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2교시 매스컴으로서의 세계 신문>
● 근대 신문의 태동
○ 근대 신문의 생성과 발전
-근대신문의 생성요인 : 인쇄술 + 제지술 + 시대적 상황
○ 부정기 인쇄신문
-필사신문과 서한신문에서 흥미있는 뉴스를 간추림
-행상인, 여행인들로부터 이야기 거리를 모음
= 플루크 블라트 : 15세기말 등장, 노이에 자이뚱이라 통칭
체재 - 4절내지 8절의 일면 인쇄, 문장 운문 형식
○ 장기 인쇄신문
-등장배경 : 인쇄술의 개랑 + 뉴스 수요 증가
-월간, 순간, 주간 등으로 발행
= 레라치온 → 쿠란트 → 위클리 뉴스
● 18세기 근대 신문의 성립
○ 월간신문의 등장
-주간신문(우편제도 발달) → 일간신문(독일 : 라이프찡거 자이뚱, 세계최초의 일간
신문, 영국 : 데일리 쿠란트, 프랑스 : 주르날 드 파리, 미국 : 펜실베니아 이브닝
포스트 앤 데일리 애드버타이저)
○ 근대 신문의 성립 배경
-우편제도의 발달, 신문조직(기업)의 대규모화, 자유와 평등사상
자본주의적 경제체제 - 기계적 기술 → 대중의 정신적 욕구를 만족시켜 주는
품으로서의 근대 신문
● 19세기 근대 신문의 발전
○ 근대 신문의 발전 요인
-자유민주주의 사조(신문의 자유를 위한 투쟁→신문의 지위상승+신문의 기능 확대 발전)
+
-교통과 통신의 과학적 혁명(광범한 뉴스 모집과 신문 배포의 신속화
신문 인쇄기계 : 신문제작 시간 단축
사진술의 발명 : 생생한 뉴스 보도)
○ 근대 신문의 발전 과정
-신문 문화의 발상지(독일) 하드웨어와 소프트 웨어 공급 → 근대신문의 열매(영국, 미국)
● 각국의 근대 신문
○ 독일과 프랑스
-독일 : 1840년 - 시민의 정치활동 참여, 신문의 자유 인정 → 근대적 신문 등장
1848년 - 자유주의 혁명, 신문 수효 증대, 해설적 신문 내용
프랑크푸르터 자이뚱 : 세계적 수준의 지적 신문으로 평가
경제와 정치 기사를 다룸
세계대전 후에는 제호를 바꾸어 전통 계승 중
1862년 - 비스마르크의 ‘신문조례’ 발표, 반정부적 신문 탄압 → 신문규제
1919년 - 바이마르헌법 제정, 제 118조 언론출발의 자유 보장 명시
-프랑스 : 18C말 혁명시기 - 혁명가 : 자신의 주장을 알리는 수단으로 이용
1789~93년 : 많은 종류의 신문과 팜플렛 간행
1804년 - 나폴레옹 집권, 신문의 수 제한
1836년 - 지르딩, 염가신문인 라 프레스 창간
라프레스 : 신문경영의 새로운 제도, 가격을 반으로 낮춤
신문편집 방법 개혁, 문화와 오락 기사
1871년 - 제 3공화국 탄생
1881년 7월 - ‘신문의 자유에 관한 법률’ 공포
● 각국의 근대 신문
○ 영국과 미국
-영국 : 18C 후반 - 모닝포스트(1772), 더 타임즈(1785), 모닝 애드버타이저(1794)
더타임즈 : 국내외 취재망 완비, 불편부담을 내세움으로써
명예를 얻음, 윤전기를 최초로 도입(신문제작 시간 단축)
1816년 - 코벳트, 인지세에 대한 반기
1836년 - 정부가 인지세를 1펜스로 낮춤
1861년 - 인지세 철폐, 일간과 일요 신문의 발전
