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스컴과 현대사회 중간고사 내용 족보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매스컴과 현대사회 중간고사 내용 족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라 프레스 : 신문경영의 새로운 제도, 가격을 반으로 낮춤, 신문편집 방법 개혁, 문화와 오락 기사늘림, 독자 확보
1871년 - 제 3공화국 탄생
1881년 7월 - ‘신문의 자유에 관한 법률’ 공포로 신문의 자유를 얻게 됨
3) 영국 : 18C 후반 - 모닝포스트(1772), 더 타임즈(1785), 모닝 애드버타이저(1794)
+ 더타임즈 : 국내외 취재망 완비, 불편부담을 내세움으로써 명예를 얻음, 윤전기를 최초로 도입(신문제작 시간 단축)
1816년 - 코벳트, 인지세에 대한 최초의 반기(시민들에게 판매하며 정부에 대항)
1836년 - 정부가 인지세를 1펜스로 낮춤
1861년 - 인지세 철폐, 일간과 일요 신문의 발전
+ 인지세법 : 지식에 대한 과세라 하여 지식세법이라고 불려지기도 함, 이 법은 앤여왕의 재위시인 1712년 6월에 의회에서 통과되 어 정부가 언론을 간접적인 방식인 경제적인 방법으로 언론을 통제하는 도구로 사용, 초반에는 귀족들만 신문을 봄
4) 미국 : 19C 초반 - 정치적 목적으로 사용, 정당 신문이 주를 이룸
1833년 - 저널리즘 변혁(대중신문의 출현), 선(sun) 의 성공(대중신문 증가)
+선(sun) : 대중적인 흥미 자극, 당시 뉴욕에서 최대 발행부수 기록
1899~1900년 - 대중신문 간 부수경쟁 돌입, 황색신문 수법 확산(신문들 간의 선정 보도)
황색신문에 대한 비난 - 1898년 신문가격 다운, 조간신문으로 개편
+ 뉴욕타임즈: 외신, 경제, 정치면에서 뛰어남, 불편부당의 중립에 힘을 쏟음, 뉴 저널리즘 운동에 앞장섬
1908년 - 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라는 또 하나의 지적인 신문 창간 -> 황색신문은 점차 사라짐 -> 오늘날 신문 정착
+ 황색신문: 황색신문인 NEW YORK WORLD와 MORNING JOURNAL 간의 부수경쟁이 치열하였는데, 이 두 신문은 1990 년을 전후하여 일요판에 노란 꼬마를 등장 시킨 만화를 게재하였다. 이후 선정보도를 통해 부수확장에 힘을 쏟았다.
학습정리
16세기에 인쇄술이 더욱 개량되고 동서교류가 빈번해져서 뉴스의 수요가 증가하자 인쇄업자들은 정기적으로 신문을 발행하고 이것이 오늘날 정기신문의 모체가 되었다.
주간 인쇄신문의 출현과 성장은 우편제도의 발달과 더불어 발달되었으나 주간신문의 발달은 신문업의 근대적 형성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다. 즉 17세기 말부터 우편이 점차 발달되자 주간신문은 마침내 일간신문으로 전환하게 되고 18세기 초에 이르러 진정한 근대신문이 성립되었다.
독일은 신문 문화의 발원지였으나 근대신문이 크게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가 1919년 바이마르헌법에서 언론출판의 자유 보장을 명시한 이후 근대신문이 활발히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프랑스 신문들은 혁명과 왕정의 정치적 악순환 속에서 통제와 자유라는 우여곡절을 겪다가 1871년에 제 3공화국이 탄생되어 1881년 7월에 신문의 자유에 관한 법률이 공포됨으로 비로소 자유를 얻게 되었다.
영국 신문들은 1861년에 와서 완전히 인지세가 폐지된 이후 런던모닝메일, 모닝 레이티스트 뉴스, 에코 등 일간과 일요신문의 눈부신 발전이 있었다.
미국 신문들은 독립혁명 전후하여 정론지적 성격을 갖고 있었으나, 이후 대중지로 발전하였다. 대중지는 부수경쟁을 추구하는 황색신문들이었다. 이러한 보도양태는 1900년초 뉴 저널리즘운동으로 극복되고 오늘날과 같은 (뉴욕타임즈) 신문들이 뿌리를 내게 되었다.
<4주차 신문사 조직과 기능>
<1교시 신문의 제작 과정>
1. 신문의 인쇄방식(전산방식과 재래방식의 차이)
1) 인쇄방식 변화
- HT방식(납 활자를 이용한 인쇄방식) → 컴퓨터 등장 → CTS방식(급격한 기술변화에 따른 재교육 필요, 지나친 컴퓨터 의존)
(1) CTS와 HT의 차이점
HT방식
CTS방식
공정자료의 보관이 어려움
조판된 활자는 용해, 해체보관
제작과정에 쓰인 자료의 보관 용이,
반복 재사용 가능
규격화 - 경직된 공정
자유롭고 쉬운 공정
인쇄효과 미약 - 편집의 제약
다양하고 용이한 편집가능
- 1968년 일본의 지방신문인 좌하신문이 컴퓨터를 이용한 편집을 처음으로 도입한 이후 전 세계로 파급 발전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도 80년대에 서울신문, 한겨레신문이 CTS 제작방식을 도입했고 이후 점차 모든 신문들이 이 방식을 도입하기에 이르렀다.
2) 전산방식 주요 장치 (입력기)
(1) HT의 입력기: 원도 → 자모 → 주조 → 조판 → 납 활자
(2) CTS의 입력기: 2벌식 표준 자판, 타자기 보다 월등한 능력 → 통신망 LAN → 교정, 편집
(3) 사진, 그림의 입력: 컴퓨터의 영상 장비 → 도표가 있는 신문, 사진 있는 신문
3) 전산방식 주요 장치 (편집기)
(1) 편집기
- 고도의 용량과 기능을 요구
- 기사 디스플레이, 기사행수제작, 폰트 지정, 기사 양 계산, 기사 배열, 입력된 그래픽 가공
- 편집기자(위의 일을 함) : 기사를 편집하여 데스크(부서장)에게 보내거나 저장
- 데스크(부서장) : 편집기자가 보내온 입력 기사를 보고 수정 첨삭
4) 전산방식 주요 장치 (출력기)
(1) 출력기(레이저식 / 카본식: 필름에는 출력되지 않음)
- 편집된 지면을 인화지나 필름에 인화시켜 내보내는 역할
- 그 자체가 보유하고 있는 여러 가지 폰트 인화
- 그래픽으로 받은 이미지를 형상화 시켜 출력시킴
+ 전면출력 방식: 일명 ‘오려붙이기 편집’이라고 한다. 이것은 입력된 원고를 교정 완료한 후 폰트만 지정하여 게라(신문판형지)로 출력한 뒤 수작업으로 조판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수작업으로 다시 판을 짠 후에 완성되면 제판카메라(인쇄용 사진을 만드는 기계)에 의해 필름화 된다.
전산방식 주요장치 입력기, 편집기, 출력기
2. 전산방식 (CTS) 제작과정
1) CTS 도입 이점
- 인력절감, 시간단축, 납 등 공해요인 추방
- 신문사의 변화, 신문제작자들의 변화, 신문지면의 변화
2) CTS 제작과정의 변화
- 주요과정인 ‘입력 → 편집 → 출력’이 점차 단순화
- 앞으로 제작과정의 구분 자체가 의미가 없어지게 될 것으로 여겨짐
3) 전산방식 (CTS) 제작공정 흐름
1. 편집부에는 원고를 실어오고 실어 나를
  • 가격4,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25.04.25
  • 저작시기2024.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761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