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성문화를 채택한 이유
2.본론
1) 일본만의 독특한 성문화
• 일본만의 독특한 문화들
• 브루세라
• 이메크라
• 방송매체로 본 일본의 성문화
2) 그들만의 성문화가 탄생한 배경
• 과거로부터의 접근
• 민족적 습성으로 부터의 접근
3) 성문화에 따른 일본사회의 영향
• 일본의 저질적 성문화가 사회의 미치는 영향
• 일본의 성문화가 일본인들의 의식에 미치는 영향
3.결론
1) 일본 성문화에 대한 나의 의견
2) 맺음말
3) 참고문헌 및 접근 방법
1) 성문화를 채택한 이유
2.본론
1) 일본만의 독특한 성문화
• 일본만의 독특한 문화들
• 브루세라
• 이메크라
• 방송매체로 본 일본의 성문화
2) 그들만의 성문화가 탄생한 배경
• 과거로부터의 접근
• 민족적 습성으로 부터의 접근
3) 성문화에 따른 일본사회의 영향
• 일본의 저질적 성문화가 사회의 미치는 영향
• 일본의 성문화가 일본인들의 의식에 미치는 영향
3.결론
1) 일본 성문화에 대한 나의 의견
2) 맺음말
3) 참고문헌 및 접근 방법
본문내용
것 이라고 본다. 일본은 고대부터 성에 대한 의식이 개방적이였다. 혼탕문화나 근친상간에 대한 관대함등 이러한 것은 일본만의 성문화이다. 물론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들이 본다면 이해할 수 없겠지만 분명 일본만의 독특한 성문화 일 것이다.
하지만 , 현대 일본의 성문화는 분명 저질적 성문화이다. 일본은 인간에게서 잠재 되어 있어야 할, 조금은 자제 되어야 할 원초적인 쾌락을 이끌어내 상업화 하였고, 그것들은 자신들의 성문화로 만들어 버렸다.
이 레포트를 쓰면서 한 가지 걱정되는 것은, 이러한 일본의 잘못된 성문화가 우리나라에 아무런 여과없이 도입되고 있다는 것이다. 방송매체와, 인터넷의 발달은 세계의 국경을 허물었고, 지금 우리는 일본문화의 무차별한 수출에 무방비 상태로 놓여있다. 일본문화의 도입에 대한 다른 논문들이나 글들을 보면 결론에서 거의 '필터링을 통한 좋은 문화만 받아들이자'가 결론이 되곤 한다.
나도 결론을 내리자면, 일본의 성문화는 필터링을 통해서, 부분적이 아니라 모두 받아들이면 안된다 는 것이다. 너무 딱딱하고, 주관적인 결론이지만 나의 이러한 결론은 이번 레포트를 준비하면서 더욱 확고해졌다. 일본의 성문화가 비밀리에 유입되었던 시절에도 많은 폐해가 있지 않았던가...
만약 일본의 성문화가 그대로 받아들여진다면, 우리나라도 일본가 같은 엄청난 사회문제를 각오해야 할 것 같다. 일본의 성문화를 이해하고, 그들만의 성문화로 인식했으면 좋겠다. 일본의 성문화는 단지 일본의 성문화만 되었으면 한다.
2) 맺음말
레포트를 마무리 지을 때쯤, 일본의 성문화가 아닌 다른 문화에 대해 접근해 볼껄, 하는 후회가 들기도 했습니다. 문화란 좋은면과 나쁜면을 동시에 가질때 더 접근하기도 좋고, 레포트를 쓸때도 좀더 좋은 레포트가 된다는 생각 때문이 였습니다. 일본의 성문화는 좋은 면은 좀처럼 찾기가
힘들었습니다. 하지만 일본의 다른 문화들 (스모, 기모노, 스시)등은 예전 '일본어의 기초'라는 수업시간에 레포트로 제출했고 중국의 문화는 이번 '동양의 역사와 문화' 강의시간에 접할 기회가 있겠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다른 것을 알기 위해 일본의 성문화를 다루었습니다.
3) 참고문헌 및 접근 방법
<성풍속으로 보는 일본문화 /이경덕 지음/2000/가람기획)
-이 책을 통해서 일본의 성문화가 지금에 이르기까지를 살펴보았다.
