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매스컴의 기능
■매스컴의 효과
■탄환이론과 이용과 충족이론
■의제설정 이론과 문화계발효과 이론
■전근대 신문의 출현과 발전
■매스컴으로서의 세계 신문
■편집국의 조작과 기능
■뉴스의 개념과 가치
■뉴스의 형식과 기사구조
■인쇄 신문의 한계
■매스컴의 효과
■탄환이론과 이용과 충족이론
■의제설정 이론과 문화계발효과 이론
■전근대 신문의 출현과 발전
■매스컴으로서의 세계 신문
■편집국의 조작과 기능
■뉴스의 개념과 가치
■뉴스의 형식과 기사구조
■인쇄 신문의 한계
본문내용
송은 세계 산업방송의 모델이 되었다
※미국과 영국에서 등장한 TV방송은 1920년대 말 기술개발로 인해 등장하였으나, 경제공항과 세계 대전으로 잠시 주춤하였다. 이후 TV방송은 전후 경제 부흥과 함께 크게 성장하게 되었으며, 1960년대에 들어서 컬러 방송도 실시되었다.
■한국 방송의 역사
Ⅰ. 학습목표
ⅰ. 학습내용 : 한국 방송의 태동과 변화, 그리고 공영방송과 상업방송의 형성과 발전을 통해 한국 방송의 역사에 데해서 고찰한다.
ⅱ. 학습목표
°한국방송의 기초가 되었던 일제하 방송과 미군정하 방송의 성격을 설명할 수 있다.
°공영방송의 형성과 변화 과정을 명할 수 있다.
°상업방송의 형성-발전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Ⅱ. 일제하 방송
ⅰ. 일제 식민지시기 방송의 변화
°1924년 라디오 방송 실시-조선총독부, 조선일보 → 조선총독부, 조선일보
↓
°1927년 경성방송국 발족 → 경성방송국, 최초의 방송
↓
°1927년 4월 최초 정규 라디오 방송 실시 → 호출부호 JODK("JO"는 국제전기통신연맹에서 일본에 할당한 머리글자)
°1933년 출력 증강, 제 2방송(한국어방송) 실시 → 한국인 청취자 확보(청취로 수입↑, 일제의 식민지 정책 홍보)
°1935년 경성중앙방송국 개칭, 지방방송국 설립 → KBS의 전국 네트워크의 기초
※일제하 단파방송 사건
°1942년 태평양전쟁이 한창이던 시기에 경성방송국의 한국인 직원들이 단파 수신기를 통해 미국의 소리를 몰래 청취하다가 일 제 당국에게 발각된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 사건으로 방송관련자들이 옥고를 치르고 일부는 옥사하였다.
Ⅲ. 해방과 자유당 시기 방송
ⅰ. 미군정 시기 방송 → 미국식의 소프트웨어 + 하드웨어 방식
°방송국의 운영:총독부를 대신하여 방송을 완전히 장악
°호출부호의 변경:1947년 9월 3일 국제무선회의:'JO' → 'HL'
°방송은 편성과 제작기법 변화:상업방송 포맷 & 방송기자제도 도입
ⅱ. 자유당 시기 방송
°1948년 정부의 공보처 산하의 국영방송체제
↓한국전쟁
°1954년 한국최초의 민영방송인 기독교방송국(CBS)설립 → 국민들에게 다양한 목소리 전달
↓
°1956년 최초의 상업 TV방송(HLKZ)출현 → 한국복음주의방송국 개국, 부산문화방송 개국
※KORCAD-TV
°이 방송국은 미국의 상업 TV방송을 그대로 모방하고 있다. 미국 RCA지원에 의해서 설립된 이 방송은 미국 상업적인 오락프 로그램을 내보냈을 뿐만 아니라 TV 수상기 역시 RCA제품이었다. 결국 당시 한국 상황과는 맞지 않았던 상업 TV방송은 미국 의 문화종속과 기술종속을 가져올 수 있는 방송으로 볼 수 있다.
