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겠다. 우리 사회에서 유교 정신을 분리해 놓고 생각한다는 것은 우리 사회와 문화를 반쪽도 이해 못하는 일이 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유교를 버릴 것이냐 말 것이냐의 문제가 아니고, 어떻게 하면 우리들 속에 내재된 유교의 정신이나 덕목을 현대 사회와 조화시킬 것이냐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를 통해서 따뜻하고 정겨운 우리만의 민주주의, 자본주의를 이룩하고 기존에 있었던 각종 폐단들을 시정해 갈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비전문가의 입장에서 나름대로 분야까지 나누어 가며 유교에 관하여 글을 쓰려다 보니 많이 미숙했던 것 같다. 어찌보면 주제에 맞지 않는 이야기를 늘어놓은 것 같기도 하다. 또, <유교민주주의 왜&어떻게>는 책 내용이 너무 전문적이고 사용하는 어휘도 익숙치 않은 것들이라 책 내용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글을 쓰게 된 점이 아쉽다. 앞으로 수업 시간을 통해 공자와 유학에 대하여 보다 명백히 알고 우리 사회에 진정 필요한 것이 어떤 것인지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고 싶다.
참고 서적
1. 함재봉, 함재학, 데이빗 홀 편 <유교민주주의 왜&어떻게>, 2000, 전통과 현대
2. 채방록 지음, 김봉건 옮김 <유학-전통과 현대화>, 1999, 서광사
마지막으로 비전문가의 입장에서 나름대로 분야까지 나누어 가며 유교에 관하여 글을 쓰려다 보니 많이 미숙했던 것 같다. 어찌보면 주제에 맞지 않는 이야기를 늘어놓은 것 같기도 하다. 또, <유교민주주의 왜&어떻게>는 책 내용이 너무 전문적이고 사용하는 어휘도 익숙치 않은 것들이라 책 내용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글을 쓰게 된 점이 아쉽다. 앞으로 수업 시간을 통해 공자와 유학에 대하여 보다 명백히 알고 우리 사회에 진정 필요한 것이 어떤 것인지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고 싶다.
참고 서적
1. 함재봉, 함재학, 데이빗 홀 편 <유교민주주의 왜&어떻게>, 2000, 전통과 현대
2. 채방록 지음, 김봉건 옮김 <유학-전통과 현대화>, 1999, 서광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