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바게뜨와 크라운베이커리의 광고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파리바게뜨와 크라운베이커리의 광고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 조사 배경

본론 - 1. 현재 베이커리 업계의 현황
2. 파리바게뜨의 성공요인
(1) Bake - Off 시스템
(2) 시장 선도형 제품
(3) 광고
3. Tool에 의한 두 회사 광고 비교 분석
(1) 파리바게뜨와 크라운베이커리의
전체적인 광고 흐름
(2) 이미지
(3) 일관성
(4) 커뮤니케이션과 소비자 반응

결론 - 1. 본론 정리
2. 우리가 생각해 본 앞으로의
크라운 베이커리 광고

본문내용

l에 의한 두 회사 광고 비교 분석
(1) 파리바게뜨의 전체적인 광고흐름
① 런칭 광고 : 윤정희를 기용한 프랑스 현지 촬영 및 바게뜨 광고 등을 통해
프랑스 풍 정통 베이커리 브랜드로서의 이국적인 이미지 구축
② 생크림 케익 광고 : 버터크림케익 시장을 생크림케익 시장으로 전환시키는
결정적인 역할
③ 신선한 브랜드 이미지 광고 : 프랜차이즈 베이커리 최초의 식빵 광고 및
후레쉬벨 광고 등을 통하여 '갓 구운 빵'을 만들어내는 신선한
브랜드 이미지 광고
④ 무스케익 광고 : 무스케익 광고를 통한 제3세대 케익 시장 선도 및 남자
모델을 기용한 차별화된 캠페인 성공
(2) 크라운 베이커리의 전체적인 광고흐름
시기
광고목표
광고컨셉
광고명
89-91
새로운 기업이미지
창출
고급 빵문화를
선도하는 기업
홍나라편, 정기사편, 김세원편, 정한용편
92-95
선두기업 이미지 확고화(본격이미지 광고)
·고급, 신선, 가정
·케잎=크라운베이커리
윤무부펴, 고현정편, 김태정편, 최명길편, 김혜수편
95말-
97초
신선함을 추구하는 기업
·늘 신선한 만남
:신선한 제품 강저
김창숙-정준편, 페이스트리편, 29가지빵편
97
케익리드
= 시장우위확보
·생크림케익 비교우위 (식용유논쟁),
·케익=크라운베이커리
최지우, 윤손하 편
98
사회공익 SP 광고
고객사랑에 보답
가격보답편
99
케익우위 확고화
·케익=크라운베이커리
명세빈 편
00-01
·축하캠페인:축하 문화 창출, 전파
·케익우위 확고화
·축하=케익=크라운베 이커리
김성은, 안재모, 김현수,
제롬편
(3) 이미지
① 어떠한 이미지를 소비자들에게 전달하려고 했는가?
※ 파리바게뜨
- 런칭 광고 : 프랑스 현지 촬영과 여러 광고를 통하여 고급 유럽풍 정통
베이커리라는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하려고 했다.
(이국적이고 고급스러운 이미지)
- 김희선 모델의 광고 : 갓 구운 빵을 강조하는 많은 광고들로 신선하고
젊은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하려고 했다.
※ 크라운베이커리
- 2000년도 전까지의 광고 : 친근하고 따뜻하고 대중적 브랜드로서의
이미지를 쌓아 왔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젊고 세련된
이미지가 취약했다.
- 2000년도 부터의 축하캠페인 광고 : 다소 Old한 이미지를 탈피하고
젊고 신선한 이미지로 Repositioning을 위한 광고를
내보냈다.
② 이미지가 잘 전달 되었는가?
※ 파리바게뜨 : 고급스럽고 젊고 신선한 이미지가 소비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잘 전달되었다.
(20대 젊은이들 사이에서 특히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설문 결과가 나타났다)
※ 크라운베이커리 : 기존의 다소 Old한 이미지에서 젊고 신선한 이미지로의
변신을 시도하고 있지만... 아직까진 소비자들이 다소 혼란
스러워 하고 이미지를 바꾸기 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0대 이후의 중년층에서 파리바게뜨보다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설문 결과가 나타났다)
