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得通泄不至困劇.
단지 풍기가 있는 사람은 봄 끝, 여름 초기, 가을 저물 때 통설을 얻으면 곤란하고 심함에는 이르지 않습니다. 이밀 李密
최계서
조정
저징
등선문
서지재
장원유
도홍경
서지범
서민제
장문중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8.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대 문장에서 본초책은 창출, 백출을 구분하지 않다가 도은군(도홍경)이 양쪽 종류로 말함이 있어서 비로소 각자 베풀어 사용되었다. 丹參
단삼
元參
원삼
白朮
백출
蒼朮
창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홍경은 《신농본초경》을 수정하였는데, 이 저서에 의하면 "인삼은 주로 오장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경계(驚悸)를 멈추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머리를 지혜롭게 하고 오랫동안 복용하면 수명(壽命)을 연장한다"고 하였다.
또한 《명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2.05.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홍경이 말함은 제와 서로 기인하니 의심된다.
(若稷當屬高碩如蘆,世之所謂蘆稷者,實香美,性復中和,幹又高碩 碩(클 석; -총14획; shuo)는 원문은 大(큰 대; -총3획; da,dai)로 되어 있다.
,所以能爲五穀之長,而先王以之名官也。)
만약 직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7.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홍경이 말하길 내경에서는 뼈와 치아를 단단하게 하며 진실로 의심할만하니 반석의 약성이 오로지 뼈에 들어가서 많이 사용하면 치아를 손상하며 조금 사용하면 치아를 단단하게 하니 치아는 뼈의 나머지이다.
爲末,去鼻中息肉。
백반을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8.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