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체크리스트의 관점: 배움과 분리된 가르침
2. 교수내용지식(PCK)의 관점: 배움의 표현으로서의 가르침
3. 교학상장의 관점: 가르침과 배움의 순환
4. ‘잘 가르친다’는 것의 의미
2. 교수내용지식(PCK)의 관점: 배움의 표현으로서의 가르침
3. 교학상장의 관점: 가르침과 배움의 순환
4. ‘잘 가르친다’는 것의 의미
본문내용
을 잘 이해하게 되고,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게 해주는 교사를 보고 ‘잘 가르친다.’라고 이야기한다. 교사를 준비하는 대학생들 또한 그러한 학생의 시기를 거쳐왔고, 최근에는 대학생 과외 아르바이트가 유행하면서, 대학생들도 과외를 할 때 학생들에게 교과내용을 ‘잘 전달’하는 일에 집중하기 때문에, 가르치는 과정에서 지식을 배우려는 생각을 하기에 어렵다. 그러나 진정한 교사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자신이 가진 지식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더 배우고자 하는 태도를 가져야한다. 또 교학상장의 관점을 견지하여 가르침과 배움은 순환된다는 것을 기억하며 교사의 전문성을 길러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지정민(2015). ‘잘가르치는 일’의 의미 : 가르침과 배움의 순환. 도덕교육연구27(1). 143~162.
[참고문헌]
지정민(2015). ‘잘가르치는 일’의 의미 : 가르침과 배움의 순환. 도덕교육연구27(1). 143~162.
추천자료
피아제와 비고스키의 구성주의적 인식론 비교
[A+]인지행동적 상담이론
[아동발달 A형]피아제(Piaget)와 비고츠키(Vygotsky) 이론의 심층 비교분석
교사에게 교육철학이 필요한 까닭
성인학습자 면담 보고서
[생태학, 기독론, 재산업화론, 사회철학, 국어교육, 쓰기평가, 상상력]생태학적 기독론, 생태...
소태산의 교육적 삶과 메타교육활동
교육의 철학-교육학의 필요성,교육학에 대한 철학,교육 철학의 정의,교육철학의 성격과 역할,...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2024년 2학기 문화와교육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삶의 틀을 규정하는 문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