Ⅳ. 상업상송의 성장
ⅰ. 상업라디오 방송
°이승만 자유당 정권시기 → 1961년 박정희 대통령 → 상업 라디오방송 등장 → 한국 문화방송 주식회사(MBC)-지방의 독립 민간상업방송국을 계열화, 전국적인 문화방송의 네트워크 형성. 동아방송(DBS)-방송의 새로운 모델 제시, 신문매체의 뉴스 취 재시스템을 동원
ⅱ. 상업 TV방송
°1964년 동양방송(TBS) 개국 → 1927년 한국문화텔레비전(MBC)개국(텔리비전3국 시대 개막 TBS-MBC-HLCK) → 거대기 업화(정치 밀착, 과다경쟁-저질문화 양상, 1980년 언론통폐합과 방송통폐합의 구실)
※상업방송의 시청률 경쟁
°박정희 정권하에서 상업방송 특히, TBC-TV와 MBC-TV사이의 시청률 경쟁은 상업방송의 폐해를 극명하게 보여주었다. 시청 률 경쟁은 저질 오락프로그램의 양산을 가져왔는데, 특히 주 시청시간대에 방영되었던 코미디 프로그램은 저질 프로그램의 대 명사였다. 특별한 대본도 없이 때리고 넘어지는 코미디언들의 연기는 당시 일반 시청자들로부터 지탄의 대상이 되었다.
Ⅴ. 공영방송 체제
ⅰ. 1970년대 공영방송
°1964년 방송법 제정, 공포
↓
°1972년 한국 방송공사법 통과 → 정치적 목적 (박정희 대통령:정부의 홍보기관의 이미지→대외적으로 공정한 이미지)
°1973년 국영방송 → 공영방송
ⅱ. 1980년대 공영방송
°언론의 통폐합:정치권력의 강력한 통제의 결과(MBC 주식 70% 양도, TBC 완전 흡수, CBS 종교방송, 경영적인 통제)
°TV의 컬러방송:국면전환용, 대기업에 대한 정책적 배려
ⅲ. 1990년대 공영방송
°서울방송(SBS)개국(본격적인 상업방송의 시작, 지역 상업방송의 개국의 신호탄 SBS) +디지털화(다매체-다채널시대로 접어들게 함)
※방송환경의 변화와 관련된 사례
°1990년 디지털화로 인한 방송환경의 변화는 다매체-다채널이다. 기존의 공중파 방송은 새롭게 등장한 뉴미디어인 케이블방송 (CATV), 직접위성방송(DBS), HDTV, 인터넷방송, 그리고 최근 이동방송(DMB)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매체가 등장함으로써 심 각한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방송환경은 이제 송신자(방송국)의 입장에서 수신자(소비자)의 입장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다시 말하면, 기존의 방송이 불특정 다수에게 전달하는 Broadcasting이었다면 이제 Narrowcasting으로 변화고 있는 것이다.
※경성방송국의 호출부호는 (JODK)인데 이것은 일본의 방송이었음을 보여주는 실체이기도 하다.
※1980년대 실시된 (언론통폐합)은 방송환경이 큰 변화를 일으켰는데, 한국 방송공영제도 형성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다.
※1990년대 이후 방송환경의 변화를 요약하면 (다매체)와 (다채널)이다
※경성방송국은 한국에서 시작된 방송으로써 한국방송의 기초가 되었던 방송임에 틀림없지만, 일제의 식민지 정책을 홍보 수다단 의 일환이였다.
※미군정하 방송은 한국방송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형성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자유당 시기의 방송은 국영방송으로서 방송이 국가 홍보기관이라는 방송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선례를 남겨 놓았다
※박정희 정권의 언론정책과 1980년대에 실시된 언론통폐합은 한국방송을 공영방송제도로 변화시켰으나, 그 속에는 정치적인 목 적이 숨어있었다
※상업방송은 박정희 정권 시기에 정책적 지원을 받고 성장하였으며, 이후에는 방송환경의 변화에 발맞추어 성장 발전하였다. 특 히 1990년 상업방송인 SBS 등장은 지역 상업방송의 활성화의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미국과 영국에서 등장한 TV방송은 1920년대 말 기술개발로 인해 등장하였으나, 경제공항과 세계 대전으로 잠시 주춤하였다. 이후 TV방송은 전후 경제 부흥과 함께 크게 성장하게 되었으며, 1960년대에 들어서 컬러 방송도 실시되었다.
