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과 예수는 누구인가?
제 2 과 부활의 신앙과 부활의 의미
제 3 과 믿음의 공동체-교회
제 4 과 신앙과 변화
제 5 과 벽을 넘어서
제 6 과 나의 벽 허물기
제 7 과 나눔의 기적
제 8 과 섬김과 이용
제 9 과 소외된 자와 함께
제 10 과 기쁜 소식 전하기
제 11 과 매고 푸는 방법
제 12 과 선택과 예정
제 13 과 우리가 고백하는 신앙
제 2 과 부활의 신앙과 부활의 의미
제 3 과 믿음의 공동체-교회
제 4 과 신앙과 변화
제 5 과 벽을 넘어서
제 6 과 나의 벽 허물기
제 7 과 나눔의 기적
제 8 과 섬김과 이용
제 9 과 소외된 자와 함께
제 10 과 기쁜 소식 전하기
제 11 과 매고 푸는 방법
제 12 과 선택과 예정
제 13 과 우리가 고백하는 신앙
본문내용
함께 하신다
(5)본문이 주는 효과
첫째, 윤리적인 효과 - 본문이 "예수님"에 의해 말해졌다는 점에서 윤리적 가치가 제일 먼저 온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논리적인 효과 - 연역적인 것(삼단논법) / 귀납적인 것(범례)
본문의 목적을 위해 강한 호소력 제공 - 강한 호소를 위해 논제들을 사용하는데 적절한 논제사용은 가르침 효과를 극대 시킬 수 있음.
셋째, 감정적인 효과 - 매인 관계는 반드시 풀어야 한다는 윤리적인 "강박감"
제 12 과 선택과 예정
하나님을 찬미(우리에 대한 성령의 임재확인) -> 우리의 하나님의 존재구조 참여 ->
만물의 일치 -> 너희의 하나님의 존재구조 참여 -> 하나님을 찬미(너희에 대한 성령의 임재확인)
제 13 과 우리가 고백하는 신앙
(1)삼위일체론
하나님이 성부,성자,성령 하나님의 세분의 인격성이 세분으로서가 아니라 한분으로서의 존재하심을 논리적으로 기술하는 이론
성삼위일체 하나님을 고백하는 이유? 무엇을 고백하기 위한 것?
1)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일어난 구원의 역사적 사건에 있어서 하나님의 하나되심을 고백
2)성령을 통해서 오늘도 일어나고 있는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에 있어서 하나됨을 고백
3)예수 그리스도 안에 나타나서 활동하는 하나님의 오셨음과 그의 현재적 오심과 그의 미
래적 오실것임을 동시에 고백 하고자...
(2)기독론
그리스도 현존의 세가지 존재방식
1)말씀으로서 존재하는 그리스도-인간이 선포하는 말속에 그리스도 자신이 자신의 현존을
허락하시는 뜻
2)성례로서 존재하는 그리스도
3)공동체로서 존재하는 그리스도-그리스도 자신이 자신의 존재를 공동체 안에 묶어 놓았음
어디에서 그리스도는 우리를 위한 중보자요 대리자로서 서있는가?
1)나의 실존의 중심에서-나의 실존의 한계성속에 그 한계성 밖에서 나를 위해 그리스도가 위치해 있다는것,그리스도가 놓여져 있는 점을 중심으로 해서 내자신의 분리된 모습이 그려짐.
2)역사의 중심에서-그리스도는 나와 너 사이에 우리가 존재해야할-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있 지 못하는-그점에 우리를 위해서 서있음을 의미
3)자연의 중심에서-그리스도가 인간의 영역만이 아니라 자연의 모든 영역에서도 대리자요, 중보자임을 고백하는 진술
(3)성령론
우리의 삶에서 하나님의 영을 어떻게 느끼고 있는가?
1)우리는 하나님의 영을 자유케하는 능력으로 경험한다.
2)우리는 성령을 사귐을 갖게하는 능력으로 경험한다.
3)우리는 성령을 사랑의 능력으로 경험한다.
4)우리는 성령을 내일로 인도하는 희망의 안내자로 경험한다.
(4)교회론
어째서 신앙공동체가 하나님의 교회라고 불리우는가?
1)신앙공동체는 하나님의 말씀에 의해서 특별히 창조된 피조물로서 이 신앙공동체는 하나 님의 거룩한 말씀의 계속적 선포가 존재하며 선포된 그 말씀에 대한 순종이 나타남
2)거룩하게 하시는 성령의 능력이 신앙공동체안에 역사하시기 때문에
사도적 교회란? -일차적으로는 그리스도의 사도들과 직접 관련을 갖거나 거기에 기초한 것
에큐메니칼한 교회란? -교회의 일치와 화합을 지향하는 교회일치의 운동을 추구하는 교회,
(5)본문이 주는 효과
첫째, 윤리적인 효과 - 본문이 "예수님"에 의해 말해졌다는 점에서 윤리적 가치가 제일 먼저 온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논리적인 효과 - 연역적인 것(삼단논법) / 귀납적인 것(범례)
본문의 목적을 위해 강한 호소력 제공 - 강한 호소를 위해 논제들을 사용하는데 적절한 논제사용은 가르침 효과를 극대 시킬 수 있음.