-미국 : 19C 초반 - 정치적 목적으로 사용, 정당 신문이 주를 이룸
1833년 - 저널리즘 변혁(대중신문의 출현), 선의 성공(대중신문 증가)
선 : 대중적인 흥미 자극, 당시 뉴욕에서 최대 발행부수 기록
1899~1900년 - 대중신문 간 부수경쟁 돌입,
황색신문 수법 확산(신문들 간의 선정 보도)
황색신문에 대한 비난 - 1898년 신문가격 다운, 조간신문으로 개편
뉴욕타임즈, 뉴 저널리즘 운동
뉴욕타임즈 : 외신, 경제, 정치면에서 뛰어남
불편부당의 중립에 힘을 쏟음
뉴 저널리즘 운동에 앞장섬
1908년 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 창간
* 인지세법 : 지식에 대한 과세라 하여 지식세법이라고 불려지기도 함
이 법은 앤여왕의 재위시인 1712년 6월에 의회에서 통과되어 정부가
언론을 간접적인 방식인 경제적인 방법으로 언론을 통제하는 도구로 사용
* 황색신문 : 황색신문인 NEW YORK WORLD와 MORNING JOURNAL 간의 부수경쟁이
치열하였는데, 이 두 신문은 1990년을 전후하여 일요판에 노란 꼬마를
등장 시킨 만화를 게재하였다. 이후 선정보도를 통해 부수확장에 힘을
쏟는 신문을 가리켜 황색신문이라 칭함.
<4주차 신문사의 조직과 기능>
<1교시 신문의 제작 과정>
● 신문의 인쇄방식(전산방식과 재래방식의 차이)
○ 인쇄방식의 변화
-HT방식(납 활자를 이용한 인쇄방식) → 컴퓨터 등장
→ CTS방식(급격한 기술변화에 따른 재교육 필요, 지나친 컴퓨터 의존)
○ CTS와 HT의 차이점
HT 방식
CTS 방식
공정자료의 보관이 어려움
조판된 활자는 용해, 해체보관
제작과정에 쓰인 자료의 보관 용이,
반복 재사용 가능
규격화 - 경직된 공정
자유롭고 쉬운 공정
인쇄효과 미약 - 편집의 제약
다양하고 용이한 편집가능
● 전산방식의 주요 장치 (입력기)
○ HT의 입력기
-원도 → 자모 → 주조 → 조판 → 납 활자
○ CTS의 입력기
-2벌식 표준 자판, 타자기 보다 월등한 능력 → 통신망 LAN → 교정, 편집
○ 사진, 그림의 입력
-컴퓨터의 영상 장비 → 도표가 있는 신문, 사진 있는 신문
● 전산방식의 주요 장치 (편집기)
○ 편집기
-고도의 용량과 기능을 요구
-기사 디스플레이, 기사행수제작, 폰트 지정, 기사 양 계산, 기사 배열,
입력된 그래픽 가공
-편집기자 : 기사를 편집하여 데스크(부서장)에게 보내거나 저장
-데스크 : 편집기자가 보내온 입력 기사를 보고 수정 첨삭
● 전산방식의 주요 장치 (출력기)
○ 출력기(레이져식, 카본식)
-편집된 지면을 인화지나 필름에 인화시켜 내보내는 역할
-자체가 보유하고 있는 여러 가지 폰트 인화
-그래픽으로 받은 이미지를 형상화 시켜 출력시킴
● CTS 제작과정
○ CTS 도입의 이점
-인력절감, 시간단축, 납 등 공해요인 추방
-신문사의 변화, 신문제작자들의 변화, 신문지면의 변화
○ CTS 제작과정의 변화
-주요과정인 ‘입력 → 편집 → 출력’이 점차 단순화
-앞으로 제작과정의 구분 자체가 의미가 없어지게 될 것으로 여겨짐
○ 제작공정의 흐름
1. 편집부에는 원고를 실어오고 실어 나를
