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협력][한중관계]한중(한국과 중국) 정치안보협력, 한중(한국과 중국) 경제협력, 한중(한국과 중국) 기술협력, 한중(한국과 중국) 매스컴협력, 한중(한국과 중국) 환경협력, 한중(한국과 중국) 협력의 시사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중협력][한중관계]한중(한국과 중국) 정치안보협력, 한중(한국과 중국) 경제협력, 한중(한국과 중국) 기술협력, 한중(한국과 중국) 매스컴협력, 한중(한국과 중국) 환경협력, 한중(한국과 중국) 협력의 시사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한중(한국과 중국) 정치안보협력
1. 한반도의 평화ㆍ안정
2.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
3. 정치ㆍ안보협력의 과제와 전망

Ⅲ. 한중(한국과 중국) 경제협력

Ⅳ. 한중(한국과 중국) 기술협력

Ⅴ. 한중(한국과 중국) 매스컴협력
1. 한․중 매스컴 교류역사에 대한 회고
2. 한․중 언론매체교류의 문제점
3. 한․중 매스컴 교류를 위한 구체적 건의

Ⅵ. 한중(한국과 중국) 환경협력

Ⅶ. 한중(한국과 중국) 협력의 시사점
1. 양국 기관간 대화협의체 마련
2. 중국현지 산업기술협력 지사 설치
3. 중국 협력거점 설치
4. 기관 간 교류확대
5. 기술, 정보교류확대
6. 기업위주의 사업확대추진
7. 현재 구축된 네트워크의 활성화
8. 기타