<일본인의 엿보기 /이웅표 지음/1999/명지사)
-일본의 성문화중 엿보기 문화를 파헤친 책이다. 일본인들의 변태적이고, 폐쇄적인 성문화의 대표적 인 상징인 엿보기,관음증 문화를 통해 성문화에 접근하기 위함이다.
<나, 일본 여고생 /김명학 지음/1999/이채)
-현대 일본 성문화의 트랜드는 일본 여고생이다. 일본 여고생을 논하지 않고서는 일본의 현대 성문 화에 접근하기는 힘들 것 이다.
<나는 일본의 성문화가 두렵다 /김유식 지음/1999/좋은 사람)
-일본의 성산업을 적나라하게 파헤쳤다. 이메크라, SM, 토드란도, 브루세라, 등 일본에서만 볼 수 있는 성상품들과 일본문화의 개방에 대한 우리의 입장에 대해 논한책이다.
하지만 , 현대 일본의 성문화는 분명 저질적 성문화이다. 일본은 인간에게서 잠재 되어 있어야 할, 조금은 자제 되어야 할 원초적인 쾌락을 이끌어내 상업화 하였고, 그것들은 자신들의 성문화로 만들어 버렸다.
이 레포트를 쓰면서 한 가지 걱정되는 것은, 이러한 일본의 잘못된 성문화가 우리나라에 아무런 여과없이 도입되고 있다는 것이다. 방송매체와, 인터넷의 발달은 세계의 국경을 허물었고, 지금 우리는 일본문화의 무차별한 수출에 무방비 상태로 놓여있다. 일본문화의 도입에 대한 다른 논문들이나 글들을 보면 결론에서 거의 '필터링을 통한 좋은 문화만 받아들이자'가 결론이 되곤 한다.
나도 결론을 내리자면, 일본의 성문화는 필터링을 통해서, 부분적이 아니라 모두 받아들이면 안된다 는 것이다. 너무 딱딱하고, 주관적인 결론이지만 나의 이러한 결론은 이번 레포트를 준비하면서 더욱 확고해졌다. 일본의 성문화가 비밀리에 유입되었던 시절에도 많은 폐해가 있지 않았던가...
만약 일본의 성문화가 그대로 받아들여진다면, 우리나라도 일본가 같은 엄청난 사회문제를 각오해야 할 것 같다. 일본의 성문화를 이해하고, 그들만의 성문화로 인식했으면 좋겠다. 일본의 성문화는 단지 일본의 성문화만 되었으면 한다.
2) 맺음말
레포트를 마무리 지을 때쯤, 일본의 성문화가 아닌 다른 문화에 대해 접근해 볼껄, 하는 후회가 들기도 했습니다. 문화란 좋은면과 나쁜면을 동시에 가질때 더 접근하기도 좋고, 레포트를 쓸때도 좀더 좋은 레포트가 된다는 생각 때문이 였습니다. 일본의 성문화는 좋은 면은 좀처럼 찾기가
힘들었습니다. 하지만 일본의 다른 문화들 (스모, 기모노, 스시)등은 예전 '일본어의 기초'라는 수업시간에 레포트로 제출했고 중국의 문화는 이번 '동양의 역사와 문화' 강의시간에 접할 기회가 있겠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다른 것을 알기 위해 일본의 성문화를 다루었습니다.
3) 참고문헌 및 접근 방법
<성풍속으로 보는 일본문화 /이경덕 지음/2000/가람기획)
-이 책을 통해서 일본의 성문화가 지금에 이르기까지를 살펴보았다.
<일본인의 엿보기 /이웅표 지음/1999/명지사)
-일본의 성문화중 엿보기 문화를 파헤친 책이다. 일본인들의 변태적이고, 폐쇄적인 성문화의 대표적 인 상징인 엿보기,관음증 문화를 통해 성문화에 접근하기 위함이다.
<나, 일본 여고생 /김명학 지음/1999/이채)
-현대 일본 성문화의 트랜드는 일본 여고생이다. 일본 여고생을 논하지 않고서는 일본의 현대 성문 화에 접근하기는 힘들 것 이다.
<나는 일본의 성문화가 두렵다 /김유식 지음/1999/좋은 사람)
-일본의 성산업을 적나라하게 파헤쳤다. 이메크라, SM, 토드란도, 브루세라, 등 일본에서만 볼 수 있는 성상품들과 일본문화의 개방에 대한 우리의 입장에 대해 논한책이다.
소개글