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문장성분, 문장번역,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자막,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직역,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오역,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사례, 향후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개선방안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문장성분, 문장번역,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자막,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직역,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오역,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사례, 향후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개선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문장성분
1. 他沒有什麽模樣, 使他可愛的是臉上的精神. 頭不很大, 圓眼, 肉鼻子, 兩條眉很短很粗, 頭上永遠剃得發亮
2. 游若水前幾年比許恒忠的權力大得多, 作用也壞得多. 群衆對他的意見很大
3. 어색한 우리말
1) 祝賀你們, 我的朋友! 衷心地祝賀你們
2) 他們的車破, 跑得慢, 所以得多走路, 少要錢

Ⅲ.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문장번역
1. 관형어 선호 현상
1) 我們和阿隨都享用了十多日的鮮肥, 可是其實都很瘦, 因爲它們早已每日只能得到幾粒高梁了
2) 在不言中, 敎我借此去維持較久的生活
2. 문장성분의 전환
1) 주어의 전환
2) 술어의 전환
3) 관형어의 전환
4) 부사어의 전환

Ⅳ.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자막
1. 규격에 맞는 번역
1) 李翹 : 有錄音帶, 有唱片啊, 好便宜的. 鄧麗君啊, 人美歌甛, 鄧麗 君啊, 快點來買啊. <甛密密>
2) 雄覇 : 我要全武林都知道, 寧天下人負我, 莫要我負天下人.連你也不例外. <風雲>
2. 중국어와 중국문화의 특징을 살리는 번역

Ⅴ.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직역
1. 직역과 의역
1) 一年就能剩起五六十塊! 這樣, 他的希望就近便多多了
2) 兩塊錢是兩塊錢, 這不是天天能遇到的事
3) 如果一個人的品德不好, 他無論多麽高明, 也不會對人類有多大貢獻
2. 의미 보완의 문제
1) 從風裏雨裏的咬牙, 從飯裏茶裏的自苦, 才賺出那輛車
2) 這麽說, 你剛才的變化是裝出來的
3) 我···朝環環擺擺手: “去吧, 環環! 等爸爸到了那一天, 你才
3. 문장의 번잡함
1) 你愛怎麽想就怎麽想吧, 我可要睡了
2) 孫悅, 在我死去的時候, 你會不會作這樣的一朵小黃花佩戴在胸前

Ⅵ.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오역
1. 오역
1) 귀주이야기
2) 옥보단
3) 류망의생
4) 인지구
5) 변검
2. 그럴듯한 번역
1) 열혈남아
2) 붉은 가마
3) 현위의 인생
4) 쿵푸선생
5) 목인의 신부
6) 대도무문
7) 상하이 트라이어드
8) 책상서랍 속의 동화
9) 해피투게더/부에노스아이레스
10) 집으로 가는 길

