 기도의 감수체에 직접 결합되기 때문에 최적의 치료를 제공한다.
⑵기관지확장 분무제는 용량이 정해진 흡입기, 손으로 조작하는 것 또는 펌프로 주입된다.
b. Theophylline(Theodur) 같은 methylxnthines은 만성 유지요법으로 지속적인 유리형태로 경구로 투여된다.
③호흡기계 감염의 기왕력이 있는 경우 항생제를 투여한다.
④코르티코스테로이드제제를 경구, 정맥 또는 흡입으로 투여한다.
⑤환기와 호흡곤란 조절을 위해 호흡 재훈련과 체위배액을 포함한 흉부 물리요법을 실시한다.
⑥심한 저산소혈증 환자에게는 저용량의 산소요법을 실시한다. 이산화탄소 정체를 감시하기 위해 이산화탄소를 반드시 감시한다.
⑦폐의 재활을 실시한다. 폐의 기능, 강도 증진과 증상관리, 질병 자가관리 기술, 독립성, 삶의 질을 위해 실시한다.
⑧heterogeneous 폐기종의 경우 폐의 용적 감소를 위한 수술을 시행한다.
⑨Alpha₁-antitrypsin 결핍 치료
a. 1∼2주마다 정기적으로 정맥을 통해 Alpha₁-antitrypsin 대치요법을 시행하여 폐의 antiprotease 불균형을 교정한다.
b. 금연한다.
c. 심한 Alpha₁-antitrypsin 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우 폐이식을 고려한다.
6. 합병증
①호흡부전
②폐렴:과도한 호흡기 감염
③우심부전, 부정맥
④우울
⑤골격근 기능부전
(1)현병력
①발병시부터 병원에 오기까지의 상황
:8월 16일경 백병원에서 폐암진단 받으신 분으로 치료는 동아대 병원에서 항암치료 받으시다 집에서 치료를 계속하심. 토요일경 상을 드시다 넘어져 허리를 다치신 후 본원 응급실 들렸다가 입원이 안되 참사랑 병원에서 일주일 치료 받으시면서 감기 걸린후 호흡곤란이 심해서 응급실 통해 입원하심.
②병원 도착시 대상자의 상태 및 중환자실 입실전까지의 경과
:호흡곤란이 심하셨고 요통 있으심.
의사소통도 곤란하고 의식이 혼미하고 많이 불안해 하셔서 응급실에 있다가 중환자실로 옮겨짐.
③입실 후 현재까지의 경과
:예전 상태보다는 호흡곤란의 정도가 많이 나아지고 의사소통도 잘되고 계신 상태임.
의식 명료하고 불안도 감소된 상태임. 허리 통증은 없으심.
추천자료
폐렴(Pneumonia)
만성폐쇄성폐질환
CASE STUDY/COPD/케이스스터디/만성폐쇄성폐질환/
만성폐쇄성폐질환 완판
만성폐쇄성폐질환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ase study
Pneumonia 케이스스터디 폐렴
명의(한국인의 만성질환 - 호흡기질환(2012.7.13)
중환자실 폐려, 폐부종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대동맥판막질환 사전학습자료, 문헌고찰
[노인] 세균성폐렴(Bacterial pneumonia)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감염성 질환-감염질환] 급성 감염성 질환(폐렴, 장티푸스, 유행성 감기, 류마티스 열), 만성...
[호흡기 질환] 호흡기계의 구조와 생리, 호흡기 질환(호흡기계 질환)과 영양의 관계, 호흡기 ...
[관절질환-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과 골관절염의 증상과 원인 및 치료방법, 식이요법
[심혈관계질환] 심혈관계 질환의 종류와 원인 및 치료방법 - 심근경색증, 울혈성 심부전, 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