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일 뿐 학생들과 정서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실정이다.
즐거운 학교, 가고 싶은 학교, 가정처럼 따뜻한 학교란 도대체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교사는 학생들보다 우월한 입장에 있다는 권위적인 입장을 버려야 한다. 교사는 학생들보다 모든 면에서 뛰어나야 한다는 부담감에서 벗어나 학생들과 함께 보다 새로운 지식을 배우려는 입장을 취함으로서 학습의 동반자가 되어야 한다. 또한 지식 전수자로서만 교사의 역할이 국한되기보다는 인생의 선배로서 따뜻한 마음으로 학생들의 상처를 보듬어 줄 수 있는 치료자의 역할도 담담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
1. W. GLASSER 지음, 실패없는 학교, 교육과학사, 1989.
즐거운 학교, 가고 싶은 학교, 가정처럼 따뜻한 학교란 도대체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교사는 학생들보다 우월한 입장에 있다는 권위적인 입장을 버려야 한다. 교사는 학생들보다 모든 면에서 뛰어나야 한다는 부담감에서 벗어나 학생들과 함께 보다 새로운 지식을 배우려는 입장을 취함으로서 학습의 동반자가 되어야 한다. 또한 지식 전수자로서만 교사의 역할이 국한되기보다는 인생의 선배로서 따뜻한 마음으로 학생들의 상처를 보듬어 줄 수 있는 치료자의 역할도 담담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
1. W. GLASSER 지음, 실패없는 학교, 교육과학사, 198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