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밀 李密 최계서 조정 저징 등선문 서지재 장원유 도홍경 서지범서민제장문중의 원문 및 한글번역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밀 李密 최계서 조정 저징 등선문 서지재 장원유 도홍경 서지범서민제장문중의 원문 및 한글번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이밀 李密
최계서
조정
저징
등선문
서지재
장원유
도홍경
서지범
서민제
장문중

본문내용

무덕기간에 벼슬이 태상승로 옮겨갔다.
禦史大夫 杜淹 患風毒發腫 太宗令立言治之.
어사대부 두엄이 풍독에 종기가 발생한 질환에 태종이 견립언에게 치료하게 하였다.
而奏曰更二十一日午時死, 果如其言.
그는 이미 상주하여 말하길 21일 오시에 죽는다고 하니 과연 그의 말대로 되었다.
宋俠
송협
宋俠者 不知何郡人也.
송협은 어느 군 사람인지 알지 못한다.
性明敏有學術於經方本草尤所敦竟以醫術知名.
성품이 명민하여 학술은 경방본초에 더욱 돈독하여 일찍이 의술로 이름이 알려졌다.
許胤宗
허윤종
許胤宗常州義興人.
허윤종은 상주 의흥 사람이다.
初仕陳爲新蔡王外兵參軍.
초기에 진나라에 벼슬하여 신채왕의 외병참군이 되었다.
時柳太后感風不能言脈益而.
이 때 유태후가 풍사에 감염되어 말을 못하며 맥이 더욱 침맥이면서 입을 벌리지 못했다.
胤宗曰口不下藥 宜以湯氣蒸之 令藥入理周時可 遂造黃耆防風湯數十斛 斛(휘, 10말 곡; -총11획; hu)
置於床下 氣如煙霧如其言便得語.
허윤종은 입으로 약을 내려가게 하지 못하며 의당 탕기로 훈증한다고 하니, 약을 주리에 들어가서 온종일 하면 낫게 한다고 하니, 황기방풍탕 수십곡을 만들어 침상 아래에 두니 연기와 안개처럼 기가 있고 말은 곧 언어를 하게 되었다.
由是超拜義興太守(唐史)
이로부터 의흥태수에 제수되었다. 당사에 출전
孫思邈
손사막
孫思邈雍州華原人.
손사막은 옹주 화원 사람이다.
七歲就學日誦千言, 善談莊老百家之說.
7세에 학문에 나아가 날마다 천마디 말을 암송하니 잘 장자와 노자의 제자백가의 말을 말했다.
性好醫術 但是經方無不該覽.
성품은 의술을 좋아하고 단지 경방에 해박하게 보지 않음이 없었다.
撰千金等方行於世
손사막은 천금방등을 편찬하여 세상에 유행하게 하였다.
張文仲
장문중
張文仲洛州洛陽人.
장문중은 낙주 낙양 사람이다.
以醫術著名 文仲則天時爲侍禦醫.
장문중은 의술로 더욱 유명하며 그는 천시에 시어의가 되었다.
尤善療風疾則天令撰療諸方.
그는 더욱 풍질을 잘 치료하여 천자가 여러 방법으로 치료함을 편찬케 했다.
奏曰風有一百二十種 氣有八十種 大抵雖同人性各異 唯氣頭風則隨發動 臨時消息之.
상주하여 말하길 풍은 120종이며 기는 80종이니 대개 비록 같은 사람의 성품도 각자 다르나 오직 기두풍은 발동을 따르니 임시로 생각하여야 합니다.
但有風氣之人 春末夏初秋暮 得通泄不至困劇.
단지 풍기가 있는 사람은 봄 끝, 여름 초기, 가을 저물 때 통설을 얻으면 곤란하고 심함에는 이르지 않습니다.

키워드

서지재,   의설,   이밀,   저징,   도홍경,   장원유,   장문중,   서지범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8.02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78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