Ⅶ.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사례

Ⅷ. 향후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개선방안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봉숫불이
끝끝내 그 무엇을 태우려함이료
그리워라 내 집은
하늘밖에 있나니
애닯다 긁어 쥐어뜯어서
다시금 떨어졌다고
다만 이 희끗희끗한 머리칼 뿐
인제는 빗질할 것도 없구나
이 번역에서 소월은 자의적인 행갈이와 원문의 의도적인 무시, 첨삭을 통해 번역의자유를 마음껏 구가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그의 번역은충실성으로부터 멀리 있지 않다. 오히려 그자유속에서 시의 시 됨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너끈히충실성을 포용하고 있다. 그렇다면 번역에 있어서의충실성과자유란 상호 배타적인 개념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인 개념은 아닐까?
Ⅷ. 향후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개선방안
실제 번역의 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학계의 공동 노력 또한 필수적이다. 중국어의 음역/의역/음의역 문제라든가 중국음의 표기 방식에 대한 모범적인 번역 방식과 합리적이고 공인된 중국음 표기 방법이 하루 바삐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 〈중국어 번역 기법의 모색〉(박종한, 1998)과 같은 번역 기법과 관련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고, 번역 작품 선정이라든가 번역명 통일을 위한 다양한 목록 작업이 학계 공동의 노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大頭魚\'의 번역에서 보듯이 사전의 역할이 대단히 중요한데, 앞으로는 중한사전류도 단순히 일반적인 어휘 사전보다는 전문용어사전, 분류사전, 속담성어사전, 破音字사전, 역순사전 등 다양한 사전의 개발이 필요하다.
번역에 대한 정부공익단체출판계 및 학계의 인식 변화와 협조 역시 대단히 중요한 사항이다. 예를 들면, 상업적 이익을 고려할 수밖에 없는 출판사로서는 그때그때 작품과 번역자를 선정할 뿐만 아니라, 번역료 및 원저작료를 가능한 적게 들이려고 한다든가 저작권 처리 문제를 번역자에게 떠넘긴다든가 하는 일이 다반사다. 또 능력을 갖춘 번역자가 최선을 다해 거둔 성과물을 제대로 출판할 수 없는 경우도 많다. 그 뿐만 아니라 연구자들의 경우에는 심혈을 기울인 번역물이 아예 학문적 성과로 인정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이와 유사한 많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리 사회 전체, 좀더 직접적으로는 각 관련 기관들의 인식 변화와 협조가 절실한 것이다.
Ⅸ. 결론
현대중국어의 어휘는 매우 풍부하여, 제한된 시간 안에 어떻게 가장 널리 쓰이는 주요한 단어와 구(詞語)를 학생에게 가르쳐 주고, 교재를 잘 선택하느냐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교재의 체제와 제재는 다양해야 하고, 내용은 생동적이어야 하며, 단지 무미건조할 뿐이라면 학생들의 학습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없다. 여기서 이야기하려고 하는 것은 언어수업이다. 그래서 교재를 선택할 때는, 한 편의 문장에서 상용 단어와 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반드시 고려하여, 방언사와 벽자(생소한 단어)는 되도록 피해야 한다. 교재를 잘 선택한 후에, 상대적으로 일정한 기간을 정하여, 경험을 종합하기 쉽도록 해야 한다. 언제나 형세에 부합하여 신문과 안내서를 읽는 것과 같아서는 안 된다. 이러한 문장은 시간이 지나가 버리면 소용없게 된다. 그 중 적지 않은 단어는 재출현 비율이 매우 낮은데, 심지어 어떤 것은 한 번 배운 뒤에는 다시 보기 어렵다.
외국 학생들은 중국어를 일년 정도 배우고 나면(외국어학원에서 학습한 것을 가리킴), 일반적으로 2000여개의 상용어(常用詞)를 파악하게 된다. 이 기초 위에서, 정독하는 매 과의 본문이 고쳐 쓴 문장에서 점점 原著로 넘어갈수록, 매 과의 새로운 단어(生詞)의 수량은 비교적 많아진다. 그래서 매일 새로운 단어의 양을 반드시 장악해야 한다. 가장 좋은 것은 하루에 25개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며, 고학년은 많더라도 30여개 정도는 장악해야 한다. 이런 정도라면 학생들은 기억하고 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새로운 단어가 많아, 교실에서 가르치는 동안 힘을 고르게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교과서 전체의 새로운 단어 중에서 중점단어를 선택하고, 설명과 연습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는 단어와 구는 다시 선택하여 각 과에서 나누어 해결해야 한다. 우리들은 교과서 전체의 새로운 단어를 아홉 종류로 나누어 학생들에게 다른 요구를 제시할 수 있다. 어떤 단어에 대해서는 학생들에게 전면적으로 즉,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네 가지를 모두 할 수 있기를 요구하고(즉 약간의 허사, 동사, 구 등); 어떤 것은 다만 읽기와 일정한 단어와 구와 결합하는 중에서의 의미만을 이해하기를 요구하고, 네 가지 모두를 요구하지 않는다. 또 어떤 것은 보고 이해할 수 있으면 된다(이것은 물론 극소수의 비교적 생소한 단어이다). 설명에 중점을 두려고 하는 중점단어와 구 등이 많으면 좋지 않은데, 두 시간 수업에 세 개에서 다섯 개 사이면 적은 것이 아니다. 魯迅의 《故鄕》으로 예를 들 수 있는데, 설명과 연습에 중점을 두는 단어와 구조는 “冒(무릅쓰다), 禁不住(참을 수 없다,견딜 수 없다), 不便(불편하다), 每到(언제나~가 되면), 總(늘,결국), 輪(차례가 되다),(忙)不過來(바빠서 어쩔 줄 모르다), 可見(~을 알 수 있다), 隨便(마음대로), 順便(~하는 김에),(用)得着(쓸모있다), 難怪(어쩐지,당연하다),(吃)不(먹은 것이)부족하다), 虧(부족하다,다행히)” 같은 것이다. “時時(항상), 且(또한), 太平(평안하다), 偸空(시간을 내다)” 등과 같은 단어와 구는 학생들이 읽을 수 있고, 뜻을 이해할 수 있으면 되고, 활용하는 것은 요구하지 않는다. 그리고 “謀食(살길을 찾다), 出驚(무서워 하다), 値年(당직을 맡은 해), 道台(청대에 한 省 각 부처의 장관이나 또는 각 부.현의 행정을 감찰하던 관리), 豆腐西施” 같은 류는 단지 본문 중의 의미만을 이해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1. 김미성, 현대중국어 관용어 번역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2006
2. 박종한, 중국어 번역 테크닉, 중국어문화원, 2000
3. 백수진, 중국어 번역 급소 찌르기, 다락원, 2002
4. 이소희, 중국어 번역 방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9
5. 전기정, 중국어 번역교육의 현황과 향후 교육방법, 중국어문논역학회, 2009
6. 정룡현, 중국어번역에서 존재하는 몇가지 문제점,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2
  • 가격9,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3.08.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27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