■한국 방송의 역사
Ⅰ. 학습목표
ⅰ. 학습내용 : 한국 방송의 태동과 변화, 그리고 공영방송과 상업방송의 형성과 발전을 통해 한국 방송의 역사에 데해서 고찰한다.
ⅱ. 학습목표
°한국방송의 기초가 되었던 일제하 방송과 미군정하 방송의 성격을 설명할 수 있다.
°공영방송의 형성과 변화 과정을 명할 수 있다.
°상업방송의 형성-발전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Ⅱ. 일제하 방송
ⅰ. 일제 식민지시기 방송의 변화
°1924년 라디오 방송 실시-조선총독부, 조선일보 → 조선총독부, 조선일보
↓
°1927년 경성방송국 발족 → 경성방송국, 최초의 방송
↓
°1927년 4월 최초 정규 라디오 방송 실시 → 호출부호 JODK("JO"는 국제전기통신연맹에서 일본에 할당한 머리글자)
°1933년 출력 증강, 제 2방송(한국어방송) 실시 → 한국인 청취자 확보(청취로 수입↑, 일제의 식민지 정책 홍보)
°1935년 경성중앙방송국 개칭, 지방방송국 설립 → KBS의 전국 네트워크의 기초
※일제하 단파방송 사건
°1942년 태평양전쟁이 한창이던 시기에 경성방송국의 한국인 직원들이 단파 수신기를 통해 미국의 소리를 몰래 청취하다가 일 제 당국에게 발각된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 사건으로 방송관련자들이 옥고를 치르고 일부는 옥사하였다.
Ⅲ. 해방과 자유당 시기 방송
ⅰ. 미군정 시기 방송 → 미국식의 소프트웨어 + 하드웨어 방식
°방송국의 운영:총독부를 대신하여 방송을 완전히 장악
°호출부호의 변경:1947년 9월 3일 국제무선회의:'JO' → 'HL'
°방송은 편성과 제작기법 변화:상업방송 포맷 & 방송기자제도 도입
ⅱ. 자유당 시기 방송
°1948년 정부의 공보처 산하의 국영방송체제
↓한국전쟁
°1954년 한국최초의 민영방송인 기독교방송국(CBS)설립 → 국민들에게 다양한 목소리 전달
↓
°1956년 최초의 상업 TV방송(HLKZ)출현 → 한국복음주의방송국 개국, 부산문화방송 개국
※KORCAD-TV
°이 방송국은 미국의 상업 TV방송을 그대로 모방하고 있다. 미국 RCA지원에 의해서 설립된 이 방송은 미국 상업적인 오락프 로그램을 내보냈을 뿐만 아니라 TV 수상기 역시 RCA제품이었다. 결국 당시 한국 상황과는 맞지 않았던 상업 TV방송은 미국 의 문화종속과 기술종속을 가져올 수 있는 방송으로 볼 수 있다.
Ⅳ. 상업상송의 성장
ⅰ. 상업라디오 방송
°이승만 자유당 정권시기 → 1961년 박정희 대통령 → 상업 라디오방송 등장 → 한국 문화방송 주식회사(MBC)-지방의 독립 민간상업방송국을 계열화, 전국적인 문화방송의 네트워크 형성. 동아방송(DBS)-방송의 새로운 모델 제시, 신문매체의 뉴스 취 재시스템을 동원
ⅱ. 상업 TV방송
°1964년 동양방송(TBS) 개국 → 1927년 한국문화텔레비전(MBC)개국(텔리비전3국 시대 개막 TBS-MBC-HLCK) → 거대기 업화(정치 밀착, 과다경쟁-저질문화 양상, 1980년 언론통폐합과 방송통폐합의 구실)
※상업방송의 시청률 경쟁
°박정희 정권하에서 상업방송 특히, TBC-TV와 MBC-TV사이의 시청률 경쟁은 상업방송의 폐해를 극명하게 보여주었다. 시청 률 경쟁은 저질 오락프로그램의 양산을 가져왔는데, 특히 주 시청시간대에 방영되었던 코미디 프로그램은 저질 프로그램의 대 명사였다. 특별한 대본도 없이 때리고 넘어지는 코미디언들의 연기는 당시 일반 시청자들로부터 지탄의 대상이 되었다.