참고문헌

본문내용

. 특히 양국의 영향력이 있는 주류 미디어는 여러 주요한 활동에서 견인차 혹은 주인공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부분에서 신화사와 한국의 동료들은 많은 업무를 수행했다. 향후 이 협력 영역을 확장하여 그 영향력을 더 강화해야 할 것이다.
Ⅵ. 한중(한국과 중국) 환경협력
이상의 현실로 볼 때 향후의 한중 환경협력은 중국의 실정에 부합하도록 협력의 내실화를 기하고, 우리가 우위를 가진 기술을 중심으로 중국의 환경 산업에 적극 진출하며, 이에 맞는 지원체제를 종합적으로 재정비하는데 치중해야 할 것 같다.
우선, 환경협력의 내실화를 위해 우리의 입장만을 고려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중국의 실정을 이해하고 중국 측의 적극성을 유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한중 환경과학교류센터의 기능을 실질적으로 강화하고 출연기관과 기업체, 대학 등에서 다수의 연구인력을 파견한다. 여기에 지속적으로 연구비를 제공하여 양국의 공동 이익에 부합하는 연구 과제를 수행하고, 부수적으로 우리에게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황사문제, 해수오염 문제 등을 연구한다. 중국의 환경관련 정책과 법규, 동향 등을 파악해 한국의 유관 기관에 배포하고 정기적으로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학술행사를 개최한다. 기관간의 인력 교류를 강화하고 중국의 고급인력을 한국에 유치, 활용하여 한국을 이해하는 중국인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둘째로, 중국의 환경연구가 출연연구소와 대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을 감안해, 현재 잘 진척되지 않고 있는 출연연구소간, 대학간의 교류와 공동연구를 활성화한다. 중국은 문화대혁명의 영향으로 50대 후반 연령층과 40대 초반 이하의 연령층 사이에 커다란 단절이 있고, 현재 이 들간에 대대적으로 세대교체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곧 중국의 환경기술 연구와 정책수립을 주도할 출연연구소, 대학의 청년과학자들을 지원하고 이들과의 교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로, 중국의 환경산업에 진출하기 위해 농업, 공업, 해양 등의 제 분야에서 환경과 직접 관련이 과제를 도출하고 중국의 기술 수요를 파악하며, 이 중에서 한국이 진출할 수 있는 분야를 개척한다. 일례로 농업 분야의 생분해성 고분자, 공업 분야의 자동차 배기가스 억제 기술, 탈황 기술, 탈 질소 기술, 오염물의 미생물 분해 기술, 해양 분야의 적조 방지 기술, 해양 오염물 처리 기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분야에서 첨단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벤처기업의 중국 진출을 돕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중국 내에 환경기업 창업보육센터나 상설 전시관 등의 진출 장소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한국이 지방화 시대를 맞고 있고 중국은 각 지방정부별로 상황이 다르고 지방정부가 상당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 것을 감안하여, 지방정부간과 환경분야에 특화한 지방공단간의 교류를 적극 활성화한다.
넷째로, 중국이 아직도 정부 주도의 국가혁신체제를 유지하고 있고 환경상품의 주 구매자가 정부 당국인 것을 고려하여 정부차원의 종합적인 지원체제를 정비한다. 각 부서로 분산된 지원체제가 서로 긴밀히 연결되도록 주중대사관과 한중 환경과학협력센터, 무역협회, 상공회의소, 중소기업진흥협회, 과학기술협력센터 등이 정기적으로 회동하거나 정보를 공유하고 공동으로 전략을 수립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중국 정부가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각국에 지원을 요청하고 있는 북부 사막방지 프로젝트에, 정부와 중국 환경시장에 진출한 한국 기업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방안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한국 기업의 중국내 인지도를 높이고 환경상품의 주요 구매자인 중국정부와의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도록 한다. 이와 관련해 일본이 하고 있는 것처럼 개도국 지원 자금과 국제협력단 지원 자금 중 일부를 환경관련 지원 사업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Ⅶ. 한중(한국과 중국) 협력의 시사점
1. 양국 기관간 대화협의체 마련
- 산업협력사업추진(국제표준화 등 모색)
- 한중산업기술세미나 개최
- 양국간 공동회의 및 포럼 개최
- 양국 교류협력 정례화
- 업계간 협력회의 개최
- 학술 및 연구발표회 추진
2. 중국현지 산업기술협력 지사 설치
- 중국측 창구의 일원화
- 적임기관지정을 통한 중장기적인 현지 애로사항 관리 및 모니터링 체제 구축
3. 중국 협력거점 설치
- 지역의 특화산업에 유희한 중국의 지역별 사이언스 파크를 발굴 협력거점 구축
- 중국현지 Lac설립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한 공동연구 프로젝트 기획 및 추진
4. 기관 간 교류확대
- 전문가 상호교환교육, 기관 실무자 상호방문교육
- 인정기관 간 상호정보교류 및 공동감독시행, 양국간 인증서의 상호인정
- 직원 상호 연수 등 인적교류 사업 활성화
5. 기술, 정보교류확대
- 정책 정보교환, 발간 자료 교환
- 중국의 기초기술과 아국의 첨단기술교류
- 인력정보교류를 통한 전문가간 협력교류기회 다양화
- 기술정보 교류
6. 기업위주의 사업확대추진
- 상담회 시장개척단 파견
- 경제사절단 및 투자사찰단 파견사업 확대
- 무역확대를 위한 교류촉진, 상호 사절단 파견
- 기업의 비즈니스 수요에 부응하는 신규사업 개발
7. 현재 구축된 네트워크의 활성화
- 현재 구축된 네트워크 활용도 고양
- 협력사업의 계획, 추진
8. 기타
양국협력기반구축사업의 단계별 시행
1단계- 공동심포지움 또는 컨퍼런스 중심의 전반적, 학문적 교류를 공고히 하는 초기단계
2단계- 공동연구개발 프로젝트의 추진 등으로 교류협력의 단계를 한 차원 개선하는 중기단계
3단계- 경쟁력 있는 분야에 대하여 한중 협약체결 또는 합자회사 설립 등 중국과의 협력
참고문헌
ⅰ. 강두용(2006), 중국의 부상이 한국 산업 성장에 미치는 영향, 산업연구원
ⅱ. 박한진(2007), 중국 투자기업 경영성과 평가와 전망 그리고 한중 FTA, KOTRA
ⅲ. 산업연구원(2006), 전환기 중국산업의 평가와 한국의 진로
ⅳ. 이장규·지만수(2002), 한중경제교류 10년의 회고와 전망, KIEP
ⅴ. 지만수 외(2005), 중국의 산업구조 고도화 및 기업성장의 현황과 시사점: 중국 위
협의 재평가, 정책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ⅵ. 주원(2005), 한중 경제교류의 새로운 패러다임, 현대경제연구원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09.0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94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