셋째, 감정적인 효과 - 매인 관계는 반드시 풀어야 한다는 윤리적인 "강박감"
제 12 과 선택과 예정
하나님을 찬미(우리에 대한 성령의 임재확인) -> 우리의 하나님의 존재구조 참여 ->
만물의 일치 -> 너희의 하나님의 존재구조 참여 -> 하나님을 찬미(너희에 대한 성령의 임재확인)
제 13 과 우리가 고백하는 신앙
(1)삼위일체론
하나님이 성부,성자,성령 하나님의 세분의 인격성이 세분으로서가 아니라 한분으로서의 존재하심을 논리적으로 기술하는 이론
성삼위일체 하나님을 고백하는 이유? 무엇을 고백하기 위한 것?
1)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일어난 구원의 역사적 사건에 있어서 하나님의 하나되심을 고백
2)성령을 통해서 오늘도 일어나고 있는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에 있어서 하나됨을 고백
3)예수 그리스도 안에 나타나서 활동하는 하나님의 오셨음과 그의 현재적 오심과 그의 미
래적 오실것임을 동시에 고백 하고자...
(2)기독론
그리스도 현존의 세가지 존재방식
1)말씀으로서 존재하는 그리스도-인간이 선포하는 말속에 그리스도 자신이 자신의 현존을
허락하시는 뜻
2)성례로서 존재하는 그리스도
3)공동체로서 존재하는 그리스도-그리스도 자신이 자신의 존재를 공동체 안에 묶어 놓았음
어디에서 그리스도는 우리를 위한 중보자요 대리자로서 서있는가?
1)나의 실존의 중심에서-나의 실존의 한계성속에 그 한계성 밖에서 나를 위해 그리스도가 위치해 있다는것,그리스도가 놓여져 있는 점을 중심으로 해서 내자신의 분리된 모습이 그려짐.
2)역사의 중심에서-그리스도는 나와 너 사이에 우리가 존재해야할-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있 지 못하는-그점에 우리를 위해서 서있음을 의미
3)자연의 중심에서-그리스도가 인간의 영역만이 아니라 자연의 모든 영역에서도 대리자요, 중보자임을 고백하는 진술
(3)성령론
우리의 삶에서 하나님의 영을 어떻게 느끼고 있는가?
1)우리는 하나님의 영을 자유케하는 능력으로 경험한다.
2)우리는 성령을 사귐을 갖게하는 능력으로 경험한다.
3)우리는 성령을 사랑의 능력으로 경험한다.
4)우리는 성령을 내일로 인도하는 희망의 안내자로 경험한다.
(4)교회론
어째서 신앙공동체가 하나님의 교회라고 불리우는가?
1)신앙공동체는 하나님의 말씀에 의해서 특별히 창조된 피조물로서 이 신앙공동체는 하나 님의 거룩한 말씀의 계속적 선포가 존재하며 선포된 그 말씀에 대한 순종이 나타남
2)거룩하게 하시는 성령의 능력이 신앙공동체안에 역사하시기 때문에
사도적 교회란? -일차적으로는 그리스도의 사도들과 직접 관련을 갖거나 거기에 기초한 것
에큐메니칼한 교회란? -교회의 일치와 화합을 지향하는 교회일치의 운동을 추구하는 교회,
추천자료
성서 이해
성서의 전래 과정
성서론을 읽고
[성서][성경][통일성][영감][사본][번역본][국가][권력][해석][창조론]성서(성경)의 통일성과...
성서란 무엇인가
유대인 세계의 성서해석(성경해석), 성서해석(성경해석)의 기본요소와 방법, 설교와 생태신학...
구약성서의 신앙과 세계 서평
성경적(성서적) 리더십(리더쉽), 생명 성경적(성서적) 이해, 독서치료 성경적(성서적) 근거, ...
[성서][성경][예언][팀목회]성서(성경)의 권위, 성서(성경)의 해석, 성서(성경)의 예언, 성서...
[성서][성경][말씀][리더십]성서(성경)의 비현실성, 성서(성경)의 세계관, 성서(성경)의 구조...
[성경][성서][창세기][지대조세제][재림]성경(성서)의 구성, 성경(성서)의 창세기, 성경(성서...
[구약성서신학입문] 행동하시는 하나님(God Who Acts) - 설명의 형태로 제시된 성서 신학 _ G...
성서와의 만남
성서와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