Ⅴ. 공영방송 체제
ⅰ. 1970년대 공영방송
°1964년 방송법 제정, 공포
↓
°1972년 한국 방송공사법 통과 → 정치적 목적 (박정희 대통령:정부의 홍보기관의 이미지→대외적으로 공정한 이미지)
°1973년 국영방송 → 공영방송
ⅱ. 1980년대 공영방송
°언론의 통폐합:정치권력의 강력한 통제의 결과(MBC 주식 70% 양도, TBC 완전 흡수, CBS 종교방송, 경영적인 통제)
°TV의 컬러방송:국면전환용, 대기업에 대한 정책적 배려
ⅲ. 1990년대 공영방송
°서울방송(SBS)개국(본격적인 상업방송의 시작, 지역 상업방송의 개국의 신호탄 SBS) +디지털화(다매체-다채널시대로 접어들게 함)
※방송환경의 변화와 관련된 사례
°1990년 디지털화로 인한 방송환경의 변화는 다매체-다채널이다. 기존의 공중파 방송은 새롭게 등장한 뉴미디어인 케이블방송 (CATV), 직접위성방송(DBS), HDTV, 인터넷방송, 그리고 최근 이동방송(DMB)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매체가 등장함으로써 심 각한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방송환경은 이제 송신자(방송국)의 입장에서 수신자(소비자)의 입장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다시 말하면, 기존의 방송이 불특정 다수에게 전달하는 Broadcasting이었다면 이제 Narrowcasting으로 변화고 있는 것이다.
※경성방송국의 호출부호는 (JODK)인데 이것은 일본의 방송이었음을 보여주는 실체이기도 하다.
※1980년대 실시된 (언론통폐합)은 방송환경이 큰 변화를 일으켰는데, 한국 방송공영제도 형성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다.
※1990년대 이후 방송환경의 변화를 요약하면 (다매체)와 (다채널)이다
※경성방송국은 한국에서 시작된 방송으로써 한국방송의 기초가 되었던 방송임에 틀림없지만, 일제의 식민지 정책을 홍보 수다단 의 일환이였다.
※미군정하 방송은 한국방송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형성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자유당 시기의 방송은 국영방송으로서 방송이 국가 홍보기관이라는 방송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선례를 남겨 놓았다
※박정희 정권의 언론정책과 1980년대에 실시된 언론통폐합은 한국방송을 공영방송제도로 변화시켰으나, 그 속에는 정치적인 목 적이 숨어있었다
※상업방송은 박정희 정권 시기에 정책적 지원을 받고 성장하였으며, 이후에는 방송환경의 변화에 발맞추어 성장 발전하였다. 특 히 1990년 상업방송인 SBS 등장은 지역 상업방송의 활성화의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키워드
추천자료
인터넷과 지면 신문 독자의 정치적 지각에 대하여 <매스컴 연구방법론>
유비쿼터스가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매스컴과 사회(A+레포트)
[현대사회와 매스컴] 스타시스템의 역사, 현황, 문제점 및 대안
[기업광고][기업광고 기능][기업광고 발달과정][기업광고 효과][기업광고 전망]기업광고의 분...
[포토샵-효과와 기능]포토샵 기능과 효과에 대한 분석(멀티미디어시스템개론)
[한중협력][한중관계]한중(한국과 중국) 정치안보협력, 한중(한국과 중국) 경제협력, 한중(한...
매스커뮤니케이션의 기능, 매스커뮤니케이션의 강효과이론,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중효과이론, ...
[판서][판서 의미][판서 유형][판서 기능][판서 시기][판서 기술][판서 방법][판서 효과][판...
[화장][화장 의미][화장 연혁][화장 소비자 주의사항][화장 효과][화장 미백기능]화장의 의미...
[콩][콩 어원][콩 특징][콩 종류][콩 영양][콩 효과][콩 기능성][콩과 수입 콩 비교]콩의 어...
가족 : [아동복지론] 현대사회 가족구조의 변화로 인한 아동상담의 필요성을 주변의 사례나 ...
대선과 매스미디어-매스 미디어가 대선에 미치는 영향,대선의 특찮 매스컴,대선과 언론,방송...
운동의 중요성과 효과 - 운동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운동이 심장기능, 혈압, 폐기능, 최대산...
범죄의 사회환경적 요인(자연환경과 범죄 지역사회와 범죄 매스컴과 범죄 경제상태와 범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