● 근대 신문의 태동
○ 근대 신문의 생성과 발전
-근대신문의 생성요인 : 인쇄술 + 제지술 + 시대적 상황
○ 부정기 인쇄신문
-필사신문과 서한신문에서 흥미있는 뉴스를 간추림
-행상인, 여행인들로부터 이야기 거리를 모음
= 플루크 블라트 : 15세기말 등장, 노이에 자이뚱이라 통칭
체재 - 4절내지 8절의 일면 인쇄, 문장 운문 형식
○ 장기 인쇄신문
-등장배경 : 인쇄술의 개랑 + 뉴스 수요 증가
-월간, 순간, 주간 등으로 발행
= 레라치온 → 쿠란트 → 위클리 뉴스
● 18세기 근대 신문의 성립
○ 월간신문의 등장
-주간신문(우편제도 발달) → 일간신문(독일 : 라이프찡거 자이뚱, 세계최초의 일간
신문, 영국 : 데일리 쿠란트, 프랑스 : 주르날 드 파리, 미국 : 펜실베니아 이브닝
포스트 앤 데일리 애드버타이저)
○ 근대 신문의 성립 배경
-우편제도의 발달, 신문조직(기업)의 대규모화, 자유와 평등사상
자본주의적 경제체제 - 기계적 기술 → 대중의 정신적 욕구를 만족시켜 주는
품으로서의 근대 신문
● 19세기 근대 신문의 발전
○ 근대 신문의 발전 요인
-자유민주주의 사조(신문의 자유를 위한 투쟁→신문의 지위상승+신문의 기능 확대 발전)
+
-교통과 통신의 과학적 혁명(광범한 뉴스 모집과 신문 배포의 신속화
신문 인쇄기계 : 신문제작 시간 단축
사진술의 발명 : 생생한 뉴스 보도)
○ 근대 신문의 발전 과정
-신문 문화의 발상지(독일) 하드웨어와 소프트 웨어 공급 → 근대신문의 열매(영국, 미국)
● 각국의 근대 신문
○ 독일과 프랑스
-독일 : 1840년 - 시민의 정치활동 참여, 신문의 자유 인정 → 근대적 신문 등장
1848년 - 자유주의 혁명, 신문 수효 증대, 해설적 신문 내용
프랑크푸르터 자이뚱 : 세계적 수준의 지적 신문으로 평가
경제와 정치 기사를 다룸
세계대전 후에는 제호를 바꾸어 전통 계승 중
1862년 - 비스마르크의 ‘신문조례’ 발표, 반정부적 신문 탄압 → 신문규제
1919년 - 바이마르헌법 제정, 제 118조 언론출발의 자유 보장 명시
-프랑스 : 18C말 혁명시기 - 혁명가 : 자신의 주장을 알리는 수단으로 이용
1789~93년 : 많은 종류의 신문과 팜플렛 간행
1804년 - 나폴레옹 집권, 신문의 수 제한
1836년 - 지르딩, 염가신문인 라 프레스 창간
라프레스 : 신문경영의 새로운 제도, 가격을 반으로 낮춤
신문편집 방법 개혁, 문화와 오락 기사
1871년 - 제 3공화국 탄생
1881년 7월 - ‘신문의 자유에 관한 법률’ 공포
● 각국의 근대 신문
○ 영국과 미국
-영국 : 18C 후반 - 모닝포스트(1772), 더 타임즈(1785), 모닝 애드버타이저(1794)
더타임즈 : 국내외 취재망 완비, 불편부담을 내세움으로써
명예를 얻음, 윤전기를 최초로 도입(신문제작 시간 단축)
1816년 - 코벳트, 인지세에 대한 반기
1836년 - 정부가 인지세를 1펜스로 낮춤
1861년 - 인지세 철폐, 일간과 일요 신문의 발전
-미국 : 19C 초반 - 정치적 목적으로 사용, 정당 신문이 주를 이룸
1833년 - 저널리즘 변혁(대중신문의 출현), 선의 성공(대중신문 증가)