(4) 일관성
① 이미지 전달의 일관성
※ 파리바게뜨 : 광고들이 기간별로 통일성이 있고 일관된 이미지를
전달하고 있다.
※ 크라운베이커리 : 2000년도부터 이미지를 바꾸려는 목표 하에 '추카추카'
컨셉으로 젊고 신선한 이미지를 전하려고 노력하였고
하나의 컨셉으로 광고들이 통일감이 느껴진다. 하지만
2000년 이전의 광고들에선 일관성이 부족했다고 생각된다.
② 모델과 메시지의 일관성
※ 파리바게뜨 : 전달하고자 하는 이미지와 메시지를 가장 잘 표현해 줄
Big모델을 기용했다. 또 새로운 메시지와 이미지를 전달할
필요가 있을 때마다 모델을 바꾸어 여러 시리즈 광고로
내보냈다. 일정 기간 동안 하나의 모델과 메시지로 꾸준한
광고를 내보낸 것이 파리바게뜨 광고의 특징이다.
※ 크라운베이커리 : 매 광고마다 모델이 수시로 바뀌어 혼란스럽다.
그리고 각 광고마다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연결이나
통일감이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하지만 2000년부터 시작한
'따뜻한 배려가 있는 축하 = 크라운베이커리' 컨셉으로
나간 광고들에선 메시지의 일관성이 보인다.
③ 광고에서 마무리의 일관성
※ 파리바게뜨 : 매 광고마다 마무리가 비슷하여 일관성을 보였다.
파리바게뜨 로고와 매장을 강조하고 7년 가까이 계속된
CM송으로 소비자들에게 더 깊이 각인 될 수 있었다.
94년 로고 98년 이후 로고
※ 크라운베이커리 : 2000년도에 새 CI를 도입하면서부터 광고의 마무리에서
일관성이 보이기 시작한다.
(5) 커뮤니케이션과 소비자 반응
① 파리바게뜨 : 광고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전달하고자 했던 메시지와 이미자를
소비자들이 잘 받아들이고 인식하여 구매로 까지 이어졌다고
생각된다.
② 크라운베이커리 : 최근에 CI가 바뀌고 새로운 이미지를 쌓기 위한 광고들이
꾸준히 나갔지만 소비자들이 잘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제롬편
크라운베이커리의 Old한 이미지를 젊고 신선하게
바꾸고자 내보낸 광고이지만, 시끄럽고 산만하여
소비자들이 충분히 광고의 의도를 받아들이지 못한
남는게 별로 없는 광고로 생각된다.
그네편
뭔가 좋은 일, 축하할 일이 있을 것 같은 기분 좋은
예감을 색다르게 표현해 보자는 의도하에 참신한
모델을 기용했지만, 소비자들이 과연 이 의도를
광고에서 느낄 수 있었는지 의심스럽다.
결론
1. 정리
- 본론에서 저희가 생각한 분석 TOOL에 의해 분석해 본 결과 파리바게뜨가 이미 지 창출과 광고의 일관성, 시장 선도형 제품의 출시에 의한 제품우위,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의 효율성에서 2위 업체인 크라운 베이커리를 앞서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2. 우리가 생각해 본 앞으로의 크라운 베이커리 광고
·단기 대응 : 요즘 월드컵 시즌이라서 월드컵에 특수에 '붉은 악마 = 빨간색 = 크 라운 베이커리 붉은색' 을 겨냥하여 크라운베이커리의 기업 CI를
이용한 집중적인 마케팅을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장기 대응 : 젊은 브랜드를 지향하고 새롭게 잡은 '추카추카' 컨셉을 이용한
광고가 꾸준치 만들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젊은이들
사이에서 새로운 축하 문화를 보여주고 이끌어가는 구체적인
광고들이 연속적으로 만들어진다면 좋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05.01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80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