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5건

일찍이 병으로 시끄럽길 2달을 경유하여 벗이 초대하러 오니 노직소주를 마셔 한번 취하게 하며 병을 쌓음은 창달하니 성질은 중화가 되니 또한 볼 수 있다. 본초비요 곡식 채소 부분 갱미멥쌀 나미찹쌀 대맥아 곡아 소맥 부소맥 직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7.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멥쌀 (煩熱。) 갱미는 번열을 치료한다. (엿, 쌀강정 당; 食-총18획; xing,qing,tang) 당 (建中。) 엿은 중초를 세워준다. 麻子 마자인 (脾約 秘結。) 마자는 비약과 변비를 치료한다. 〔菜部〕 채소부분 百合 백합 (百合病。) 백합은 백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갱미일대촬 수전 온복이라. 백호가삼탕은 석고 20g, 지모 인삼 각각 8g, 감초 2g, 멥쌀 한웅큼을 물에 달여서 따뜻하게 복용케 한다. 虛煩不止엔, 加麥門冬이 尤妙니라. 허번부지엔 가맥문동이 우묘니라. 허번이 그치지 않음엔 백호가삼탕에 맥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갱미하라. 혈이 약하면 삼호작약탕에 당귀를 더하고 허번함녀 죽엽과 멥쌀을 더한다. 二便이 自利하며, 胸腹이 不飽하고, 形羸, 脈弱하면, 去枳殼하고, 倍人蔘하라, 이변이 자리하며 흉복이 불포하고 형리 맥약하면 거지각하고 배인삼하라.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대맥(大麥)이라고 한다. 2) 밀의 식물학적 기원 밀에는 20여종의 야생종과 재배종들이 있으며, 이들의 원산지는 서아시아 지역으로 넓게 분포되어 있다. 보통밀(Triticum aestivum L.)의 원산지는 아프가니스탄에서 코카서스 지방에 이르는 지역으로
  • 페이지 9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3.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