선 : 대중적인 흥미 자극, 당시 뉴욕에서 최대 발행부수 기록
1899~1900년 - 대중신문 간 부수경쟁 돌입,
황색신문 수법 확산(신문들 간의 선정 보도)
황색신문에 대한 비난 - 1898년 신문가격 다운, 조간신문으로 개편
뉴욕타임즈, 뉴 저널리즘 운동
뉴욕타임즈 : 외신, 경제, 정치면에서 뛰어남
불편부당의 중립에 힘을 쏟음
뉴 저널리즘 운동에 앞장섬
1908년 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 창간
* 인지세법 : 지식에 대한 과세라 하여 지식세법이라고 불려지기도 함
이 법은 앤여왕의 재위시인 1712년 6월에 의회에서 통과되어 정부가
언론을 간접적인 방식인 경제적인 방법으로 언론을 통제하는 도구로 사용
* 황색신문 : 황색신문인 NEW YORK WORLD와 MORNING JOURNAL 간의 부수경쟁이
치열하였는데, 이 두 신문은 1990년을 전후하여 일요판에 노란 꼬마를
등장 시킨 만화를 게재하였다. 이후 선정보도를 통해 부수확장에 힘을
쏟는 신문을 가리켜 황색신문이라 칭함.
<4주차 신문사의 조직과 기능>
<1교시 신문의 제작 과정>
● 신문의 인쇄방식(전산방식과 재래방식의 차이)
○ 인쇄방식의 변화
-HT방식(납 활자를 이용한 인쇄방식) → 컴퓨터 등장
→ CTS방식(급격한 기술변화에 따른 재교육 필요, 지나친 컴퓨터 의존)
○ CTS와 HT의 차이점
HT 방식
CTS 방식
공정자료의 보관이 어려움
조판된 활자는 용해, 해체보관
제작과정에 쓰인 자료의 보관 용이,
반복 재사용 가능
규격화 - 경직된 공정
자유롭고 쉬운 공정
인쇄효과 미약 - 편집의 제약
다양하고 용이한 편집가능
● 전산방식의 주요 장치 (입력기)
○ HT의 입력기
-원도 → 자모 → 주조 → 조판 → 납 활자
○ CTS의 입력기
-2벌식 표준 자판, 타자기 보다 월등한 능력 → 통신망 LAN → 교정, 편집
○ 사진, 그림의 입력
-컴퓨터의 영상 장비 → 도표가 있는 신문, 사진 있는 신문
● 전산방식의 주요 장치 (편집기)
○ 편집기
-고도의 용량과 기능을 요구
-기사 디스플레이, 기사행수제작, 폰트 지정, 기사 양 계산, 기사 배열,
입력된 그래픽 가공
-편집기자 : 기사를 편집하여 데스크(부서장)에게 보내거나 저장
-데스크 : 편집기자가 보내온 입력 기사를 보고 수정 첨삭
● 전산방식의 주요 장치 (출력기)
○ 출력기(레이져식, 카본식)
-편집된 지면을 인화지나 필름에 인화시켜 내보내는 역할
-자체가 보유하고 있는 여러 가지 폰트 인화
-그래픽으로 받은 이미지를 형상화 시켜 출력시킴
● CTS 제작과정
○ CTS 도입의 이점
-인력절감, 시간단축, 납 등 공해요인 추방
-신문사의 변화, 신문제작자들의 변화, 신문지면의 변화
○ CTS 제작과정의 변화
-주요과정인 ‘입력 → 편집 → 출력’이 점차 단순화
-앞으로 제작과정의 구분 자체가 의미가 없어지게 될 것으로 여겨짐
○ 제작공정의 흐름
1. 편집부에는 원고를 실어오고 실어 나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